목차
원불교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적·희망적으로
전망한다. 원불교는 개인 성불이나 개인 구원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대중전체의 성불
을 강조한다. 제생의세란 말도 이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 수행
의 표본으로 삼는다든가, 무시선 무처선, 불법시생활 생활시불법, 동정일여 영육쌍전,
이사병행 등의 교리표어라든가, 삼학 병진 수행의 강조, 삼학의 결론을 작업취사에 둔
점, 사대강령의 결론을 무아봉공으로 귀결시키는 것 등은 모두 원불교가 행동종교·실
천종교 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⑷ 원불교는 종합과 융통의 종교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처음부터 과거 모든 성자들의 깨친 경지를 다 인정하고 찬탄하였다.
모든 종교의 궁극 목적도 하나임을 알았다. 그래서 일원세계 건설을 표방하고 모든 종
교의 교리와 목적을 하나로 종합 융통하려고 한다. 따라서 원불교는 다른 종교에 대해
서 배타적이거나 독선적인 태도를 배제하고 있다. 정산종사의 삼동윤리사상이나, 대산
종사의 종교연합운동 등은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⑸ 원불교는 개혁의 종교이다.
불교에 뿌리했으면서도 불교개혁에서 출발하여 모든 종교를 개혁하여 새 종교를 창설
해 가려는 입장이다. 신앙의 대상을 법신불 일원상으로 한 것은 불교에 대한 가장 큰
개혁이다. 예법개혁은 유교에 대한 개혁이다. 원불교의 교리·제도·의식·예법 등은 모두
종교개혁·사회개혁·인간개혁의 입장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이다. 원불교가 불교냐 아니
야 하는 관점보다, 원불교가 불교에 대해서 장차 어떠한 위상을 정립해 갈것인가 하는
문제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전망한다. 원불교는 개인 성불이나 개인 구원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대중전체의 성불
을 강조한다. 제생의세란 말도 이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 수행
의 표본으로 삼는다든가, 무시선 무처선, 불법시생활 생활시불법, 동정일여 영육쌍전,
이사병행 등의 교리표어라든가, 삼학 병진 수행의 강조, 삼학의 결론을 작업취사에 둔
점, 사대강령의 결론을 무아봉공으로 귀결시키는 것 등은 모두 원불교가 행동종교·실
천종교 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⑷ 원불교는 종합과 융통의 종교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처음부터 과거 모든 성자들의 깨친 경지를 다 인정하고 찬탄하였다.
모든 종교의 궁극 목적도 하나임을 알았다. 그래서 일원세계 건설을 표방하고 모든 종
교의 교리와 목적을 하나로 종합 융통하려고 한다. 따라서 원불교는 다른 종교에 대해
서 배타적이거나 독선적인 태도를 배제하고 있다. 정산종사의 삼동윤리사상이나, 대산
종사의 종교연합운동 등은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⑸ 원불교는 개혁의 종교이다.
불교에 뿌리했으면서도 불교개혁에서 출발하여 모든 종교를 개혁하여 새 종교를 창설
해 가려는 입장이다. 신앙의 대상을 법신불 일원상으로 한 것은 불교에 대한 가장 큰
개혁이다. 예법개혁은 유교에 대한 개혁이다. 원불교의 교리·제도·의식·예법 등은 모두
종교개혁·사회개혁·인간개혁의 입장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이다. 원불교가 불교냐 아니
야 하는 관점보다, 원불교가 불교에 대해서 장차 어떠한 위상을 정립해 갈것인가 하는
문제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원불교 선(禪)의 형성과정
원불교의 견성 기준에 대한 일고- 불교와 대비하여 -
원불교의 수행론
원불교 세미나(원불교 역사, 교리, 창시자)
원불교에 대해
[원불교][원불교 교리][원불교 성지][원불교 의례][원불교 본질][원불교 미래관][원불교 과제...
[송정산][원불교][건국론][정치론][삼동윤리]송정산(원불교)의 교정확립기, 송정산(원불교)의...
[원불교 교당, 원불교 교당과 교당조직, 원불교 교당 교당갈등, 교당교화, 교무, 교화단]원불...
[원불교 무시선,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특징, 원리, 원불교 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