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인터넷 비즈니스의 사업전략
1. 상품공급자와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전략
1) 직접판매전략
2) 수수료 전략
3) 저작권수집전략
2. 상품에 대해 적용되는 전략
1) 시간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2) 데이터 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3) 기능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4) 사용성 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5) 기타상품전략
3. 고객과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전략
1)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에 따른 전략
2) 고객 차별화를 위한 가격전략
4. 시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략
1) 시장 선도자의 시장방어전략
2) 시장 선점을 이용해서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
II. 사업전략 선택을 위한 지침
1. 공급자와의 관계
2. 상품의 다양화
3. 고객과의 관계
4. 시장의 상황
III. 디지털 기업전략의 포인트
1. 디지털 전략의 첫번째 포인트는 컨텐츠의 통합이다.
2. 디지털 전략의 두번째 포인트는 프리웨어의 제공이다.
3. 디지털 전략의 세번째 포인트는 대량 개별화(Mass customization)이다.
4. 디지털 전략의 네번째 포인트는 리얼타임이다.
5. 디지털 전략의 다섯번째 포인트는 고객의 프로슈머(prosumer)化이다.
6. 디지털 전략의 여섯번째 포인트는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만들라는 것이다.
7. 디지털 전략의 일곱번째 포인트는 고객간 관계를 관리하라는 것이다.
1. 상품공급자와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전략
1) 직접판매전략
2) 수수료 전략
3) 저작권수집전략
2. 상품에 대해 적용되는 전략
1) 시간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2) 데이터 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3) 기능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4) 사용성 차원을 활용한 다양화
5) 기타상품전략
3. 고객과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전략
1)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에 따른 전략
2) 고객 차별화를 위한 가격전략
4. 시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략
1) 시장 선도자의 시장방어전략
2) 시장 선점을 이용해서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
II. 사업전략 선택을 위한 지침
1. 공급자와의 관계
2. 상품의 다양화
3. 고객과의 관계
4. 시장의 상황
III. 디지털 기업전략의 포인트
1. 디지털 전략의 첫번째 포인트는 컨텐츠의 통합이다.
2. 디지털 전략의 두번째 포인트는 프리웨어의 제공이다.
3. 디지털 전략의 세번째 포인트는 대량 개별화(Mass customization)이다.
4. 디지털 전략의 네번째 포인트는 리얼타임이다.
5. 디지털 전략의 다섯번째 포인트는 고객의 프로슈머(prosumer)化이다.
6. 디지털 전략의 여섯번째 포인트는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만들라는 것이다.
7. 디지털 전략의 일곱번째 포인트는 고객간 관계를 관리하라는 것이다.
본문내용
를 보고 값을 깎아줄지 말지를 현장에서 결정해야만 하는 동네 구멍가게에서는 언제나 이루어지고 있는 일이다. 다만 이런 활동을 정보 기술의 도움으로 대규모 시장에서 다수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5. 디지털 전략의 다섯번째 포인트는 고객의 프로슈머(prosumer)化이다.
이는 고객이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가치를 규정하고 이를 창출하는 과정에 개입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슈머화된 고객을 통해 기업은 고객 가치의 보다 정교한 측정과 창출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을 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고객을 기업 가치 사슬에 포함시킨다는 것은 전형적인 기업 마케팅 활동이 고객을 단순한 객체로 보던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가진다. 프로슈머로서의 고객은 단순히 설문에 응답하는 식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리포트하는 식으로 자신의 니즈를 스스로 규정하고 표현할 것이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제품에 대하여 구매 또는 구매 거부와 같은 소극적인 방법으로 그 제품에 대한 좋고 나쁨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제품 설계 과정에 직접 개입할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특별한 판매 노력이 없이도 그 제품을 구매하고 소비할 뿐만 아니라 우호적 WOM(Word Of Mouth)효과를 적극 발생시켜 주위의 잠재 고객도 우호적 고객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
6. 디지털 전략의 여섯번째 포인트는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만들라는 것이다.
새로운 디지털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기존의 공급자-구매자 관계가 반드시 유효하지는 않다. 따라서 최적의 공급자-구매자 관계를 규정하는 것, 즉 새로운 거래 모형을 만드는 것이 큰 성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새로운 거래 모형에는 기존의 중개상 기능을 대체하는 인포미디어리는 물론, 가격 비교와 같이 기존 시장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단일 제품에 대한 단일 가격이라는 기존의 가격 설정 원칙을 파괴하고 원하는 만큼 가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경매 방식의 도입, 또는 구매자가 가격을 설정하는 역경매와 같은 다양한 모형이 시도되고 있다.
7. 디지털 전략의 일곱번째 포인트는 고객간 관계를 관리하라는 것이다.
CRM에서 말해지는 것처럼 고객과 기업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고객 사이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고객간 관계를 관리한다는 것은 고객 커뮤니티의 생성과 발전을 지원하는 활동, 고객간의 정보 교류를 지원하는 활동 및 고객 커뮤니티가 고객들 사이에서 주목받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기업은 고객 커뮤니티를 지원함으로써 단순히 고객-기업 관계를 통해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이점과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고객과 1대 1의 관계를 세심하게 구축하는 것보다 고객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이 오히려 비용상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객 커뮤니티내에서는 기업과 고객 사이에서와 질적으로 다른 정보가 생성되고 공유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아가 고객 커뮤니티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기업에 대한 우호적인 구전을 일으킬 수도 있다.
5. 디지털 전략의 다섯번째 포인트는 고객의 프로슈머(prosumer)化이다.
이는 고객이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가치를 규정하고 이를 창출하는 과정에 개입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슈머화된 고객을 통해 기업은 고객 가치의 보다 정교한 측정과 창출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을 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고객을 기업 가치 사슬에 포함시킨다는 것은 전형적인 기업 마케팅 활동이 고객을 단순한 객체로 보던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가진다. 프로슈머로서의 고객은 단순히 설문에 응답하는 식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리포트하는 식으로 자신의 니즈를 스스로 규정하고 표현할 것이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제품에 대하여 구매 또는 구매 거부와 같은 소극적인 방법으로 그 제품에 대한 좋고 나쁨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제품 설계 과정에 직접 개입할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특별한 판매 노력이 없이도 그 제품을 구매하고 소비할 뿐만 아니라 우호적 WOM(Word Of Mouth)효과를 적극 발생시켜 주위의 잠재 고객도 우호적 고객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
6. 디지털 전략의 여섯번째 포인트는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만들라는 것이다.
새로운 디지털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기존의 공급자-구매자 관계가 반드시 유효하지는 않다. 따라서 최적의 공급자-구매자 관계를 규정하는 것, 즉 새로운 거래 모형을 만드는 것이 큰 성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새로운 거래 모형에는 기존의 중개상 기능을 대체하는 인포미디어리는 물론, 가격 비교와 같이 기존 시장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단일 제품에 대한 단일 가격이라는 기존의 가격 설정 원칙을 파괴하고 원하는 만큼 가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경매 방식의 도입, 또는 구매자가 가격을 설정하는 역경매와 같은 다양한 모형이 시도되고 있다.
7. 디지털 전략의 일곱번째 포인트는 고객간 관계를 관리하라는 것이다.
CRM에서 말해지는 것처럼 고객과 기업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고객 사이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고객간 관계를 관리한다는 것은 고객 커뮤니티의 생성과 발전을 지원하는 활동, 고객간의 정보 교류를 지원하는 활동 및 고객 커뮤니티가 고객들 사이에서 주목받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기업은 고객 커뮤니티를 지원함으로써 단순히 고객-기업 관계를 통해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이점과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고객과 1대 1의 관계를 세심하게 구축하는 것보다 고객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이 오히려 비용상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객 커뮤니티내에서는 기업과 고객 사이에서와 질적으로 다른 정보가 생성되고 공유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아가 고객 커뮤니티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기업에 대한 우호적인 구전을 일으킬 수도 있다.
추천자료
전자상 거래(마케팅,경영,유통,비즈니스,기업전략 사례모음)
e-비즈니스 (e-business ) 사업 성공사례 (dell 컴퓨터)
노키아의 기업 경영 및 전략
[인터텟출판시장]인터넷 서점의 시장 규모 및 환경과 마케팅 전략 비교 분석
[마케팅조사]호텔 노보텔 앰버더서(강남)의 마케팅전략 분석 (A+리포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마케팅 전략(A+레포트)
다음의 마케팅 전략 제안 보고서
닌텐도(NINTENDO)의 마케팅전략과 한국시장 성공요인
소니의 현황과 미래 전략
인터넷 비즈니스의 이해
비즈니스와 마케팅의 개념
[경영학원론]
기업의 미션, IBM의 전략, 기업의 조직구조와 문화, 기업문화, 인사관리 ... 코카콜라vs펩시-코카콜라와 펩시의 역사,코카콜라와 펩시의 마케팅 전략,비교광고,브랜드마케...
(★우수자료★) 부동산 분석 인천 송도지구 내 캐슬 & 해모로 분석 (송도지구의 개요, 캐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