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의의 및 법적근거
1. 의의 2. 법적 근거
Ⅱ. 집단분쟁조정 절차
1. 조정신청
2. 집단분쟁조정절차의 개시
3. 참가신청
4. 조정결정
5. 조정의 효력
6. 보상권고
Ⅲ. 기대효과
Ⅳ. 단체소송제도
집단분쟁조정관련 Q&A
Ⅰ. 의의 및 법적근거
1. 의의 2. 법적 근거
Ⅱ. 집단분쟁조정 절차
1. 조정신청
2. 집단분쟁조정절차의 개시
3. 참가신청
4. 조정결정
5. 조정의 효력
6. 보상권고
Ⅲ. 기대효과
Ⅳ. 단체소송제도
집단분쟁조정관련 Q&A
본문내용
치단체·한국소비자원 또는 소비자단체·사업자는 소비자의 피해가 다수의 소비자에게 같거나 비슷한 유형으로 발생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건에 대하여는 조정위원회에 일괄적인 분쟁조정(이하 "집단분쟁조정"이라 한다)을 의뢰 또는 신청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집단분쟁조정을 의뢰받거나 신청받은 조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의 의결로써 제3항 내지 제7항의 규정에 따른 집단분쟁조정의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위원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간동안 그 절차의 개시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조정위원회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가 아닌 소비자 또는 사업자로부터 그 분쟁조정의 당사자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신청을 받을 수 있다.
④조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의 의결로써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른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 중에서 공동의 이익을 대표하기에 가장 적합한 1인 또는 수인을 대표당사자로 선임할 수 있다.
⑤조정위원회는 사업자가 조정위원회의 집단분쟁조정의 내용을 수락한 경우에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가 아닌 자로서 피해를 입은 소비자에 대한 보상계획서를 작성하여 조정위원회에 제출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⑥제65조제5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조정위원회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인 다수의 소비자 중 일부의 소비자가 법원에 소를 제기한 경우에는 그 절차를 중지하지 아니하고, 소를 제기한 일부의 소비자를 그 절차에서 제외한다.
⑦제66조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집단분쟁조정의 기간은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공고가 종료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한다.
⑧집단분쟁조정의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집단분쟁조정을 의뢰받거나 신청받은 조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의 의결로써 제3항 내지 제7항의 규정에 따른 집단분쟁조정의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위원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간동안 그 절차의 개시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조정위원회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가 아닌 소비자 또는 사업자로부터 그 분쟁조정의 당사자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신청을 받을 수 있다.
④조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의 의결로써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른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 중에서 공동의 이익을 대표하기에 가장 적합한 1인 또는 수인을 대표당사자로 선임할 수 있다.
⑤조정위원회는 사업자가 조정위원회의 집단분쟁조정의 내용을 수락한 경우에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가 아닌 자로서 피해를 입은 소비자에 대한 보상계획서를 작성하여 조정위원회에 제출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⑥제65조제5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조정위원회는 집단분쟁조정의 당사자인 다수의 소비자 중 일부의 소비자가 법원에 소를 제기한 경우에는 그 절차를 중지하지 아니하고, 소를 제기한 일부의 소비자를 그 절차에서 제외한다.
⑦제66조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집단분쟁조정의 기간은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공고가 종료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한다.
⑧집단분쟁조정의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추천자료
소송의 이상과 이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
환경관련 분쟁사례연구-제3자 조정
서독의 노동분쟁 처리제도
한약분쟁의 결과와 의의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의무와 분쟁해결제도
사회내의 분쟁처리 형태
WTO 분쟁해결제도
민사소송 외의 각종 분쟁해결제도
우리사회집단의 갈등요소와 그 해소방법
센카쿠제도 분쟁으로 본 독도 대처 방안
[국제분쟁][국제][분쟁][외국판결승인제도]국제분쟁의 원인, 국제분쟁의 고용차별, 국제분쟁...
[환율과 국제수지조정] 변동환율제도 및 고정환율제도하의 국제수지조정, 우리나라(한국)의 ...
[정부중재 (政府仲裁)] 정부중재의 의의, 분쟁해결제도와 정부중재의 유형, 주체, 방법, 수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