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한국사회에 반영된 존 듀이와 진보적 교육<자료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방 후 한국사회에 반영된 존 듀이와 진보적 교육<자료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
Ⅱ. 듀이와 진보적 교육운동의 성격
1. 듀이와 진보적 교육사상간의 차이점
2. 진보적 교육의 주장
3. 듀이의 교육사상
4. 균형을 찾는 조화 있는 철학
5. 지성주의와 듀이
6. 민주적 사회건설과 듀이
7. 실용적 적극적 태도와 듀이
Ⅲ. 듀이와 진보적 교육에 비추어본 한국 교육의 문제점
1. 과학적 방법과 진보적 교육
2. 당파주의와 진보적 교육
3. 사회성과 진보적 교육
4. 민주주의와 진보적 교육

본문내용

없이 민주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올바른 사회는 국가와 사회를 위해 일반적으로 선한 것을 원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도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 듀이의 주장은 강하게 민주사회에 대한 실현을 주장한다. 우리에게도 이 사상은 필요하다.
이상에서 듀이와 진보적 교육사상을 한국사회에 반영시켜 그의 장점 등을 밝혀 보았으나 거기에는 또한 약점도 없지 않다.
첫째, 듀이의 사상은 균형을 강조하고 이원론을 피하다가 보니 그 실천면에 있어서 애매한 바가 많다. 실례로 어떻게 해야 개인과 사회가 가장 잘 조화되는 것이며 또 자유와 통제, 욕망과 이성 등이 얼마만큼 있어야 참 균형이 가능한지 현실적으로는 실행하기 어렵다. 그러고 보니 그는 그 발현을 자원적인 협동을 통한 지적인 탐구를 거쳐 가능하다고 했지만 이해관계가 상반되는 경우, 어떻게 민주적으로 즉, 자원(自願)적으로 외적 강요 없이 이 사람들의 협동이 가능한지 여전히 숙제로 남게 되고 실천면에서는 Either-Ors로 될 가능성이 많다. 그리하여 그의 이론은 자칫하면 추상적인 이상주의로 또는 가망성 없는 회전을 통해 허무주의로 될 가능성조차도 없는 것 아니다.
둘째, 듀이의 넓은 경험을 통한 성장의 개념이 현대사회의 전문화의 경향에 어느 정도 적합 하느냐가 문제이다. 고도한 과학이나 전문지식의 요구는 넓은 일반적 태도와는 맞지 않다.
셋째, 현대과학의 발달은 듀이가 강조하는 일반적인 지성적인 실험주의 이상의 전문적인 훈련을 요구한다. 유능한 관찰자 이상의 전문적인 훈련이 현대 교육에는 요청되는 면이 많다.
넷째, 반 소화된 이론은 없는 것보다 크게 유익하지 않다. 현대의 많은 교사들은 전통적인 훈련 밑에서 자라난 사람들이다. 듀이 자신의 주장처럼 진보적 교육은 단순하지만 단순하다는 것이 용이하다는 뜻이 아니고 보면, 오히려 단순하기에 더 운영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새로운 교육에 있어서 철저히 교사훈련을 받지 못한 이들에 의해서 운영되는 학급은 단조에 흐르고 흥미를 상실할 가능성이 많다.
해방이후 듀이의 교육사상은 우리 사회에 많이 논의되었으나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의 대부분은 인문과 대학의 흉내를 내었고 거기서 배우는 학생들은 교직과에 대한 매력보다는 Liberal arts의 학생처럼 취급받는데 자부심을 느끼는 실정이 많았다. 따라서 듀이의 사상은 많이는 올바르게 이해되지 않았을 뿐더러 더욱이 일선교사들의 실천에서는 상당한 거리에 있었고 교사들은 형식으로는 새 교육이니 진보적 교육 운운했지만 행동과 Class 실천에서는 그들이 싫어하는 전통주의 교육의 테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것은 학교가 위로 올라가면 갈수록 현저했던 것이다.
새 교육 운동에서 도입된 한국의 진보적 교육운동은 개인의 자유, 개성존중, 현장경험, 아동 중심주의 등에 기울어지므로 듀이의 사상보다는 그가 거절한 교육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한국 사회의 오랜 전통과 유고문화의 성격 등을 생각할 대 가치의 극화에 의한 갈등보다 듀이적인 조화의 교육사상이 요청되는 것 같다.
참 고 문 헌
김용덕(1967). 한국사의 탐구. 서울: 계명사.
김준섭(1957). 듀이의 수육철학과 한국의 교육장래. 새 교육 10, (상, 하).
박봉목(1970). 듀이와 니버의 인간성에 대한 개념과 교육에의 시사.
(1969). 인간과 사회문제 해결에 적용된 John Dewey의 과학적 방법. 계명교 육창간호.
(1966). 한국교육에 미친 미국의 영향에 대한 분석. 변o하는 한국사회: 학술심 포지움. 경북대학교 출판부.
새교육(1967). 존 듀이 특집.
오천석(1964). 한국신교육사. 서울: 현대교육0서.
오천석(1968). 민주주의의 건설.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기백(1964). 한국사 신론. 서울: 제일출판사.
중앙교육심의회(1970). 高等敎育の改革に關する基本構造試案(中間報告).
중앙교육심의회(1970). 初等 中等敎育の改革に關する基本構造試案(中間報告).
朝日新聞, 1970년 10월 14일
Boyd H. Bode(1927). Modern Educational Theories. New York.
Cremin, Lawrence A.(1962). The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New York: Alfred A. Knopf.
Dewey, John(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an.
(1949). Education and Social. Order. New York: League of Industrial Democracy.
(1940). Education Today. New York: G. P. Putnam's Son's.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1939). Freedom and Culture. New York: C. P. Putnam's Son's.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The Univ. of Chicago Press.
Dewey, John(1946). Problems of Men.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1920).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New York: Henry Holt.
(1960). Theory of the Moral Life.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Dworkin Martin S. ed.(1964). Dewey on Education. New York: T. S. Columbia University Press.
Kirk, Russell(1953). The Comparative Mind. Chicago: Regney.
Lee, Gordon C.(1957). Education in Modern America. New York: Henry Holt.
Wilds, Elmer Harrison(1958). The Foundations of Modern Education. New York: Rinehart & Co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5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