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기목사의 선교신학과 교회성장에 대해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용기목사의 선교신학과 교회성장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인의 카리스마가 대단히 강력하게 부각될 뿐 그 운동이 지속되지 못하고 한 개인의 운동으로서 끝날 때가 많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성경은 믿는 자에게는 당연히 병고치는 능력이 있음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막 16:14). 이것을 신학적인 표현을 빌리면 ‘능력의 보편성’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에도 이러한 능력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제자를 삼는 이들이 있다. 미국의 경우 모리스 세룰로, 존 윔버, 프란시스 맥너트, 찰스와 프란시스 헌터, 빌 해몬 등이다.
또한 이용도 목사는 조금은 기독신비를 넘어서 신비주의에 가까운 인상을 준다. 조용기 목사는 신학은 칼빈주의를 표방하고 현상적으로는 오순절 운동을 표방한다. 이러한 한국 교회의 성령 운동은 객관적인 계시에 의존하기보다는 주관적인 개인의 체험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므로 조용기 목사는 여러 차례 그의 신앙노선을 변경한 적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한국 교회의 성령 운동은 성경신학이 결여되었다는 것이다. 즉 성령과 성경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객관적인 계시만 중요시하여 그에 따르는 현상을 부인하는 그룹과 개인의 신앙체험을 중심으로 객관적인 계시를 등한시하는 것이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전반적인 흐름이다. 여기에 말씀과 성령을 조화시키고자하는 신앙 운동이 바로 베뢰아 운동이다. “성경을 닮고 성령의 조명을 받는 신학”37)을 추구하는 것이 바로 베뢰아 운동인 것이다.
- 계속 -
주)
1) J. Roswell Flower, “Birth of the Pentecostal Movement,” Pentecostal Evangel, November 26, 1950, p. 3. Vinson Synan, 『20세기 성령 운동의 현주소』 국제신학연구원 역 (서울 : 도서출판 예인, 1995), p. 78에서 재인용.
2) 이재범, 『성령 운동의 역사』(서울: 보이스사, 1985), p. 113.
3) Ibid., p. 32.
4) 19세기 성령 운동의 역사와 신학적 뿌리를 학문적으로 연구한 미국 드류대학교(Drew Univerisity)의 조직신학자인 도날드 D. 데이튼 박사는 베뢰아대학원대학에서 ‘21세기 선교와 오순절 운동’이라는 제목으로 열린 세미나(1999.1.9)에서 오순절 운동과 은사주의의 신학적 한계를 인정하고 상대적으로 신학적으로 잘 정립된 복음주의와 연합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brand-new) 신학적 패러다임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5) Vinson Synan, 『20세기 성령 운동의 현주소』 국제신학연구원 역(서울: 도서출판 예인, 1995), p. 240.
6) The Annual Report,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for 1905, pp. 39-44. 김인수, 『한국기독교회사』(4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p. 168에서 재인용.
7) 이한수, 『한국 교회와 성령 운동의 변천(Ⅰ)』, 『神學指南』 1992년, pp. 142-143.
8) “The Sprit among Pyeng Yang Student”, The Korea Mission Field(May 1907), pp. 65-67. 김인수, 『한국기독교회사』(4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p. 170에서 재인용.
9) The Korean Pentecost (The Banner of Truth, 1910, 1977), pp. 61, 71. 김명혁, “한국 교회와 성령론”, 『神學正論』 제12권, (1994년·가을호), p. 174에서 재인용.
10) 심창변, “한국장로교내의 오순절 운동의 평가”, 『神學指南』 제245호, (1995년 겨울호), pp. 183-184.
11) 민경배, 『기독교대백과사전』, 제3권(서울: 기독교문사, 1991), “김익두” 항목.
12) 이덕주,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개종 이야기』(서울: 도서출판전망사, 1990), p. 354.
13) 김명혁, “한국교회와 성령론”, 『神學正論』, 제12권, 1994년, p. 179.
14) 신창변, “한국장로교내의 오순절운동의 평가”, 『神學指南』,제245호, (1995년·겨울호), pp. 181-18215) 『朝鮮예수敎長老會 第12回 會議錄』(1923). p. 35. 김인수,『한국기독교회사』(4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p. 232에서 재인용.
16) 변종호, 『이용도 목사 연구 40년』(서울: 장안문화사, 1993), p. 19.
17) 변종호, 『이용도 목사 연구 반세기』(서울: 장안문화사, 1993), p. 43.
18) 빈슨 사이난, 『20세기 성령 운동의 현주소』 국제신학연구원 역 (서울: 도서출판 예인, p. 242.
19) 변종호, 『이용도 목사 연구 반세기』, op. cit., p. 5420) 변종호, 『이용도 목사 연구 40년』, op. cit., p. 5421) 변종호, 『한국의 오순절 신앙 운동사』(서울: 신생관, 1972), p. 85.
22) 빈슨 사이난, op. cit., p. 242.
23) 김진환, 『한국 교회부흥운동사』(서울: 크리스챤비젼사, 1976), p. 241.
24) 김명혁, “한국 교회와 성령론”, 『神學正論』, 제12권, 1994년, p. 203.
25) 조용기, 『순복음의 진리 上』(4판; 서울: 서울서적출판사, 1988), p. 219.
26) Ibid., p. 221.
27) 조용기, 『성령론』(8판; 서울: 서울서적출판부, 1982), p. 167.
28) 김명혁, “한국 교회와 성령론”, p. 208.
29) 안영복, 『성령론의 바른 이해』(3판;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p. 50.
30) 안영복, 『성령론, 무엇이 문제인가』(서울: 성광문화사, 1993), pp. 31-31.
31) Ibid., p. 43.
32) Ibid., p. 117.
33) 차영배, 『성령론』(서울: 엠마오 서적, 1997), p. 39.
34) Ibid., p. 33.
35) 차영배, 『성령론』(4판; 서울: 경향문화사, 1992), p. 185.
36) Ibid., p. 216.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7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