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6
0
0
심화반
1
2.63
0
0
27
71.05
10
26.32
0
0
보충 반 과 심화 반 학생들이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수업 이후 학습시간에 대해 각각 상반되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모든 학생들이 인터넷 수업 후 학습시간이 길어지기를 원했지만 학습에 대한 성취 욕구가 많은 학생일수록 학습시간에 대한 투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다수의 학생들은 인터넷을 통한 학습도 중요하지만 채팅이나 연예인 홈페이지에 들어가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데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 인터넷 영어 수업을 한 후 이전의 학습과 비교해볼 때 나의 태도 변 화는?
응 답
집단
아주
긍정적이다
긍정적이다
보통이다
부정적이다
아주 부정적이다
응답
%
응답
%
응답
%
응답
%
응답
%
보충반
4
10.55
21
55.26
13
34.21
0
0
0
0
심화반
1
2.63
24
63.16
12
31.58
1
2.63
0
0
인터넷과 같은 첨단 매체를 이용해 수업과 과제물에 제시하면 대 다수의 학생들이 학습태도 면에서 상당수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도 변화가 궁극적으로 언어능력을 개발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3). 성취도 평가 결과
영어 4기능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듣기 와 읽기 위주로 평가했다. 듣기는 전라북도 교육청 주관으로 1999년 9월 10일과 1999년 10월 26일에 실시한 듣기평가를 기준으로 하고, 읽기 평가는 학교에서 실시한 자체 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
영어 4기능 중 듣기, 읽기 평가의 평균과 편차는 다음과 같다.
(듣기는 20점 만점. 읽기는 30점 만점)
기능
집단
듣 기
읽 기
99. 9.10
99.10.26
표준편차
99.5.3
99.10.11
표준편차
9.10
10.26
5.3
10.11
보충반
8.8
9.3
2.7
2.7
14.0
18.7
5.0
5.2
심화반
10.3
11.6
2.4
3.4
18.5
22.8
4.5
4.1
제3장.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군산중앙여고 학생들을 심화 반(38명)과 보충 반(38명)으로 나눠 멀티미디어실, 어학실에서 인터넷을 활용해 영어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에게 많은 흥미와 관심을 제공하여 영어 공부에 더 많은 자신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수업은 학생들의 탐구적 활동을 촉진하고, 달성목표를 다양화하여 각자가 필요 한 수업 결과를 얻어 낼 수 있다. 7차 영어과 목표가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른다란 취지에 적합하게 영어의 4가지의 언어 기술이 인터넷상에서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그 자체가 훌륭한 영어 학습 도구이고 활용가치 또한 대단하다. 그러나 컴퓨터 그 자체는 교사를 대신할 수 없으며 이는 단순히 학습자들의 교육 목표를 확대시키기 위해 쓰여질 뿐이다(Cameron, 1994).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학습 환경을 고려해 볼 때 인터넷은 기존의 매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그 효과를 기대해 본다. 좋은 교육 매체를 적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건조성과 함께, 영어교육에 관련된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와 관심이 요구된다.
인용문헌
교육부. (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요약서, 8.
박광희. (1996). 쉽다 쉬워 인터넷 영어. 조선일보사 출판국.
백영균, 설양환. (1997). 인터넷과 교육. 서울: 양서원
연수교재. (2000). 전라북도 교원 연수원. 195.
최수영, 설양환. (1996). 인터넷과 영어교육. MIE Journal, July 1996. 맨투맨연구소.
Cameron, S. (1994). ‘Technology in the classroom: Proceed with caution.’ Computer-Mediated Magazine.
Gates, B. (1995). The Road Ahead. Penguin Book Company. New York.
Lanham, R. (1993). The electronic word : Democracy, technology, and the arts.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Newton, A. (1979). “Current Trends in Language Teaching.” In M.
Celce-Murcia & L. Mclntosh, (eds.),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Rolway, Mass.: Newbury House.
0
0
심화반
1
2.63
0
0
27
71.05
10
26.32
0
0
보충 반 과 심화 반 학생들이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수업 이후 학습시간에 대해 각각 상반되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모든 학생들이 인터넷 수업 후 학습시간이 길어지기를 원했지만 학습에 대한 성취 욕구가 많은 학생일수록 학습시간에 대한 투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다수의 학생들은 인터넷을 통한 학습도 중요하지만 채팅이나 연예인 홈페이지에 들어가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데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 인터넷 영어 수업을 한 후 이전의 학습과 비교해볼 때 나의 태도 변 화는?
응 답
집단
아주
긍정적이다
긍정적이다
보통이다
부정적이다
아주 부정적이다
응답
%
응답
%
응답
%
응답
%
응답
%
보충반
4
10.55
21
55.26
13
34.21
0
0
0
0
심화반
1
2.63
24
63.16
12
31.58
1
2.63
0
0
인터넷과 같은 첨단 매체를 이용해 수업과 과제물에 제시하면 대 다수의 학생들이 학습태도 면에서 상당수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도 변화가 궁극적으로 언어능력을 개발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3). 성취도 평가 결과
영어 4기능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듣기 와 읽기 위주로 평가했다. 듣기는 전라북도 교육청 주관으로 1999년 9월 10일과 1999년 10월 26일에 실시한 듣기평가를 기준으로 하고, 읽기 평가는 학교에서 실시한 자체 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
영어 4기능 중 듣기, 읽기 평가의 평균과 편차는 다음과 같다.
(듣기는 20점 만점. 읽기는 30점 만점)
기능
집단
듣 기
읽 기
99. 9.10
99.10.26
표준편차
99.5.3
99.10.11
표준편차
9.10
10.26
5.3
10.11
보충반
8.8
9.3
2.7
2.7
14.0
18.7
5.0
5.2
심화반
10.3
11.6
2.4
3.4
18.5
22.8
4.5
4.1
제3장.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군산중앙여고 학생들을 심화 반(38명)과 보충 반(38명)으로 나눠 멀티미디어실, 어학실에서 인터넷을 활용해 영어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에게 많은 흥미와 관심을 제공하여 영어 공부에 더 많은 자신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수업은 학생들의 탐구적 활동을 촉진하고, 달성목표를 다양화하여 각자가 필요 한 수업 결과를 얻어 낼 수 있다. 7차 영어과 목표가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른다란 취지에 적합하게 영어의 4가지의 언어 기술이 인터넷상에서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그 자체가 훌륭한 영어 학습 도구이고 활용가치 또한 대단하다. 그러나 컴퓨터 그 자체는 교사를 대신할 수 없으며 이는 단순히 학습자들의 교육 목표를 확대시키기 위해 쓰여질 뿐이다(Cameron, 1994).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학습 환경을 고려해 볼 때 인터넷은 기존의 매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그 효과를 기대해 본다. 좋은 교육 매체를 적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건조성과 함께, 영어교육에 관련된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와 관심이 요구된다.
인용문헌
교육부. (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요약서, 8.
박광희. (1996). 쉽다 쉬워 인터넷 영어. 조선일보사 출판국.
백영균, 설양환. (1997). 인터넷과 교육. 서울: 양서원
연수교재. (2000). 전라북도 교원 연수원. 195.
최수영, 설양환. (1996). 인터넷과 영어교육. MIE Journal, July 1996. 맨투맨연구소.
Cameron, S. (1994). ‘Technology in the classroom: Proceed with caution.’ Computer-Mediated Magazine.
Gates, B. (1995). The Road Ahead. Penguin Book Company. New York.
Lanham, R. (1993). The electronic word : Democracy, technology, and the arts.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Newton, A. (1979). “Current Trends in Language Teaching.” In M.
Celce-Murcia & L. Mclntosh, (eds.),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Rolway, Mass.: Newbury House.
추천자료
웹을 활용한 교육과 교육에서의 인터넷의 활용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방식- 선진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교육에서 인터넷의 바람직한 활용 방안
교육방법과 인터넷 활용 통합
[교과교육론]교수-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인터넷 활용 방안
사이버 대학과 인터넷 강의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기자재활용의 원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교육학]수업과정 평가,수행평가, 인간발달, 인터넷 활용 수업, 열린교육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필요성과 활용, 영어과 심화보충과 수학과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
영재교육수업전략, 물레방아수업전략(교육전략), 웹기반수업전략(교육전략), 교육용 소프트웨...
영어과 의사소통중심학습지도(교육지도), 국어과 북한말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수준별학...
사이버공간(인터넷) 정의,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 역기능, 사이버공간(인터넷) 갈등과 분쟁...
[영어교수법]내용중심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에대한 정의를 내린 후, 자신이경험...
미디어를 활용한 아동교육의 사례를 인터넷 등의 보도 자료 등을 통해 찾아 정리하고 이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