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동성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또는 비이동성)
2. 영속성 (내구성, 불변성, 비소모성, 불괴성)
3. 부증성 (비생산성, 불확장성, 면적의 유한성, 수량고정성) = 토지의 희소성의 근거
4. 개별성 (비대체성, 비동질성, 이질성)
5. 인접성 (연결성)
6. 적재성
7. 가경성
8. 배양성
9. 지력성
2. 영속성 (내구성, 불변성, 비소모성, 불괴성)
3. 부증성 (비생산성, 불확장성, 면적의 유한성, 수량고정성) = 토지의 희소성의 근거
4. 개별성 (비대체성, 비동질성, 이질성)
5. 인접성 (연결성)
6. 적재성
7. 가경성
8. 배양성
9. 지력성
본문내용
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언제나 하나의 가격만이 성립한다는 원칙. 같은 상품이나 서비스는 가격이 같아야 한다는 원칙으로 이는 완전경쟁시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이다. 만약 같은 시장에서 동일한 상품이 다른 가격을 갖는다고 하면 완전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한, 사람들은 보다 싼 상품을 사려고 할 것이므로 높은 가격의 상품에 대한 수요는 없어져 가격을 인하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현실은 완전경쟁시장이 아니므로 주변에서 같은 품질의 상품이라도 판매하는 사람, 장소, 제공하는 서비스 정도에 따라 판매가격이 다른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5. 인접성 (연결성)
* 토지는 지표의 일부이며, 따라서 물리적으로 보는 토지는 반드시 다른 토지와 연결되어 있다는 특성이다. 특정 토지의 개발과 사용은 인접토지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외부경제 및 불경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인접성으로부터 파생되는 특징
① 각각의 부동산은 인접지와의 협동적 이용을 필연화시킨다.
② 토지이용에 있어 협동적 논리 주창의 근거가 된다.
③ 소유와 관련하여 경계문제를 불러일으킨다.
④ 가격형성시 인접지의 영향을 받게 하며 지역분석을 필연케한다.
⑤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논리의 근거가 된다.
⑥ 부동산의 용도면에서 대체가능성을 존재케 한다.
* 외부효과(external effect) : 외부효과는 한 개인이 자신의 경제활동 과정(생산 또는 소비)에서 특별한 보상이나 대가를 받지 않고 다른 경제주체의 효용이나 생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효과는 가격 기구의 밖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른 경제주체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을 외부경제(external economics)라 하고 반대로 손해를 끼치는 행위를 외부불경제 (external diseconomics)라고 한다.
6. 적재성
토지가 건물이나 농작물 등을 지탱하여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성질을 말하며, 지대력이라고도 한다.
7. 가경성
식물의 뿌리를 정착시켜 식물의 지상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뿌리의 흡수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작용이다. 주로 농촌 토지의 유용성을 좌우한다.
8. 배양성
식물의 생장, 번식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토지의 성능으로서 땅 힘 또는 비옥도라고도 하며 토지의 화학적 성질을 말한다. 농업용 토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9. 지력성
토지의 생산력을 말하는 것으로 지대를 산출하는 특성이다.
5. 인접성 (연결성)
* 토지는 지표의 일부이며, 따라서 물리적으로 보는 토지는 반드시 다른 토지와 연결되어 있다는 특성이다. 특정 토지의 개발과 사용은 인접토지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외부경제 및 불경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인접성으로부터 파생되는 특징
① 각각의 부동산은 인접지와의 협동적 이용을 필연화시킨다.
② 토지이용에 있어 협동적 논리 주창의 근거가 된다.
③ 소유와 관련하여 경계문제를 불러일으킨다.
④ 가격형성시 인접지의 영향을 받게 하며 지역분석을 필연케한다.
⑤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논리의 근거가 된다.
⑥ 부동산의 용도면에서 대체가능성을 존재케 한다.
* 외부효과(external effect) : 외부효과는 한 개인이 자신의 경제활동 과정(생산 또는 소비)에서 특별한 보상이나 대가를 받지 않고 다른 경제주체의 효용이나 생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효과는 가격 기구의 밖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른 경제주체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을 외부경제(external economics)라 하고 반대로 손해를 끼치는 행위를 외부불경제 (external diseconomics)라고 한다.
6. 적재성
토지가 건물이나 농작물 등을 지탱하여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성질을 말하며, 지대력이라고도 한다.
7. 가경성
식물의 뿌리를 정착시켜 식물의 지상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뿌리의 흡수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작용이다. 주로 농촌 토지의 유용성을 좌우한다.
8. 배양성
식물의 생장, 번식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토지의 성능으로서 땅 힘 또는 비옥도라고도 하며 토지의 화학적 성질을 말한다. 농업용 토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9. 지력성
토지의 생산력을 말하는 것으로 지대를 산출하는 특성이다.
추천자료
한국농업의 문제점과 그해결방안 (농업경제 농업경영
절대주의란...
인가 허가 특허의 같은점과 차이점 비교분석
시민윤리4단원 요약정리
[법학개론]루소의'사회계약론' 에 대하여
기후 변화와 대책
효율적측면에서의 부동산시장
효율적 시장의 정의와 부동산 시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아담 스미스 국부론을 읽고..
인공 구조물 (사방 2km의 인공 구조축대)를 기반으로 50명이 거주하는 질서잡힌 공동체는 국...
물권법 각칙 ( 점유권. 소유권. 담보물권. 용익물권)을 정리
한라산 국립공원 보고서,국립공원의 의의 및 가치,지속적인 발전과 보존
(지구온난화) [숲과 삶 B] 지구온난화에 따라 숲의 환경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