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爲生業 人因號薯童 聞新羅眞平王女 善花美麗無雙 潛入羅京 以薯餉閭里 兒童 乃作謠誘群兒唱之 其詞曰 善花在新羅敗 善花新羅昌 國中盡誦之 --(後略)
靑山淡無姿 薯多於土 矯矯彼龍子 采采日當午 自言採作藍田玉 玄霜搗得雲英親 善花離宮 春不春 街童齊唱弧謠 宮中車行杳杳 女心有郞郞有金 金在孤山色色好 蓬窩寶氣橫扶桑 龍華寺裡香烟繞 獅前彩盒無脛走 曉寢色動林主 金籠散盡販大寶 晋宮牛馬誰能悟 空敎創起 彌勒寺 不作龍堂祭龍父 "海東樂府" (李福休)
해동악부에 실려 있는 서동설화의 내용은 삼국유사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서동요>는 삼국유사의 <서동요>와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善花在新羅敗 善花新羅昌
해동악부에 실린 <서동요>에서 선화공주는 남몰래 한 남성을 사귀어두고 그와 사통하는 여성이 아닌 국가적 위기를 초래하는 인물로 그려져 있으며 <서동요>는 염호요(弧謠)에 비유되고 있다. 선화공주가 있으면 신라가 망하고 선화공주가 없으면 신라가 창성한다는 노랫말 속에는 선화공주를 신라 밖으로 쫓아내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는 억울하게 음난한 여성으로 몰아 선화공주를 쫓아내는 "삼국유사"의 <서동요>의 내용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랫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설화문맥에서 차지하는 두 노래의 비중이나 기능은 같다. 즉 노래는 선화공주가 집에서 쫓겨나는 데 가장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하는 것이다.
어쨌든 "해동악부" 소재 <서동요>의 존재와 노래의 내용은 <서동요>가 설화문맥과 불가분의 관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님을 반증해 주는 것이며 설화와 노래가 동시대에 생성된 것이 아닐 개연성을 시사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동요>가 서사 문맥에서 직접적으로 두 인물의 결연을 가능케 해 주는 주가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선화공주를 집에서 내쫓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이렇게 <서동요>가 설화가 함께 발생하지 않았으리라는 지적은 선학들에 의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정렬모는 서동전설과 노래는 반드시 붙어 다닌 것이 아니라 노래는 노래대로 따로 전부터 전파되어 왔고 전설은 이 노래의 유래를 설명하기 위해 후인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관점을 제시하였고 박노준 역시 그 이전에 있던 동요의 형태에 서동이 자기 이름과 선화공주의 이름을 삽입하여 전파시킨 것이라 하였으며, 이재선도 <서동요>는 단순 시가로서의 민요 내지는 동요로서의 성격을 더 구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그 이전에 존재했을 민요나 동요에 등장인물만 의도적으로 개작한 패러디라 하였다. 연구자들에 따라 조금씩의 관점 차가 있기는 하지만 설화와 노래가 함께 발생한 것이 아니며 설화에 앞서 노래가 존재했던 것이라는 데는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는 듯하다.
앞으로 남은 문제는 <서동요>의 원래적 성격을 밝혀 내는 것이라 하겠는데 설화문맥에서 노래만을 떼어 놓고 이야기와의 관련성을 배제한 채 철저히 시의 전개와 시어들의 상징성만을 가지고 노래의 원래적 모습과 성격을 재구해 보는 작업이 요구된다.
靑山淡無姿 薯多於土 矯矯彼龍子 采采日當午 自言採作藍田玉 玄霜搗得雲英親 善花離宮 春不春 街童齊唱弧謠 宮中車行杳杳 女心有郞郞有金 金在孤山色色好 蓬窩寶氣橫扶桑 龍華寺裡香烟繞 獅前彩盒無脛走 曉寢色動林主 金籠散盡販大寶 晋宮牛馬誰能悟 空敎創起 彌勒寺 不作龍堂祭龍父 "海東樂府" (李福休)
해동악부에 실려 있는 서동설화의 내용은 삼국유사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서동요>는 삼국유사의 <서동요>와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善花在新羅敗 善花新羅昌
해동악부에 실린 <서동요>에서 선화공주는 남몰래 한 남성을 사귀어두고 그와 사통하는 여성이 아닌 국가적 위기를 초래하는 인물로 그려져 있으며 <서동요>는 염호요(弧謠)에 비유되고 있다. 선화공주가 있으면 신라가 망하고 선화공주가 없으면 신라가 창성한다는 노랫말 속에는 선화공주를 신라 밖으로 쫓아내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는 억울하게 음난한 여성으로 몰아 선화공주를 쫓아내는 "삼국유사"의 <서동요>의 내용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랫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설화문맥에서 차지하는 두 노래의 비중이나 기능은 같다. 즉 노래는 선화공주가 집에서 쫓겨나는 데 가장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하는 것이다.
어쨌든 "해동악부" 소재 <서동요>의 존재와 노래의 내용은 <서동요>가 설화문맥과 불가분의 관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님을 반증해 주는 것이며 설화와 노래가 동시대에 생성된 것이 아닐 개연성을 시사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동요>가 서사 문맥에서 직접적으로 두 인물의 결연을 가능케 해 주는 주가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선화공주를 집에서 내쫓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이렇게 <서동요>가 설화가 함께 발생하지 않았으리라는 지적은 선학들에 의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정렬모는 서동전설과 노래는 반드시 붙어 다닌 것이 아니라 노래는 노래대로 따로 전부터 전파되어 왔고 전설은 이 노래의 유래를 설명하기 위해 후인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관점을 제시하였고 박노준 역시 그 이전에 있던 동요의 형태에 서동이 자기 이름과 선화공주의 이름을 삽입하여 전파시킨 것이라 하였으며, 이재선도 <서동요>는 단순 시가로서의 민요 내지는 동요로서의 성격을 더 구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그 이전에 존재했을 민요나 동요에 등장인물만 의도적으로 개작한 패러디라 하였다. 연구자들에 따라 조금씩의 관점 차가 있기는 하지만 설화와 노래가 함께 발생한 것이 아니며 설화에 앞서 노래가 존재했던 것이라는 데는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는 듯하다.
앞으로 남은 문제는 <서동요>의 원래적 성격을 밝혀 내는 것이라 하겠는데 설화문맥에서 노래만을 떼어 놓고 이야기와의 관련성을 배제한 채 철저히 시의 전개와 시어들의 상징성만을 가지고 노래의 원래적 모습과 성격을 재구해 보는 작업이 요구된다.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아티클해석(해외논문해석)
예술작품의 해석(해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법개념과 법해석론의 관계 및 우리나라의 사법해석론 검토
[성경해석학] 성경해석학 핵심정리 서브노트
성경해석학 총론 2장 해석의 역사
성경해석학 총론 4장 해석자
성경해석학 총론 5장 해석목표
[수치해석]Matlab을 이용한 2계 정상 열전도 방정식의 수치해석(라플라스 방정식)
그까이꺼 해석학! 폼나게 풀어보자! (9장 후기구조주의와 해체주의 해석학)
[전산수치해석] LRC회로를 수치해석으로 구현
법률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Statutes][권력분립원칙의 고수와 법률해석의 문제]
[성경해석학] 성경해석의 15가지 원칙
기계공학 - 유한요소해석 ANSYS를 이용한 타워(TOWER) 크레인 구조해석.pptx
1970년대의 해석학적 시각에 대해 해석학적 시각의 등장 배경 및 개념정리, 학자들의 주장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