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윤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타윤리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황에서 “나는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하기로 약속한다”라고 말했다면, 그는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하기로 약속한 것이다
③ 만일 어떤 사람이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하기로 약속했다면, 그는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④ 만일 어떤 사람이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할 의무를 진 처지에 있다면, 그는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해야한다
→ 존은 스미스에게 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 자연주의자의 목적은 네 개의 전제 모두가 사실진술이면서 비윤리적인 진술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비판
- 무어는 약속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약속을 지킬 의무가 있다는 진술이 분석적 진술일 수 없다고 반론할 것이다(무어가 옳다면 전제3은 분석적 진술이 아니다)
- 규정주의자는 서얼의 접근방식이 윤리일반에 확장된다면, 이 접근방식이 우리에게 근본적인 윤리적 불일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의식적으로 무시하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반론할 것이다
서얼의 답변
-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약속을 지킬 필요가 없더라도, 이 사실이 우리가 약속발언을 한 이후 아무런 의무도 지니지 않는다는 걸 증명하지는 못한다
- 윤리적 불일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 그것은 사실에 관한 의견의 불일치가 아니라 낱말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어떤 낱말로부터 어떤 낱말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에 관한 의견)에 대한 불일치이다
자연주의자의 선택
- 자연주의자는 윤리적 결론을 사실로부터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논쟁이, 윤리적 결론이 사실로부터 이끌어내지 못한다는걸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 윤리적 불일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반론을 전개함으로써 쟁점을 피하는 쪽을 선택했다. 하지만 이에 관해 두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① 윤리적 결론이 사실로부터 나온다는 것이 확립되지 않는다
② 윤리적 불일치가 확실히 가능하다는게 명백하다는 것이다
■ 공리주의와 정의
공리주의의 문제
행복은 좋다는 주장이 어떤 성질의 것인가
- 자연주의에 대한 무어의 비판, 정서주의, 규정주의, 자연주의로 복귀하는 과정을 거쳐 살펴보았다
하나의 이론으로서 공리주의는 우리가 올바르다고 알고 있는 것과 그릇되다고 알고 있는 것과 정합하는가
정의의 문제
- 공리주의의 최대 문제는 정의의 문제이다
- 정의의 문제는 공리의 원리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다
문제에 대한 해결
- 윤리에는 적어도 두 개의 주요한 원리, 즉 공리의 원리와 정의의 원리가 있음이 틀림없다. 경우에 따라 두 원리 중 어느 하나가 우위를 차지한다
- 문제는 개별행위와 규칙을 구분하지 못하는데서 온다. 이러한 원리를 행동공리주의(act-utilitarianism)라고 부를 수 있다
- 정교하게 다듬어진 원리, 어떤 규칙을 고수하는 일에 따르는 결과에 의거해서 그 규칙을 시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원리가 있다. 이를 규칙-공리주의(rule-utilitarianism)이라고 한다.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공리의 원리 속에 공리성이 규칙-공리성으로 이해된다면, 정의의 원리는 공리의 원리에 수반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