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유아 10명당 수도꼭지 1개를 설치를 기준으로 하며 냉수와 온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세면대의 높이는 유아가 서서 편안히 씻을 수 있을 정도로 한다.
-별도의 욕실이 없는 경우 화장실 한쪽에 샤워용 겸용 수도와 욕조를 준비해 둔다.
-화장실 바닥은 미끄러지지 않는 타일을 사용하고 발이 젖지 않도록 깔판을 깔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육시설의 화장실은 최소한 법적인 시설기준에 적합하게 만들어야 한다.
5) 유희실
비나 눈이 올 때는 실내놀이를 하기 곤란하므로 대신 유희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유희실은 일종의 실내놀이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체육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밖에 유희실은 동적인 활동이나 대집단 활동에 활용되는 공간이고 강당이 없는 경우 부모교육장소나 졸업식 입학식 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유희실은 보육실보다 면적이 넓어야 하며 실내 공간 면적이 여유가 있으면 1층이나 2층에 두지만 여유가 없으면 지하층에 두는 경우도 많다. 지하층에 둘 경우 특히 환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유희실은 환기와 채광이 잘 되어야 한다.
-바닥재는 탄력성이 좋고 청소하기 쉬어야 한다.
-내구력이 있고, 소리가 적게 나는 것이 좋으며 적절한 보온을 유지하고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카펫은 소음을 흡수하고 손상이나 파손을 막아 주지만 세균과 먼지를 보유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설비는 안전미끄럼틀, 텀블링, 매트, 유아용 농구골대, 유아용 샌드백, 모래상자와 놀이기구 등이 있어야 한다.
3~5세 유아의 기본생활영역인 건강한 생활, 안전한 생활, 바른생활의 핵심은 위험한 요인과 상황에 대한 인식능력과 대처능력을 길러 자신과 타인을 보호하는 습관의 형성이다. 이를 통해서 질병 예방과 건강을 증진하고 여러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즐겁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기관과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며 각 영역에 알맞은 교실 환경구성에 있어서도 좀더 유아들이 활동하는데 편안하도록 해줌으로써 건강한 아동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서영숙외/공동체, 2007
보육과정/김정원, 이경화, 이연규, 전선옥, 조순옥, 조혜진/도서출판 파란마음2006
현장중심보육과정/이소희/신정2009
보육과정/이순형 외 공저/학지사2006
보육과정/전남련, 김재환, 권경미/양서원2006
보육시설 운영과 관리/김성희, 윤은수, 정정옥/형설출판사2008
-세면대의 높이는 유아가 서서 편안히 씻을 수 있을 정도로 한다.
-별도의 욕실이 없는 경우 화장실 한쪽에 샤워용 겸용 수도와 욕조를 준비해 둔다.
-화장실 바닥은 미끄러지지 않는 타일을 사용하고 발이 젖지 않도록 깔판을 깔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육시설의 화장실은 최소한 법적인 시설기준에 적합하게 만들어야 한다.
5) 유희실
비나 눈이 올 때는 실내놀이를 하기 곤란하므로 대신 유희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유희실은 일종의 실내놀이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체육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밖에 유희실은 동적인 활동이나 대집단 활동에 활용되는 공간이고 강당이 없는 경우 부모교육장소나 졸업식 입학식 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유희실은 보육실보다 면적이 넓어야 하며 실내 공간 면적이 여유가 있으면 1층이나 2층에 두지만 여유가 없으면 지하층에 두는 경우도 많다. 지하층에 둘 경우 특히 환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유희실은 환기와 채광이 잘 되어야 한다.
-바닥재는 탄력성이 좋고 청소하기 쉬어야 한다.
-내구력이 있고, 소리가 적게 나는 것이 좋으며 적절한 보온을 유지하고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카펫은 소음을 흡수하고 손상이나 파손을 막아 주지만 세균과 먼지를 보유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설비는 안전미끄럼틀, 텀블링, 매트, 유아용 농구골대, 유아용 샌드백, 모래상자와 놀이기구 등이 있어야 한다.
3~5세 유아의 기본생활영역인 건강한 생활, 안전한 생활, 바른생활의 핵심은 위험한 요인과 상황에 대한 인식능력과 대처능력을 길러 자신과 타인을 보호하는 습관의 형성이다. 이를 통해서 질병 예방과 건강을 증진하고 여러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즐겁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기관과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며 각 영역에 알맞은 교실 환경구성에 있어서도 좀더 유아들이 활동하는데 편안하도록 해줌으로써 건강한 아동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서영숙외/공동체, 2007
보육과정/김정원, 이경화, 이연규, 전선옥, 조순옥, 조혜진/도서출판 파란마음2006
현장중심보육과정/이소희/신정2009
보육과정/이순형 외 공저/학지사2006
보육과정/전남련, 김재환, 권경미/양서원2006
보육시설 운영과 관리/김성희, 윤은수, 정정옥/형설출판사2008
추천자료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이상적인 교육과정
[유아교육, 유치원교육, 놀이활동, 동화구연, 예절교육, 창의성, EQ발달, 사회교육] 다양한 ...
[유아사회교육]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활동 계획
장애유아를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사업][아동복지전달체계][프랑스 아동복...
표준보육과정의 의의 및 구성체계
6차교육과정 vs 2007개정유아교육과정 비교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유아교과교육] 수학교육의 목적과 내용, 수학교육의 지도방법
아동건강교육4 공통)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건강교육의 방법 및 관련기사에 관한 고찰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교육,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교과교...
영유아 수과학 교육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