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를 위한 다도 프로그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를 위한 다도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차(茶) 생활의 유래
2. 다도교육의 목적
3. 다도교육의 필요성
4. 차(茶)
5. 다도의 순서
6. 찻상 차리는 법
7. 다구의 명칭
8. 차에 대한 시
9. 다도수업 진행 순서

본문내용

분된다.
개반
다관 뚜껑이나 차호의 뚜껑을 받쳐 놓는 다구.
차칙
차를 다관에 넣을 때 사용하는 찻숟가락 용도의 다구. 대나무의 절반을 쪼개어 만들거나 대나무 뿌리로 만든 것이 있다
차탁
찻잔받침으로 도자기나 대나무, 등나무, 향나무 등으로 만든다.
나무로 만든 것이 찻잔과 부딪칠 때 충격과 소리를 방지하여
더 좋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이 있다.
차선
찻가루와 끓인 물을 저어서 거품을 내어 차와 물이 잘 섞이도록
사용하는 다구. 대나무의 쪼개짐에 따라 80본, 100본, 120본이 있다.
차선꽂이
차선을 꽂아 놓는 다구로 사용후 차선의 모양을 잡아주며 물기가 손잡이 쪽으로 츠르게 하여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차선 모양에 잘 맞는 차선 꽂이를 선택해야 하천의 형태를 변함 없이 잘 보관할 수 있다.
차시
찻통의 차를 떠서 다관에 옮기는 다구로 대나무와 일반 나무를 수 저처럼 깎아서 사용하거나 주칠을 한 수저가 사용되기도 한다. 찻 숟가락이라고도 한다. 말차를 낼 때의 차시는 주칠을 한 차시를 쓰는데 대나무 겉애가 안쪽으로 맡아져 가루가 차시에 묻어나지 않도록 되어있다.
차반
찻잔을 담아 나르기 위한 반으로 굽이 없는 쟁반 형이 있다.
차긁개
다관에 우려낸 차 찌꺼기를 꺼내기 편리하도록 만든 다구이다.
차포
찻상 위에 까는 것으로 차를 낼 때 물이 흘러도 차포에 흡수 되어 정갈해 보인다. 면으로 된 것은 차포라고 하며 대나무나 등나무 껍질로 만든 것은 차석이라고 한다.
찻상
다구들을 올려 놓고 행다를 하는 굽이 있는 다기용 상.
목제류가 많고, 모양은 우너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서랍형 등이 있다.
[ 탕관 ] 물을 끓이는 그릇으로 열의 전도가 잘되는 솥이나 주전자가 적당하다.
[ 찻통 ] 차를 덜어서 쓰는 기구
[ 차건 ] 찻그릇의 물기를 닦는 수건. 얇은 무명이 좋고 흰색이 무난하다.
[ 찻상보 ] 찻상을 덮는 부자기. 청홍보, 수보, 쪽보, 삼베, 모시, 무명등이 있다.
8. 차에 대한 시
산속
약 캐다 갑자기 길 잃고 두루 살피니
봉마다 잎이 져서 온 길 덮었네
스님은 물을 길어 절로 가더니
숲속에 차 끓이는 연기 일어나네
-이율곡-
9. 다도수업 진행 순서
① 다도정신
② 다구 명칭 익히기
③ 다구 배열
④ 찻잔 닦기
⑤ 다건 접기
⑥ 찻상 차리기
⑦ 다구 다루기
⑧ 차 우리기
⑨ 차 마시기
⑩ 소그룹 으로 대접하기
아래 ↓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