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젓가락 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젓가락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고 굵기나 형태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쇠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쇠를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쇠는 나무라는 재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과 중국의 나무젓가락과 비교하여 굵기도 가늘고 손가락으로 잡는 데 미끄럽고 조절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중국
중국은 전형적인 식탁문화로서 음식 보존을 위한 튀김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되었고 여기서 긴 형태의 젓가락 사용이 보편화되고 특히 식탁 가운데에 위치한 음식을 덜고 집기 위한 형태로서도 긴 젓가락 사용이 요구되었다.
재질은 주로 대나무 등 나무를 사용하고 잡는 부위가 뭉툭하며 잡는 방법에 대한 일정한 규칙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역적인 특성이 달라 다양한 형태의 나무젓가락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 문화의 도입과 더불어 플라스틱 젓가락, 포크 등 다양한 도구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젓가락 집는 자세도 튀김 등 크기가 큰 음식이 주를 이루어 섬세하고 정확한 동작을 요구하기보다는 편하게 잡는 기능이 중시되었다.

일본
일본은 우리와 비슷한 밥상 문화가 주를 이루고 해양국가여서 생선 등 음식의 특성상 짧은 형태의 젓가락이 발달하게 되었고 밥그릇을 입으로 가져가 젓가락으로 밥을 긁어먹는 관계로 굳이 긴 젓가락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음식 문화는 중국 등과 함께 숟가락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었고 오직 젓가락만 사용하는 음식문화가 정착하게 되었다.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재질의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