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적인 호흡음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완전기도폐쇄가 일어나면 청색증이 나타나면서 특징적으로 양쪽 손으로 목을 감싸 쥐는 '초킹사인(chocking sign)'을 하게 된다. 부분기도폐쇄가 생기면 환자는 기침을 하면서 말은 하지만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응급처치는 호흡상태가 정상이고 의식이 있을 때는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하는데, 그래도 이물질이 나오지 않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에 연락을 취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이물질을 꺼낼 때는 손가락으로 잡지 말고 손가락 끝으로 훑는 것이 좋다.
① 부분기도폐쇄 : 하임리히법(상복부압박법)을 시행하는데, 그 방법은 먼저 구조자가 주먹을 쥔 손의 엄지를 환자의 배꼽과 검상돌기 중간에 놓는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을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밀면서 올리는데,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또는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시행한다.
② 완전기도폐쇄 : 변형된 하임리히법을 시행하는데, 먼저 환자를 바닥에 똑바로 눕힌 다음,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한 손을 이용해서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손을 놓고 위로 젖힌 뒤 다른 한 손을 포개어 4~5회 빠른 속도로 민다. 이 동작을 4~5회 실시한 다음 입 안에서 이물질을 꺼낸다.
③ 유아기도폐쇄 : 먼저 얼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팔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는 환자의 머리와 목 부분이 고정되도록 잡은 다음 다른 팔을 환자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돌려서 턱을 잡은 손으로 환자를 받친다. 다른 쪽 손바닥으로 환자의 어깨뼈 사이의 등을 5회 정도 연속해서 두드린 다음 다시 앞으로 돌려서 양쪽 가슴 선 밑에 두 손가락을 올린다. 그 다음 이 부위를 압박하는데, 5회 정도 반복한다. 입 안의 이물질이 보이면 제거하고, 없으면 등 두드리기부터 동작을 반복한다.
호흡부전에서의 응급처치법
1. 앙와위로 눕힌다.
2. 구강과 목안을 깨끗이 해준다.
3. 머리를 충분히 뒤로 젖히고 기도유지 자세를 취해준다.
4. 시술자는 환자의 머리쪽에 무릎을 대고 앉아서 환자의 두 손목을 가슴 아래쪽에 서로 엇갈리게 모으되 복부쪽으로는 닿지 않게 한다.
5. 시술자의 몸을 앞으로 기울여 2초간 천천히 균등한 압력을 흉부에 가한다.
6. 몸을 뒤로 젖히면서 환자에게 가한 압박을 풀고 환자의 팔을 위와 바깥족으로 잡아올려 3초간 유지
7. 호흡이 회복될때까지 반복 분당 12회의 주기로 실시
8. 환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하면 회복자세를 취해준다.
1. 환자의 얼굴을 딱딱하고 편평한 바닥에 대고 손을 포개서 머리밑에 놓는다. 얼굴은 옆으로 보게끔 돌리고 뺨은 손의 가장 자리 상부에 올려 놓는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펴줘서 기도를 개방시킨다.
2. 환자의 머리쪽에 한쪽 무릎을 대고 다른쪽발은 환자의 팔꿈치에 댄다. 양손을 환자 등의 어깨깃의 가장 상부에 대고 엄지손가락은 척추옆에 가지런히 놓는다.
3. 팔꿈치를 쭉 펴서 앞으로 기울여 약 2초동안 수직으로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호기를 시켜준다.
4. 몸을 뒤로 젖혀서 환자의 팔을 팔꿈치 바로 위에서 잡는다. 어깨에서 저항이나 장력이 느껴질 때까지 환자의 팔을 약 3초간 들어줌으로써 흡기를 느낀다.
5. 환자의 팔을 내려놓고서 다시 손을 등에 댄다. 이러한 주기를 분당 12회 시행 팽창과 압박의 주기는 적어도 5초이상 지속
6. 4회 시행후 심박동 검사. 심박동 없으면 환자를 돌려 눕혀서 외흉부 압박법 시행 실베스터의 호흡법 사용
7. 환자가 정상적 호흡 시작하면 회복자세 취해준다.
흉부압박 상지거상법 (Reviced sylvester method)
홀거닐센의 인공호흡법 (Holger Nielsen artificial ventilation)
1.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환자의 머리옆에 선다.
2. 기도와 목의 이물질 제거
3. 환자의 목을 과도신전시키며 담요등이 있으면 환자의 목 밑을 받쳐준다.
4. 마스크를 입과 코에 맞도록 씌우며 이때 face mask의 위와 아래를 엄지와 둘째 손가락으로 잡고 3, 4, 5번째 손가락으로 환자의 턱을 위로 잡아당긴다.
5. 다른손으로 self inflating bag을 환자의 가슴이 충분히 올라올 때까지 쥐었다가 놓으면서 환자의 폐에 공기를 넣어준다. 이때 환자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
6. self inflating bag을 쥐었다 놓은 뒤 bag이 재팽창되면 반복하여 누르고 1분에 12-15회 반복 실시한다.
Self inflating bag-mask법
응급처치는 호흡상태가 정상이고 의식이 있을 때는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하는데, 그래도 이물질이 나오지 않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에 연락을 취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이물질을 꺼낼 때는 손가락으로 잡지 말고 손가락 끝으로 훑는 것이 좋다.
① 부분기도폐쇄 : 하임리히법(상복부압박법)을 시행하는데, 그 방법은 먼저 구조자가 주먹을 쥔 손의 엄지를 환자의 배꼽과 검상돌기 중간에 놓는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을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밀면서 올리는데,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또는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시행한다.
② 완전기도폐쇄 : 변형된 하임리히법을 시행하는데, 먼저 환자를 바닥에 똑바로 눕힌 다음,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한 손을 이용해서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손을 놓고 위로 젖힌 뒤 다른 한 손을 포개어 4~5회 빠른 속도로 민다. 이 동작을 4~5회 실시한 다음 입 안에서 이물질을 꺼낸다.
③ 유아기도폐쇄 : 먼저 얼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팔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는 환자의 머리와 목 부분이 고정되도록 잡은 다음 다른 팔을 환자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돌려서 턱을 잡은 손으로 환자를 받친다. 다른 쪽 손바닥으로 환자의 어깨뼈 사이의 등을 5회 정도 연속해서 두드린 다음 다시 앞으로 돌려서 양쪽 가슴 선 밑에 두 손가락을 올린다. 그 다음 이 부위를 압박하는데, 5회 정도 반복한다. 입 안의 이물질이 보이면 제거하고, 없으면 등 두드리기부터 동작을 반복한다.
호흡부전에서의 응급처치법
1. 앙와위로 눕힌다.
2. 구강과 목안을 깨끗이 해준다.
3. 머리를 충분히 뒤로 젖히고 기도유지 자세를 취해준다.
4. 시술자는 환자의 머리쪽에 무릎을 대고 앉아서 환자의 두 손목을 가슴 아래쪽에 서로 엇갈리게 모으되 복부쪽으로는 닿지 않게 한다.
5. 시술자의 몸을 앞으로 기울여 2초간 천천히 균등한 압력을 흉부에 가한다.
6. 몸을 뒤로 젖히면서 환자에게 가한 압박을 풀고 환자의 팔을 위와 바깥족으로 잡아올려 3초간 유지
7. 호흡이 회복될때까지 반복 분당 12회의 주기로 실시
8. 환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하면 회복자세를 취해준다.
1. 환자의 얼굴을 딱딱하고 편평한 바닥에 대고 손을 포개서 머리밑에 놓는다. 얼굴은 옆으로 보게끔 돌리고 뺨은 손의 가장 자리 상부에 올려 놓는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펴줘서 기도를 개방시킨다.
2. 환자의 머리쪽에 한쪽 무릎을 대고 다른쪽발은 환자의 팔꿈치에 댄다. 양손을 환자 등의 어깨깃의 가장 상부에 대고 엄지손가락은 척추옆에 가지런히 놓는다.
3. 팔꿈치를 쭉 펴서 앞으로 기울여 약 2초동안 수직으로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호기를 시켜준다.
4. 몸을 뒤로 젖혀서 환자의 팔을 팔꿈치 바로 위에서 잡는다. 어깨에서 저항이나 장력이 느껴질 때까지 환자의 팔을 약 3초간 들어줌으로써 흡기를 느낀다.
5. 환자의 팔을 내려놓고서 다시 손을 등에 댄다. 이러한 주기를 분당 12회 시행 팽창과 압박의 주기는 적어도 5초이상 지속
6. 4회 시행후 심박동 검사. 심박동 없으면 환자를 돌려 눕혀서 외흉부 압박법 시행 실베스터의 호흡법 사용
7. 환자가 정상적 호흡 시작하면 회복자세 취해준다.
흉부압박 상지거상법 (Reviced sylvester method)
홀거닐센의 인공호흡법 (Holger Nielsen artificial ventilation)
1.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환자의 머리옆에 선다.
2. 기도와 목의 이물질 제거
3. 환자의 목을 과도신전시키며 담요등이 있으면 환자의 목 밑을 받쳐준다.
4. 마스크를 입과 코에 맞도록 씌우며 이때 face mask의 위와 아래를 엄지와 둘째 손가락으로 잡고 3, 4, 5번째 손가락으로 환자의 턱을 위로 잡아당긴다.
5. 다른손으로 self inflating bag을 환자의 가슴이 충분히 올라올 때까지 쥐었다가 놓으면서 환자의 폐에 공기를 넣어준다. 이때 환자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
6. self inflating bag을 쥐었다 놓은 뒤 bag이 재팽창되면 반복하여 누르고 1분에 12-15회 반복 실시한다.
Self inflating bag-mask법
추천자료
[운동처방]근기능 및 심폐기능 강화의 운동처방
운동 강도 설정법 종류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 강도 설정법의 종류 심박수에 의한 운...
[운동과건강] 근기능 및 심폐기능 향상 프로그램
내분비계 질환 및 심폐질환
심폐 움직임의 용어
저강도유산소 운동이 선천성 심장병력을 가진 다운증후군 아동의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문 체력 트레이닝 방법,근력, 근 지구력, 근 파워, 심폐지구력
[의학] 국내외 심폐능력 향상 응용 사례
CPR(cordiopulmonary_resuscitation)
심폐물리치료 - 심장기능부전에 관해
[심폐물리치료] 폐 기능의 검사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트레이닝의 원리
[A+] 심폐지구력 - 심페지구력 운동 단기효과장기효과 유산소운동, 산소성FITT지침, 최대심박...
운동처방 - 고온과 저온에서의 운동방법,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