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신교목회상담과 카톨릭목회상담의특징을설명하시오
2.현대목회상담과 한국인의 특성을 정리해보시오
3.결론
2.현대목회상담과 한국인의 특성을 정리해보시오
3.결론
본문내용
바 있으나, 여의치 않아 그 교육을 멈추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목회자들 서로가 도움이 되는 체제로서의 수퍼바이저(supervisor)나 멘터(mentor) 등을 세워 목회의 어려움을 자문하도록 하는 제도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교회의 사회봉사 및 사회정책에 대한 기본방향을 목회자에게 제시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의 계층구조적인 목회체제의 개선이 요청된다. 지금과 같은 권위주의적 체제보다는 하나의 팀 목회(team ministry)의 체제로 목회자들 간에 상호 협력하여 목회를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회들이 지금과 같이 어떤 제동 장치 없이 무한정으로 경쟁하는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일례로 네트웍 교회(network church)와 같이, 교회들이 서로 연합하여 협력하는 체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목회자의 영적 남용, 교회의 사유화, 성직세습, 권위적 리더쉽, 교단분열, 물량주의, 성장중독증, 목회자원의 분배문제, 목회자간의 빈부격차, 대외공신력 하락 등의 윤리적 문제들을 한국교회의 맥락에서 위의 논의들에 포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생각한다.
교회의 사회봉사 및 사회정책에 대한 기본방향을 목회자에게 제시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의 계층구조적인 목회체제의 개선이 요청된다. 지금과 같은 권위주의적 체제보다는 하나의 팀 목회(team ministry)의 체제로 목회자들 간에 상호 협력하여 목회를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회들이 지금과 같이 어떤 제동 장치 없이 무한정으로 경쟁하는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일례로 네트웍 교회(network church)와 같이, 교회들이 서로 연합하여 협력하는 체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목회자의 영적 남용, 교회의 사유화, 성직세습, 권위적 리더쉽, 교단분열, 물량주의, 성장중독증, 목회자원의 분배문제, 목회자간의 빈부격차, 대외공신력 하락 등의 윤리적 문제들을 한국교회의 맥락에서 위의 논의들에 포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