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종에서 차별화하여 성공한 사례 실패한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비스업종에서 차별화하여 성공한 사례 실패한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월마트의 국내시장 실패
2. 이마트의 중국시장 성공
3. 두기업의 결정적 차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도 코스트코에서는 불편함이 아닌 특별함으로 작용했다. 결국 월마트가 추구했던 ‘매장 형태와 서비스의 글로벌화’와 ‘상품 구성의 현지화’는 한국 시장에서 외국 기업도 국내 기업도 아닌 어정쩡한 이미지를 낳았다. 자신만의 브랜드 정체성을 확보하지 못한 결과는 소비자의 외면이었다. 월마트는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정확한 포지셔닝을 정하지 못하고 들어온 듯 하다. 코스트코와 같이 완벽하게 글로벌 표준화 시켜서 외국의 마트라는 이미지를 주지도 못하였고, 그렇다고 이마트처럼 완벽한 한국형 마트로 탈바꿈하지도 못한 채 매장 형태와 서비스는 미국식, 상품 구성은 현지식인 그야말로 어중간한 상태에 머무르고 말았다. 본원적 경쟁전략과 스프레드 전략의 표에서 보게 된다면, 월마트는 이마트나 여타 다른 마트에 비해 특별하게 높은 원가우위를 점하고 있었던 것도 아니면서, 그렇다고 코스트코와 같이 완벽하게 차별화 되지도 못하는 ‘경쟁에서 패배영역’에 위치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에 한 개 점포(역삼동)만 보유하고 있어 월마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자체도 낮았다. 월마트는 또 질보다 가격 위주의 제품 구매행태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상품도 다양하지 못하고 저가 제품 위주’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소극적인 이벤트와 홍보활동도 월마트코리아가 한국을 떠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었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2) 이마트의 가치 지향적 할인점 도입
가치 지향적 할인점은 기존의 할인점과는 완전히 다른 신 개념으로 단지 싸게 상품을 판매하는 할인점이 아니라 고개들이 좋은 품질 의 상품을 싸게 구매하면서, 좋은 서비스와 함께 일상생활과 관련된 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고, 쾌적한 쇼핑 환경을 느낄 수 있어 고객들이 최고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점포를 의미한다. 중국 이마트가 이러한 가치 지향적 할인점의 개념에 적합해지기 위해서는 다음에 제시되는 몇 가지 요인들을 지켜나가야 한다. 첫째, 가격 측면에서 경쟁 할인점보다 3~5% 저렴해야 한다. 둘째, Full Line 상품을 구비해야 한다. 좋은 품질, 위생, 안전한 상품을 갖춰야 하며 품질은 경쟁자 대비 확실히 우수해야 한다. 셋째, 고객을 대하는 모든 종업원은 친절해야 한다. 친절이야 말로 최고의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넷째, 앞서 언급한 One Stop Life Service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미래 지향적 할인점의 개념은 단순한 상품 구매뿐 아니라 동사무소나 구청의 민원 업무의 대행 서비스, 은행, 세탁, 약국, 미용실, 카드서비스 등 모든 것을 함께 할 수 있는 One Stop 서비스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99
참고문헌
임성훈, 2010. ‘기업 성장과 해외시장 진출’, 『표준 국제경영 1.0』, p. 304
임성훈, 2010. ‘국제화 과정과 해외시장 진출방식, 전략적 제휴’, 『표준 국제경영1.0』, pp. 53-55.
머니 투데이, ‘유통제국 월마트, 해외 시장 성공기’, 2006년 5월 22일자.
한겨레, ‘세계1위 유통업체 월마트도 8년만에 철수, 2006년 5월 22일자.
  • 가격4,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9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