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법률제정절차
2.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국회상임위원회
2.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국회상임위원회
본문내용
하고 이곳의 심의를 거쳐 본회의에 법률안이 상정된다. 하지만 상임위에 회부된 안건만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각 상임위는 소관 사항에 대하여 자주적인 심사권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그 소관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법률안을 스스로 입안하여 제출할 수 있다. 상임위원회의 의원배정은 교섭단체소속의원수 비율에 의하여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의 요청으로 의장이 선임한다. 교섭단체에 속하지 못한 국회의원의 상임위 배정은 의장이 한다.
- 17개 상임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재정경제위원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문화관광위원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산업자원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위원회 99
- 17개 상임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재정경제위원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문화관광위원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산업자원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위원회 99
추천자료
헌법재판소의 권한에 대한 고찰
헌법재판소의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심사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우리나라 정부형태(대통령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이스라엘 정치제도 분석
인간배아 연구가 헌법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
신문법-언론중재법 판례평석[헌재 2006.06.29. 2005헌마165, 2005헌마314, 2005헌마555, 2005...
[공직자][공무원][공직사회][공직자상][공무원상][부정부패][부정부패방지][반부패정책]공직...
가정폭력사건에 대한 경찰의 개입
[군가산점 논란] 군가산점제도의 이해와 찬성론과 반대론 및 발전방향
성매매 방지 법안
신상정보공개제도와 전자발찌
군가산점제도의 이해 및 발전방향
정치자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