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기 실적위주의 특기생 진학제도
2. 학력저하
3. 운동부 학생들의 구타
4. 신체적 특성과 성장과정을 고려하지 않는 혹독한 훈련
5. 운동부 지도자 선임의 투명성, 고용불안
6. 학교생활과 단절되어버린 운동부
7. 학교 운동부의 체육영재 발굴기능의 부재
8. 학교 체육시설의 독점
9. 엘리트 선수의 감소, 특정 종목에의 편중
10. 미래가 없는 운동선수들
2. 학력저하
3. 운동부 학생들의 구타
4. 신체적 특성과 성장과정을 고려하지 않는 혹독한 훈련
5. 운동부 지도자 선임의 투명성, 고용불안
6. 학교생활과 단절되어버린 운동부
7. 학교 운동부의 체육영재 발굴기능의 부재
8. 학교 체육시설의 독점
9. 엘리트 선수의 감소, 특정 종목에의 편중
10. 미래가 없는 운동선수들
본문내용
수에 불과하다. 종일 운동에 매달리고 수업에는 전혀 참여하지 않는 운동부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여 전업운동선수로 일자리를 얻지 못한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최소한의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이 운동이외의 직업을 얻을 수 있을 리 만무하다. 학교 운동부 지도자들은 학생들의 미래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당장 앞으로 다가올 경기의 승리만을 생각할 뿐이다. 승리를 위해서 우리 운동부 학생들은 철저히 이용당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운동부 학생들의 미래를 위하여 수업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진학에 학업성적을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을 강력히 주장한다. 누차 강조하였지만 학교 운동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은 운동부 학생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라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를 거부하는 청소년
엘리트 스포츠 지도자의 코칭행동 효율성을 위한 바람직한 과제제시
학교 평가 제도에 관한 소고
평등 교육과 엘리트 교육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교육 과정
우리나라 엘리트스포츠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향
[스포츠정책][스포츠][정치][엘리트스포츠정책][엘리트스포츠][영국 스포츠정책]스포츠와 정...
체육과평가(체육교육평가) 기본방향과 평가영역, 체육과평가(체육교육평가) 오해와 편견, 체...
사회체육(사회체육활동) 개념, 사회체육(사회체육활동) 기능, 사회체육(사회체육활동)과 농촌...
체육과(체육교육)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과 이해중심게임수업, 체육과(체육교육) 동료지도(...
체육과교육(수업) 전술게임학습, 체육과교육(수업) 체력중심학습, 체육과교육(수업) 탐구중심...
교육사회학_특목고의 문제점에 대하여 논술
특목고 현황과 그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