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련 정리-04-교육철학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태련 정리-04-교육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Claude Levi-Strauss)에 의해 현대철학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3) 구조주의를 대표하는 학자들로는 문화인류학의 레비 스트로스, 정신분석학의 자크 라캉(Jaarques Lacan), 문학비평의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등을 들 수 있다.
4) 그리고 대표적인 교육학자로는 피아제(Piaget), 콜버거(Kohlberg), 촘스키(Chomsky), 브루너(Bruner), 갈등론을 대표하는 교육사회학자인 알튀세(Althusser), 부르디외(Bourdieu) 등을 들 수 있다.
2. 기본입장
1) 구조주의는 인간의 주체성과 역사성을 내세우는 실존주의와 가장 대립되는 사상이다.
2)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내용과 본질을 만들어 간다고 보는 반면 구조주의는 주체를 구조의 산물로 본다.
3) 인간의 언어, 사회구조, 정신 등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구조가 존재하며 개개인의 특성은 보편적인 구조에 의해 마련된 가능성을 일정하게 조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4) 그리고 구조주의에서는 이 ‘구조’가 시간과 문화적 상황(역사성)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즉, 구조가 모든 시대, 모든 상황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이다.
3. 후기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1) 후기구조주의는 구조주의가 주장하는 보편적인 구조를 해체하려는 보다 급진적인 흐름이다.
2) 이는 서구 역사에서 보편적인 이성과 절대적 진리가 초래한 전체주의적인 억압을 문제 삼으면서 개별성, 우연, 단절, 차이 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 한다.
3) 이 흐름 가운데 일부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4) 대표자: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리오타르(J.F. Lyotard)
교육철학20
포스트모더니즘
1. 개관
1) 포스트모더니즘이란 1979년 리오타르(J. F. Lyotard)에 의해 학술적 용어로 처음 사용되어 학문의 영역에 등장한 흐름으로, 계몽사상으로 대표되는 근대사회의 보편적합리적절대적객관적총체적 지향을 비판한다.
2) 이는 탈이데올로기 사회, 후기 자본주의 소비사회, 디지털 영상정보화 사회, 신중간계급 사회, 신과학(new science) 사회로 지칭되는 20세기 후반기의 인간 생활양식의 변화를 설명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등장한 문화논리이자 사상체계이다.
3) 대표적 사상가로는 리오타르(J. F. Lyotard), 라깡(Lacan), 데리다(Derrida), 푸코(Foucault) 등을 들 수 있다.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
1) 절대적인 진리의 존재 부정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법칙이 있다는 근대 자연과학과 계몽사상의 입장을 비판하고 인간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자 한다.
2) 대서사보다는 소서사를 지향 : 그래서 모든 사람, 모든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대서사(grand narrative)를 거부하고, 개인이나 소집단에 초점을 맞춘 소서사에 관심을 둔다.
3) 거대이론보다는 국지이론을 지향 :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사회, 모든 인간에 적용될 수 있는 거대이론보다는 개인과 소집단에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국지이론을 지향한다.
4) 이론과 실제의 결합 지향 : 그래서 실제 생활을 추상화시켜 현실과는 거리가 멀어진 이론보다는 현실에 실천될 수 있는 이론을 지향한다.
5) 인간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이 지닌 이성이 절대적인 진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사회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을 비판한다.
6) 인간의 유한성과 다양성 인정 : 그래서 모든 인간이 이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라는 계몽사상의 입장에서 벗어나, 인간이 현실세계라는 한계 속에서 살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에 따라 현실을 다르게 인식하고 행동하는 다양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을 인정하고자 한다.
7) 지식의 보편성과 객관성 부정 : 따라서 인간의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지식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며 항상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비교>
구분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진리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의 존재 인정
절대적인 진리의 존재 부정
인간과 사회의 다양성 인정
사회이론에 대한 입장
모든 사회, 모든 인간에 적용되는 거대이론 추구
대서사 지향
실제를 객관화한 이론의 추구
개인이나 소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 국지이론 추구
소서사 지향
이론과 실제의 결합 추구
인간관
절대적 이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의 보편성 강조
사회와 독립되어 활동할 수 있는 인간 존재 강조
인간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가는 존재
인간의 다양성 인정
지식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
지식의 현실성, 가치지향성, 역사성 인정
지식의 상대성, 주관성, 변화가능성 강조
3.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이론
1) 학습자 중심교육 :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보편적인 지식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닌 가치에 따라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보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내세운다.
2) 전생애적 교육(평생교육)의 강조 :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교육이 학교라는 제한된 울타리를 넘어서서 전생애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3) 전인적인 교육의 중시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의 경험이 인간을 변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인간이 하는 모든 경험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특성은 조화롭게 발달되어야 한다고 본다.
4) 공동체에 관심 : 인간이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삶이 형성되는 공간인 공동체에 관심을 둔다.
5) 지식과 신념체계의 비판적 파악 : 인간의 지식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지식과 신념체계가 어떤 동기, 관심, 가정, 전제하에 형성된 것이며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본다.
  • 가격12,6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12.03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