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개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의 개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한자의 개혁 ★


Ⅰ.한자개혁의 필요성

Ⅱ. 한자 간화운동의 역사
 1. 문자학의 관점에서 본 한자간화
 2. 한자의 간화운동
  *진시황의 문자 통일*

Ⅲ.현대 한자개혁의 추이

Ⅳ. 한자의 간화방안(簡化方案) 및 간화방법
 1. 간체자의 글자수
 2. 한자 간화의 방법
 3. 이체자(異體子)의 정리

Ⅴ. 한자개혁의 문제점

Ⅵ. 대만의 언어정책
 1. 대만 언어정책의 방향
 2. 국어보급운동의 역사
 3. 간화한자 토론

본문내용

고 잘 쓰지 않는 글자는 전문가들의 고전연구에만 쓰도록 한다.
이 제의는 결의를 거쳐 통과되엇는데, 1953년 3월 성(省) 정부는 교육부의 명령으로 각교 학생들이 간체자를 쓰는것을 금지시켰다.
이로 인해 간화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수많은 논쟁이 있었고 50년대에는 뚜렸한 결론없이 일단락됐다. 60년대말에 이르러 다시 이 문제가 거론됐다. 1969년 5월 임어당(林語堂)이 중화문화부응운동위원회 상위회의에서 간체자를 정리하도록 건의했다. 회의는 이 건의에 대해 교육부 개혁촉진위원회에서 연구 처리하도록 할 것을 결정했다. 1970년 12월 교육부는 전문가 학자를 불러 연구에 참여하도록 했다. 연구모임은 세가지 원칙을 정했다.
첫째, 정부는 상용자를 연구 공포해야 하고 간필자를 제창해서는 안된다.
둘째, 표준자모를 적극 연구, 제정해 인쇄체를 획일화한다.
셋째, 중국어 타자기의 개량을 연구해 간화 응용에 편리하도록 한다.
이에 대만의 간화한자에 관한 토론은 상용자를 연구하고 한자표준을 제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 결과 <상용국자표준자체표(常用國字標準子體表)> < 표준행서범본(標準行書范本)> 두개의 용자표준이 나왔다. 전자는 번체자를 썼고 후자는 대량의 간체자를 썼다. 이로써 번체자 간체자 병용이 대만의 용자 현상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대만이 상용자를 연구하고 한자 표준을 제정한 것은 1970년대에 시작된다. 1972년 대만 교육부는 한자표준화 계획을 정했다. 계획은 1단계 사용자 정리,. 2단계 표준자체 지정, 3단계 자모(字摸)를 주조한다는 내용의 3단계 계획을 세웠다.
1973년 1월 교육부는 정식으로 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 사용자와 표준자체의 선정을 위탁햇다.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 <국어사전(國語辭典)>등 20여종의 자료와, 중학교소학교 교과서와 사회 일반 독서물에서 80여 만자를 선정, 그 출현 빈도율에 따라 등급을 매겨 4808개의 사용한자를 선정했다. 선정원칙은 당시 교육부장 주회삼(朱匯森)의 문장에 근거했다.
첫째, 여러 체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을 정체(正體)로 한다.
둘째, 정자(正字), 속자(俗子) 두 자가 다 쓰일 경우는 육서(六書)에 부합하는 것을 선택한 다.
셋째, 정자와 속자가 다 육서에 부합할 경우에는 가장 간략한 것을 선택한다.
넷째, 필획이 번간(簡)과 무관한 경우에는 조자(造字)의 원리에 부합하는 것을 구한다.
다섯째, 정체가 번잡하고 쓰이지 않으나 속체는 간략하게 쓰이며 또 육서에 부합할 경우에 는 속체를 표준체 로 취한다.
<상용국자표준자체표>의 내용은 한자마다 표준자체와 필획수가 있고 또 설명란이 있다. 설명란에는 이체자와 규범자형에 대해 주를 달았다. 이 <상용국자표준자체표>는 이체자정리표와 자형정리표라고 할 수 있다. 상용자 제정의 기초위에 차(次) 상용자와 드물게 쓰이는 글자 연구작업을 진해했다. 1973년부터 1982년까지 <상용국자표준자체표(常用國字標準字體表)>와 <차사용국자표준자체표(次常用國字標準字體表)>를 완성했다. 전자는 갑표(甲表)라고 일컬어지고ㅓ(4808자), 후자는 을표(乙表)와 병표(丙表)로 나누어진다. 을표(乙表)는 차(次)상용자 6341자이고 병표(丙表)는 드물게 쓰이는 글자 4399자이다. 3표 총 15548자이다.
시기
내용
49.10.10
중국문자개혁협회성립. 주석에 오옥장, 그외 이사 78명
50.8.9
간체자연구(簡體字硏究)와 선정공작좌담회(選定工作座談會) 개최. 간체자선정 4개원칙 제정
51.
간화 대원칙 “약정속성, 온보전진(約定俗成, 穩步前進)” 제정
51
중국문자개혁위원회주비위원회(中國文字改革委員會籌備委員會)
<제1차간체자표>편성. 555자 수록.
52.하반기
문자개혁연구위원회 <상용한자간화표초안(常用漢字簡化表草案)> 제1고 만듦. 700자.
53.11
한자정리조 <상용한자간화표초안> 제2고 내놓음. 338자
54.2
한자정리조 <상용한자간화표초안> 제3고 내놓음. 1634자
55.1
중국문자개혁위원회 <한자간화방안초안> 공포 :
- <798개한자간화표(초안)> : 필획의 간화
- <없애고자 하는 400개 이체자표(초안)> : 자수의 정간(精簡)
- <한자편방필기간화표(초안)> : 편방쓰기법 간화
55.2
<한자간화방안초안>을 주요간행물에 발표
55.7.13
국무원 산하 한자간화방안 심정위원회 결성
55.9
<한자간화방안수정초안>이 심정위원회에 제출, 심의. 결과는 798개 간화자에서 512자로, 간화편방 56개 첨가하여 <제1차이체자정리표초안> 작성
55.10.15
중국문자개혁위원회와 교육부 공동으로 <한자간화방안수정초안> 토론. 간화자수 515개, 간화편방 54개로 정리 <한자간화방안>과 <제1차이체자정리표초안> 통과
56.1.28
위의 <한자간화방안> 인민일보에 공포
- <한자간화표제1표> : 240개의 번체자를 230개로 간화
- <한자간화제2표> : 299개 번체자를 285개로 간화
- <한자편방간화표> : 간화된 편방 54개
64.5
국무원의 지시로 <간화자총표> 편제
- <제1표> : 352개 편방으로 쓰이지 않는 간체자 수록
- <제2표> : 132개 간화편방으로 쓸 수 있는 간체자, 14개 간화편방 수록
- <제3표> : 제2표 중 간체자와 간화편방으로부터 유추된 것
==>ㅇ 2,264개 번체자, 간화된 후 간체자는 2,238자(실제는 2,236자 : 簽, 須 2자는 중복)
ㅇ 획수로는 번체자가 36,280으로 평균 16획 / 간체자는 23,055로 평균 10.3획
66~76
문화대혁명기간. 어문정책의 침체
77.12.20
<제2차한자간화방안(초안)>이 인민일보와 광명일보에 발표
간화자와 간화개혁사업의 모순이 <제2차한자간화방안(초안)>에서 드러남. 논쟁이 계속됨.
78.6.16
주유광은 광명일보에 <한자간화문제의 재인식>이란 제목의 글 발표.
<제2차한자간화방안(초안)>의 간화필획을 반대. 장소화 등의 반대에 부딪침.
85
중국문자개혁위원회를 국가어언문자공작위원회(國家語言文字工作委員會)로 기구명칭을 바꿈
86.2
국가어언문자공작위원회 <제2차한자간화방안(초안)>을 폐지할 것을 국무원에 요구
86.6
국무원이 <제2차한자간화방안(초안)>을 폐지하도록 지시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1.25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