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 발표연구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교 발표연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교의 창시자와 기원       ...... 3
핵심적 가르침과 사상       ......  4
도교가 지향하는 삶        ...... 5
도교 발전사           ...... 6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 9
도교의 신봉자의 숫자와 분포   ...... 11
도교의 독특한 특징        ...... 11

본문내용

도교 의식은 기존 질서의 해체와 재통합을 목표로 하는 민중 종교의 이념에 수용되어 이른바 신종교 운동으로 표출되었다. 동학, 증산교, 원불교 등은 조선 말기 이후 창립된 수많은 민중 종교들 중에서 대표성을 지니고 오늘날까지 존속, 발전해 오고 있다.
근대 이후
조선 말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도교는 크게 세 가지 방면에서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첫째로, 동학증산교원불교 등 신종교를 비롯하여 불교무속 등 다른 종교 속에 수용된 형태로 남아있다.
둘째로, 민속의 형태로 조왕신산신성황신 등에 대한 숭배와 관련된 민속이 아직도 향촌 생활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셋째로, 개인 혹은 소규모 계파의 형태로 도교 수련의 기품이 전해져 오고 있다. 이러한 형태가 현대에 와서 전국적인 규모의 수련 단체로 발전한 케이스로 한국연정원국선도 등을 들 수 있다.
(6) 도교 신봉자의 숫자와 국가 (지도 활용)
도교 신도들은 주로 아시아권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아시아권에서도 도교에 발상지인 중국에서 대략 4 억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타이완 ·홍콩 등지에서 중국인 사회의 신앙이 되어 있다. 그러나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과 러시아 브라질 호주 등에도 도교가 분포하고 있다.
(7) 도교의 독특한 특징
도교만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무생물계에도 영혼이 있다고 믿는 세계관인 애니미즘, 토템 신앙에 의해 형성되는 종교 형태인 토테미즘 등의 원시 신앙에 근거한 민간종교에 음양오행설, 도가 사상 등이 결합하여 성립된, 그 근원이 확실한 불교 혹은 유교와는 다른 생성과정을 거친 종교라는 것이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이란 음양설과 오행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음양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이 음과 양이 확장하고 소멸함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며, 오행설은 목, 화, 토, 금, 수의 다섯 가지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행함으로써 우주의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오행은 수·화·목·금·토를 가리키면서 우주에 편재하고 있으면서 충만한 5가지의 에너지 원소이다. 체계적인 음양오행설을 성립시킨 대표적인 학자에는 추연이 있다.
도가사상이란 노자, 장자 등이 중심이 되는 철학파이다. 도가사상에서는 도가의 도덕은 인위가 없는 무위자연의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며 이에 따라 인생론에서도 무욕과 허무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연대도에 순응하는 삶을 이상적인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지식과 가치에서는 상대주의와 반지주의를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장자에 이르러 절대자유 절대평등의 사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도교는 사회적 종교였던 원시 종교에서 개인의 구제를 목표로 하는 종교로 변화하였으며, 죽음을 두려워하고 영원불멸을 꿈꾸는 인간의 본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그 한계를 뛰어넘으려던 종교이다.
또한 도교는 기독교 혹은 이슬람교와 같이 내세에서의 불사를 고민하지 않고 현세에서 불로불사할 것을 목표로 하는 현세적인 종교이다.
도교는 애니미즘의 영향으로 다신교 성향을 띄는데, 어느 도교 경전은 인간의 몸에 사는 신은 3만 6천 여 명이라고 할 정도이다. 그럼에도 신들의 비중이 크지 않고 그 위에 우주의 근본 원리인 도가 존재한다는 점이 독특한 점이다. 또한, 그 신들이 우주에 거하는 동시에 그 우주가 몸에 담겨있어 신들이 몸에 거하기도 한다는 소우주 사상 또한 특징적인 점이다.
도교의 신들은 주로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자연현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하늘과 저승 그리고 지상을 각각 관장하는 다양한 신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도교의 신들의 그들의 별명이 많이 있기 때문에 계통을 밝히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대체로 기원이나 성격별로 신들을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1) 노자에서 분화된 최고신들
원시천존=태상노군, 영보군, 신보군 태극금관제군, 대도군
-이들은 신이라기 보단 도道 그 자체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2) 원기, 음양, 자연의 신들
상상태일, 무극태상원군, 동왕부, 서왕모도군, 노군, 태화
(3) 자연의 사물과 동식물을 상징하는 신들
천신, 지신, 일신, 월신, 성신신, 풍신, 우신, 뇌신, 산천신 등
(4)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들
사명신, 재신, 공장신, 의약신, 역신, 문신, 무신, 공자, 안회, 관우, 여망 등
(5) 귀신을 관장하는 신들
풍도북음대제, 주 문왕, 무왕, 진시황제, 한 고조, 위 무제, 진 문공, 제 환공 등
그런데, 도교의 신들 중에는 만들어진 신도 있지만 실존했던 인물이 신이 된 경우도 있다. 즉, 누구라도 도를 얻으면 신선 즉 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도덕경」 老子 원전, 오강남 풀이, 현암사, 1995
「도교」 앙리 마스페로, 신하령, 김태완 옮김, 까치, 1999
「한 권으로 읽는 도교」 장언푸 지음, 김영진 옮김, 산책자, 2008
「내단」1,2 권 이원국 지음, 김낙필, 이석명, 김용수, 나우권 옮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정재서 지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도교의 신들」 마노 다카야 지음, 이만옥 옮김, 들녘, 2001
URL :
http://blog.naver.com/wol_san?Redirect=Log&logNo=140057268465
http://ko.wikipedia.org/wiki/%EB%8F%84%EA%B5%90
http://100.naver.com/100.nhn?docid=47477
http://cafe.joinsmsn.com/cafe/cafefolderlist.asp?cid=genedea&list_id=529808&folder_no=84&page=1
http://cafe.daum.net/busancultureclub/HAj0/62?docid=1HZGM|HAj0|62|20100711232109&q=%BA%CE%B7%CF%C6%C4&srchid=CCB1HZGM|HAj0|62|20100711232109
http://blog.daum.net/mokryeon/6383927
http://www.cyberspacei.com/jesusi/inlight/philosophy/chinese/taoism/taoism_o.htm#_Toc503421579
  • 가격13,86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3.25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5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