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면역체계 -기존 면역계의 보완책에 대한 proposal-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로운 면역체계 -기존 면역계의 보완책에 대한 proposal-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새로운 면역체계
-기존 면역계의 보완책에 대한 proposal-


Ⅰ. 들어가며

Ⅱ. 면역계의 전반적인 Remodeling
 1. DNA scanning system의 도입
 2. 새로운 면역세포-H cell(호식세포:phagophill)의 도입

Ⅲ. 기존 면역계의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1. 과민반응
 2. 암
 3. 자가면역질환
 4. 수동면역의 능동면역화

Ⅳ. 맺으며

본문내용

게 한다. 수동면역을 위해 주어진 항체를 생성하는 기억세포를 생성한다면 더 다양한 항원에 대해 더 효과적으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태아와 모체 사이의 수동면역을 살펴보자. 먼저, 태반과 모유를 통해 주어지는 IgA 등의 항체를 태아가 받게 된다. 모체로부터 주어진 다양한 항원들을 태아의 면역세포가 endocytosis 등을 통해 intake한다. 이 때 모체에서 주어진 IgA가 모두 흡수되면 그 항체들에 의한 면역작용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수동면역에 의해 주어진 항체를 intake할 수 있는 면역세포는 그 숫자가 매우 적어야 한다. 또한 endocytosis와 항체생성의 기능을 해야 하므로 plasma cell의 특성도 지녀야 한다. 또 항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항체의 Fc receptor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에서는 이 특수한 형태의 면역세포가 필요하다.
또한 exogenous Ag에 의한 pathway와 유사한 과정도 필요할 것이다. 항체의 Fc region을 인지한 Fc receptor에 의해 항체가 세포내로 유입된 후 variable region과 constant region 사이가 specific하게 fragmentation 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그 다음 variable region이 prion처럼 단백질 형태가 복제되어 항체를 생산해낸다면 수동면역의 능동면역화가 완성된다.
이러한 과정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반복될수록 더 다양한 항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면역시스템이 될 것이다.
Ⅳ. 맺으며
보다 완벽한 면역계를 구축해보고자 논의를 해나가면서 너무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우리 몸의 면역계가 얼마나 정교한가에 대해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체 시스템을 완전히 새롭게 구축해보려고 시도했으나 기존의 면역계만큼 정교한 시스템을 만들기란 쉽지 않았고 오히려 면역계가 막지 못하는 질병들에 초점을 맞추어 보완하는 것이 ‘신’이 내렸을 현명한 선택일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DNA scanning을 통한 엄밀한 감시, H-cell, C-cell과 같은 새로운 면역세포의 도입으로 외부항원의 침입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대응, 수동면역의 능동면역화 등의 보완책들이 2%부족한 기존의 면역계를 완벽한 시스템으로 만들어줄 것이다. 그리하여 remodeling을 거친 새로운 면역계에서는 과민반응, 암,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질병들을 막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