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점
2. 행정청의 의무의 존재(강제규범성)
3. 사익보호목적의 존재(사익보호성)
4. 소구가능성의 존재
5. 헌법에 의한 개인적 공권의 성립
2. 행정청의 의무의 존재(강제규범성)
3. 사익보호목적의 존재(사익보호성)
4. 소구가능성의 존재
5. 헌법에 의한 개인적 공권의 성립
본문내용
칙상 인정할 수 없다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2) 청구권적 기본권·환경권 - 불가
(4) 판례의 태도
1) 알권리의 구체적 기본권성 여부
본권 서류에 대한 열람·복사 민원의 처리는 법률의 제정이 없더라도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할 것이다.
2) 헌법 제35조 1항(환경권)의 성격
헌법 제35조 제1항에서 정하고 있는 환경권에 관한 규정만으로는 그 권리의 주체·대상·내용·행사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고, 환경정책기본법 제6조도 그 규정 내용 등에 비추어 국민에게 구체적인 권리를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밖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헌법상의 환경권 또는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하여 공유수면매립면허처분과 농지개량사업 시행인가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원고적격이 없다.
2) 청구권적 기본권·환경권 - 불가
(4) 판례의 태도
1) 알권리의 구체적 기본권성 여부
본권 서류에 대한 열람·복사 민원의 처리는 법률의 제정이 없더라도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할 것이다.
2) 헌법 제35조 1항(환경권)의 성격
헌법 제35조 제1항에서 정하고 있는 환경권에 관한 규정만으로는 그 권리의 주체·대상·내용·행사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고, 환경정책기본법 제6조도 그 규정 내용 등에 비추어 국민에게 구체적인 권리를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밖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헌법상의 환경권 또는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하여 공유수면매립면허처분과 농지개량사업 시행인가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원고적격이 없다.
추천자료
단체협약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의 입법방안
민법상의 혼인과 이혼 규정
공법상의 계약에 대한 민법규정의 적용 - 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
조합재산의 처분과 민법규정
공법상의 계약에 대한 민법규정의 적용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대한 민법상의 규정
교원의 노동기본권 금지규정의 위헌성
중국에서의 유한책임회사 설립 규정과 회사법
민법상 무능력자의 상대방의 보호 규정에 대하여
일본의 연장근로 및 휴게시간 특례규정 관련 법규 연구
법인의 주체성,양벌규정 판례평석 2003도4966 판결
집시법 중 야간집회 금지규정 헌법 불합치 결정의 문제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헌법 규정의 법적성격 검토
사회복지전문직에서는 인간과 환경을 하나의 총체로 규정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양자 간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