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소설교육의 실제 -중학교 2학년 교과서 수록 작품 ‘기억 속의 들꽃’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근대소설교육의 실제 -중학교 2학년 교과서 수록 작품 ‘기억 속의 들꽃’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겁을 내는 서울 아이한테 얼핏 생각이 미쳐 눈길을 하늘에서 허리가 동강이 난 다리로 끌어냈을 때 내가 본 것은 강심을 겨냥하고 빠른 속도로 멀어져가는 한 송이 쥐바라숭꽃이었다.
명선이가 들꽃이 되어 사라진 후 어느 날 한적한 오후에 나는 그때까지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는 모험을 혼자서 시도해 보았다. 겁쟁이라고 비웃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까 의외로 용기가 나고 마음이 차갑게 가라앉은 것이었다. 나는 눈에 띄는 그 즉시 거대한 팽이로 둔갑해 버리는 까마득한 강바닥을 보지 않으려고 생땀을 흘렸다. 엿가락으로 흘러내리다가 가로지르는 선에 얹혀 다시 오르막을 타는 녹슨 철근의 우툴두툴한 표면만을 무섭게 응시하면서 한뼘 한뼘 신중히 건너갔다. 철근의 끝에 가까이 갈수록 강바람을 맞는 몸뚱이가 사정없이 까불렸다. 그러나 나는 천신만고 끝에 마침내 그 일을 해내고 말았다. 이젠 어느 누구도, 제 아무리 쥐바라숭이꽃일지라도 나를 비웃을 수는 없게 되었다.
지옥의 가장귀를 타고 앉아 잠시 숨을 고른 다음 바로 되돌아 나오려는데 이때 이상한 물건이 얼핏 시야에 들어왔다. 낚시바늘 모양으로 꼬부라진 철근의 끝자락에다 끝으로 칭칭 동여맨 자그만 헝겊 주머니였다. 명선이가 들꽃을 꺾던 때보다 더 위태로운 동작으로 나는 주머니를 어렵게 손에 넣었다. 가슴을 잡죄는 긴장 때문에 주머니를 열어 보는 내 손이 무섭게 경풍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주머니 속에서 말갛게 빛을 발하는 동그라미 몇 개를 보는 순간 나는 손에 든 물건을 송두리째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학습 활동
1. ‘기억 속의 들꽃’에 나타나있는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파악해보자.
시간적 배경
공간적 배경
2. ‘기억 속의 들꽃’의 등장인물과 그 성격을 파악해 보자.
등장인물
성격
3. 2번과 같이 파악한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4. ‘명선’이의 죽음은 무엇으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생각해 보자.
5.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생각해 보자.
먼저 본격적으로 작품을 다루기에 앞서 교사는 ‘읽기 전에’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스키마를 활성화시키며 학습목표를 확인시켜 줄 수 있다. 그러면 학생들은 그 수업에서 배울 내용이 무엇인 지 알 수 있으며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집중하게 되므로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중학교 2학년의 학생의 수준이라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본문을 읽으며 작품에 명시되어 있는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학습활동 1번)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의 행동과 대화를 통해 그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학습활동 2번) 그렇다면 교사는 학생으로 하여금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물어봐야 한다. 어떤 구절이 인물의 성격을 규정짓는 데에 기여하였는가에 대한 질의응답이 오가면 학생들이 본문에서 인물의 성격을 추론해내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학습활동 3번) 그러면 인물이 그렇게 행동하기까지 주변 상황이 기여한 바를 학생들이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교사가 유도를 해야 한다.(학습활동 3,4번) 이와 같은 교수·학습 활동을 거치고 나면 어느 정도 학생들이 성취 기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도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웠던 소설의 플롯이나 소설의 시간과 공간, 소설의 서술방식, 초점화, 패러디 등 다양한 소설의 기법들을 이 소설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1) 소설의 플롯(구성)
° 발단 : 피란민이 몰려드는 우리 마을
° 전개 : 금반지로 인해 우리 집에 살게 된 피란민 명선이
° 위기 : 반지로 인해 겪게 되는 ‘나’의 부모와 명선이 사이의 갈등과 사건
° 절정 : 다리에서 위험한 곡예를 즐기다 죽는 명선이
° 결말 : 다리에서 명선이가 숨겨 둔 주머니를 발견하고 강물에 떨어뜨리는 ‘나’
(2) 소설의 시간과 공간
° 시간적 배경 : 피란민, 포성, 인민군, 공습, 폭탄 → 6.25 전쟁 당시
° 공간적 배경 : 만경강 근처의 어느 마을
→ 6.25전쟁이라는 역사적 상황을 통해 어린 명선이의 삶이 전쟁에 휘둘리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쟁으로 인해 야박해진 마을 사람들의 인심 때문에 결국 명선이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내용에 암묵적인 근거를 제공해주고 있다.
(3) 서술 방식
- 보여주기 방식
한 떼거리의 피난민들이 머물다 떠난 자리에 소녀는 마치 처치하기 곤란한 짐짝처럼 되똑하니 남겨져 있었다. 정갈한 청소부가 어쩌다가 실수로 흘린 쓰레기 같기도 했다. 하얀 수염에 붉은 털옷을 입고 주로 굴뚝으로 드나든다는 서양의 어느 뚱뚱보 할아버지가 간밤에 도둑처럼 살그머니 남기고 간 선물 같기도 했다.
- 말하기 방식
날이 가고 달이 갔다. 어느덧 초가을로 접어드는 날씨였다. 남쪽에서 쳐 올라오는 국방 군에 밀려 인민군이 북쪽으로 쫓겨가지 시작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생각보다 전쟁이 일찍 끝나 남쪽으로 피난 갔던 숙부가 어느 날 불쑥 마을에 다시 나타날 경우를 생각하면서 어머니는 딱할 정도로 조바심을 치기 시작했다. 내가 벌써 귀띔을 해 주어서 어른들은 명선이가 숙부로부터 버림받는 게 아니라 스스로 도망쳤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전쟁이 끝나기 전에 어떻게든 명선이의 입을 열게 하려고 아버지는 수단 방법을 안 가릴 자세였다.
(4) 초점화
° 학교 교육에서의 관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명선이가 주인공이고 ‘나’는 그런 명선이를 관찰하며 서술하고 있다.
° 리몬-케넌의 관점
- 초점 대상 : 명선이
- 초점자 : 어린 시절의 ‘나’
- 서술자 : 어른이 된 ‘나’
(5) 패러디
이 작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설교육은 어떤 성취 기준을 목표로 하는가에 따라 그 과정안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서론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교육과정 해설서’에는 성취 기준을 설명해주는 내용이 잘 명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내용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수업 전략을 제시하는 역할은 교사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수업 절차와 방법을 탐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효율적이고 매력적으로 소설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5.23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