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KANT
-칸트의 정언명법 제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1. 법칙 속에 있는 선 - 준칙
2. 정언명법
토론거리
-칸트의 정언명법 제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1. 법칙 속에 있는 선 - 준칙
2. 정언명법
토론거리
본문내용
트 《도덕형이상학 서설》; 정진 역(도덕철학원론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됨) 을유문고, 에서 인용)
위에 적은 것이 칸트가 자신의 도덕률에 따라 전개한 [자살]에 관한 견해입니다.
칸트의 저 설명에 대해서는 김태길(金泰吉)의 비판이 아주 통렬합니다. 김태길은 그의 저서인 《윤리학》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칸트는 감정의 직분(※ 의무)은 생명의 진척을 촉진하는 것인데 도리어 감정으로써 생명을 파괴하는 것은 자연의 자기모순이라는 이유로, 자살이 부당함을 추론하였다.
그러나 '감정의 직분은 생명의 진척을 촉진함'이라는 전제는 아직 확립된 원리가 아니다. 만약 자살이라는 행동이 감정의 소치라면, 실제로 자살의 현상이 있다는 사실은 감정이 생명을 파괴할 수도 있다는 증거이다. 감정이 생명을 해치는 사례도 있는 자연은 이미 성립하고 있으며 설령 인류의 전체가 자살한 뒤일지라도 인간이라는 생물이 없는 대로 자연은 성립할 것이다."
토론거리
▷ 만원이 된 구명보트에 어떤 사람이 살기위해 헤엄쳐 올 때 그를 구해야 하는가?
▷ 자살에 대한 찬반
▷ 두 가지 도덕적의무가 상충할 때
예시)
*자신의 종교를 다른 이에게 선교한다는 자신의 보편적 입법원리가 다른 종교이거나 종교가 없는 사람들의 종교자유의 보편적 입법원리가 충돌할 때
*어떤 친구가 나에게 무기를 맡기면서 그가 필요할 때 돌려주기로 약속했다.
어느 날 그 친구가 흥분한 상태로 돌아와 부정한 아내를 죽이겠다고 무기를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이때 친구에게 무기를 돌려주기로 한 약속이행의 의무와 살인을 막아야한다는 두 가지 도덕적의무가 상충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 거짓말
위에 적은 것이 칸트가 자신의 도덕률에 따라 전개한 [자살]에 관한 견해입니다.
칸트의 저 설명에 대해서는 김태길(金泰吉)의 비판이 아주 통렬합니다. 김태길은 그의 저서인 《윤리학》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칸트는 감정의 직분(※ 의무)은 생명의 진척을 촉진하는 것인데 도리어 감정으로써 생명을 파괴하는 것은 자연의 자기모순이라는 이유로, 자살이 부당함을 추론하였다.
그러나 '감정의 직분은 생명의 진척을 촉진함'이라는 전제는 아직 확립된 원리가 아니다. 만약 자살이라는 행동이 감정의 소치라면, 실제로 자살의 현상이 있다는 사실은 감정이 생명을 파괴할 수도 있다는 증거이다. 감정이 생명을 해치는 사례도 있는 자연은 이미 성립하고 있으며 설령 인류의 전체가 자살한 뒤일지라도 인간이라는 생물이 없는 대로 자연은 성립할 것이다."
토론거리
▷ 만원이 된 구명보트에 어떤 사람이 살기위해 헤엄쳐 올 때 그를 구해야 하는가?
▷ 자살에 대한 찬반
▷ 두 가지 도덕적의무가 상충할 때
예시)
*자신의 종교를 다른 이에게 선교한다는 자신의 보편적 입법원리가 다른 종교이거나 종교가 없는 사람들의 종교자유의 보편적 입법원리가 충돌할 때
*어떤 친구가 나에게 무기를 맡기면서 그가 필요할 때 돌려주기로 약속했다.
어느 날 그 친구가 흥분한 상태로 돌아와 부정한 아내를 죽이겠다고 무기를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이때 친구에게 무기를 돌려주기로 한 약속이행의 의무와 살인을 막아야한다는 두 가지 도덕적의무가 상충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 거짓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