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역사와 이데올로기
2) 반공 이데올로기
(1) 매카시즘
(2) 대한민국과 반공
3) 인종주의
4) 신대륙 개척
5) 교과서와 이데올로기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1) 역사와 이데올로기
2) 반공 이데올로기
(1) 매카시즘
(2) 대한민국과 반공
3) 인종주의
4) 신대륙 개척
5) 교과서와 이데올로기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만, 이러한 것이 남성지배 사회를 유지하려는 이데올로기로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배워온 교과서에는 무수한 사회의 생각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다.
예로써 제1장 지역과 사회 탐구라는 사회 교과서에서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 예를 들어서 지역 조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와 농촌의 편향을 보여준다.
㉠ 도시의 지역 사회조사를 예로 들고 있다. 수원시의 예를 들고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서 하는 것이지만 36-37, 39쪽의 내용에서 보면 ‘시청에서 하는 일-수원시 행정조직도, 시장과 시민의 의견 수렴과 답변 - 교통문제, 주민 참여방법’ 이다. 이는 도시에 생활하면 유사하거나 공감하는 내용을 싣고 있다. 시청의 조직도는 다른 도시와는 유사한 면을 보이겠지만 군청 같은 곳과는 다를 것이다. 또한 교통문제 역시 농촌에서는 거리가 먼 사항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은연중에 교과서가 도시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접하는 농촌지역의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시민단체나 여러 가지 기관을 접하는 것에 힘들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나오는 것은 도시의 학생들에 맞게 서술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과서는 그 어떠한 서적보다 권위 있고 기품 있지만, 그것 또한 소수의 전문가들에 의해 저술된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이들이 아무리 글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해도 나름의 가치가 글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글을 읽어나가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3. 결론
이상 발표에서는 역사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이 또한 역사의 한 측면만을 부각시킴으로써 역사를 부적으로 왜곡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구성을 하게 된 이유는, 객관적이고 올바르게 서술된 역사라 한다면 그것을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지나치더라도 유해함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특정 이념이나 사상을 주입하기 위해 교묘히 위장된 서술이라 한다면, 그것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바로 잡을 수 있기 위해선 역사가 실제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리처드 에번스(1999). 역사학을 위한 변론. 소나무
강철구(2006). 역사와 이데올로기. 용의 숲
김성환. 《교실밖 세계사여행》:20세기에 부활한 마녀사냥, 매카시 선풍. 사계절
▣참고사이트
http://ko.wikipedia.org
이렇듯 우리가 배워온 교과서에는 무수한 사회의 생각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다.
예로써 제1장 지역과 사회 탐구라는 사회 교과서에서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 예를 들어서 지역 조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와 농촌의 편향을 보여준다.
㉠ 도시의 지역 사회조사를 예로 들고 있다. 수원시의 예를 들고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서 하는 것이지만 36-37, 39쪽의 내용에서 보면 ‘시청에서 하는 일-수원시 행정조직도, 시장과 시민의 의견 수렴과 답변 - 교통문제, 주민 참여방법’ 이다. 이는 도시에 생활하면 유사하거나 공감하는 내용을 싣고 있다. 시청의 조직도는 다른 도시와는 유사한 면을 보이겠지만 군청 같은 곳과는 다를 것이다. 또한 교통문제 역시 농촌에서는 거리가 먼 사항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은연중에 교과서가 도시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접하는 농촌지역의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시민단체나 여러 가지 기관을 접하는 것에 힘들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나오는 것은 도시의 학생들에 맞게 서술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과서는 그 어떠한 서적보다 권위 있고 기품 있지만, 그것 또한 소수의 전문가들에 의해 저술된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이들이 아무리 글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해도 나름의 가치가 글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글을 읽어나가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3. 결론
이상 발표에서는 역사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이 또한 역사의 한 측면만을 부각시킴으로써 역사를 부적으로 왜곡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구성을 하게 된 이유는, 객관적이고 올바르게 서술된 역사라 한다면 그것을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지나치더라도 유해함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특정 이념이나 사상을 주입하기 위해 교묘히 위장된 서술이라 한다면, 그것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바로 잡을 수 있기 위해선 역사가 실제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리처드 에번스(1999). 역사학을 위한 변론. 소나무
강철구(2006). 역사와 이데올로기. 용의 숲
김성환. 《교실밖 세계사여행》:20세기에 부활한 마녀사냥, 매카시 선풍. 사계절
▣참고사이트
http://ko.wikipedia.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