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①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의 본질(삼위일체)
②월남전
③걸프전
④클라우제비츠의 전쟁수행신념, 군사력 건설 및 운용
Ⅲ결론
Ⅱ본론
①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의 본질(삼위일체)
②월남전
③걸프전
④클라우제비츠의 전쟁수행신념, 군사력 건설 및 운용
Ⅲ결론
본문내용
혔다. 첫째, 조건 없이 이라크군의 쿠웨이트에서 철수 , 둘째, 적법한 쿠웨이트 정부의 복원, 셋째, 해리트루만 이후 미국 국가이익에 중요한 걸프만에서의 안보와 안정, 넷째, 외국거주미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부시 대통령은 의회로부터 쿠웨이트에 대한 이라크군을 철수를 위한 ‘모든 가능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았고, 이것으로 인하여 선전포고를 상정하지 않았지만 그와 비슷한 효과를 가져왔고, 국민들이 국내 반전 운동가들을 비난하게 되어 ‘베트남 증후군(국민적 거부)’를 감소시켰다.
미국 군대는 전술적 승리와 전략적 패배의 관점에서 반성하고 군 수뇌부의 도덕적 용기의 부재와 직업의식을 개선하고자 각 군이 ‘기본에 충실하자’는 운동을 추진함으로써 걸프전에서 결실을 얻게 되었다. ‘기본으로의 회구’란 군사력과 군사전략의 기본원칙들을 군사 전문가가 수립하는 것이며, 핵시대와 제한전 환경에서도 전통적 군사술과 교리가 적용되어야 혼란이 최소화되고 국민과 의회가 주도적으로 전쟁에 참여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에 입각하여 월남전과 걸프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두 전쟁을 이끈 나라는 미국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패배한 월남전과 그 패배를 교훈삼아 승리로 장식한 걸프전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의 전략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도가 필요하고 국민들이 전쟁에 대해 이야기 하고 필요로 느껴야 하며, 전장의 지휘관들과 군이 군사전문가가 되어서 이 분야에 대해서 큰 힘을 발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러한 국민과 지휘관들이 정부를 신뢰하고 말을 따를 수 있게 하여야한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수행에 있어서 국민들이 지니는 원초적인 감정, 군대가 직면하는 불확실성과 우연, 정부가 갖는 이성 간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고, 이들 중에서 어는 것 하나도 제외하지 않고 모두를 제대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제비츠는 정부의 이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부의 이성적인 판단에 의하여 증오감에 휩싸인 국민들을 가라앉히고, 승리를 위하여 모든 것을 동원하려고 하는 군인들을 진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참고문헌) 해리서머스- ‘미국의 걸프전 전략’, ‘미국의 월남전 전략’
류제승역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참고논문) 경기대학교 이정웅 석사 (2008) - 삼위일체와 마찰 구조의 전쟁 분석 이론 연구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미국 군대는 전술적 승리와 전략적 패배의 관점에서 반성하고 군 수뇌부의 도덕적 용기의 부재와 직업의식을 개선하고자 각 군이 ‘기본에 충실하자’는 운동을 추진함으로써 걸프전에서 결실을 얻게 되었다. ‘기본으로의 회구’란 군사력과 군사전략의 기본원칙들을 군사 전문가가 수립하는 것이며, 핵시대와 제한전 환경에서도 전통적 군사술과 교리가 적용되어야 혼란이 최소화되고 국민과 의회가 주도적으로 전쟁에 참여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에 입각하여 월남전과 걸프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두 전쟁을 이끈 나라는 미국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패배한 월남전과 그 패배를 교훈삼아 승리로 장식한 걸프전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의 전략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도가 필요하고 국민들이 전쟁에 대해 이야기 하고 필요로 느껴야 하며, 전장의 지휘관들과 군이 군사전문가가 되어서 이 분야에 대해서 큰 힘을 발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러한 국민과 지휘관들이 정부를 신뢰하고 말을 따를 수 있게 하여야한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수행에 있어서 국민들이 지니는 원초적인 감정, 군대가 직면하는 불확실성과 우연, 정부가 갖는 이성 간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고, 이들 중에서 어는 것 하나도 제외하지 않고 모두를 제대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제비츠는 정부의 이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부의 이성적인 판단에 의하여 증오감에 휩싸인 국민들을 가라앉히고, 승리를 위하여 모든 것을 동원하려고 하는 군인들을 진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참고문헌) 해리서머스- ‘미국의 걸프전 전략’, ‘미국의 월남전 전략’
류제승역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참고논문) 경기대학교 이정웅 석사 (2008) - 삼위일체와 마찰 구조의 전쟁 분석 이론 연구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