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금][사과]능금(사과)의 정의, 능금(사과)의 역사, 능금(사과)의 수출, 능금(사과)의 능금(사과)정책, 능금(사과)과 개화기 능금(사과), 능금(사과)과 식민지시기 능금(사과), 능금(사과)과 번영기 능금(사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능금][사과]능금(사과)의 정의, 능금(사과)의 역사, 능금(사과)의 수출, 능금(사과)의 능금(사과)정책, 능금(사과)과 개화기 능금(사과), 능금(사과)과 식민지시기 능금(사과), 능금(사과)과 번영기 능금(사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능금(사과)의 정의

Ⅲ. 능금(사과)의 역사

Ⅳ. 능금(사과)의 수출

Ⅴ. 능금(사과)의 능금(사과)정책

Ⅵ. 능금(사과)과 개화기 능금(사과)

Ⅶ. 능금(사과)과 식민지시기 능금(사과)

Ⅷ. 능금(사과)과 번영기 능금(사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今村秋)이 크게 증가하여 1.5배를 넘어섰으며, 만삼길 품종은 약 1.5배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1930년대의 전국 과일수확량과 작부상황
연 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능금나무수
(그루)
1,997,659
2,087,214
2,208,806
2,327,560
2,585,368
2,833,149
3,048,896
수확량
(관)
11,897,153
14,424,020
16,050,479
15,799,283
20,417,672
19,077,184
22,145,295
과일나무는 1933년도에 비해 1937년에 1.3배로 증가하였는데, 같은 기간 동안의 과일의 수확량은 무려 1.7배나 증산되었다. 이를 보면, 이 기간동안 한국의 과일생산은 과일나무수의 증가율을 훨씬 넘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는 한국의 과일 생산이 1930년대 후반부터 크게 발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과수산업의 급속한 발달은 무엇보다 조선총독부 산하의 시험연구기관의 활동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물론, 수원의 권업모범장과 같은 해에 설립된 뚝섬원예지장은 1924년에 폐지되었지만, 1908년부터 시작된 ‘식재시험’, ‘일반 관리 및 저장’, ‘병충해’ 등의 시험연구는 여전히 계속되었다. 특히 권업모범장은 온갖 우여곡절을 겪은 후 1929년에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으로 개칭되었는데, 1930년대에는 주로 이곳에서 능금에 대한 모든 시험연구가 이루어졌다.
한편, 이 시기 능금재배의 급속한 확산은 온갖 새로운 기술적 요구들을 여기저기에서 야기하였다. 전국의 능금 주산지들이 저마다 능금을 위한 독자적인 시험장 설립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그 최초의 것이 바로 1937년에 설립된 ‘평안남도 능금시험장’이었다. 이른바 평안남도는 진남포 용강군을 중심으로 능금을 생산하였으나, 보다 나은 발전을 추구하기 위하여 용강군에 능금시험장을 신설하였다. 이 곳에서는 ‘일반 재배기술’, ‘병충해 방제’ 등에 관한 시험연구에 착수하였는데, 그 시험결과는 ‘農務年報’, ‘發行周知’ 등의 책자에 게재되었다. 그러나 1944년에 이 시험장은 한국의 시험기관 정비통합 방침에 따라 통합되었다.
한편, 1940년에 이르면 주산지였던 황해도에서도 ‘능금시험장’이 새로이 설립되었다. 왜냐하면 황주군을 중심으로 능금을 재배하여 한국 제일의 주산지로서 그 이름을 떨치고 있었던 황해도의 능금은, 점차 능금나무의 수명이 길어져감에 따라 병충해와 생리장해의 빈발에 직면하였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능금 시험기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던 그들은 마침내 1940년에 황주읍에 능금시험장을 설치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시험장 역시 1944년에 있었던 ‘시험기관 정비 통합’때문에 ‘조선총독부 농업시험황주군장’으로 전환되었다. 황해도 능금시험장은 그들의 시험결과를 시보로 알리는 등의 지도장려에 노력하였다. 이른바 “능금원(萍果園) 녹비 작물의 재배(시보 제1호 1943년 4월)”, “복숭아심식충(桃心)의 무대방제(無袋防除)에 대하여 (시보 제2호 1943년 4월)”, 그리고 “능금(萍果)의 약재(시보 제3호 1944년 3월)” 등이 그것이다.
참고문헌
○ 김완진(2002), 사과와 능금, 그리고 멎, 국어학회
○ 김준원(1987), 능금, 경북능금협동조합
○ 석태문 외 1명(2001), 경북 능금산업의 발달과정 : 기술사적 관점, 한국농촌사회학회
○ 석태문(1998), 경북능금산업발달사연구, 경북대학교
○ 이호철(2002), 개화기 서양능금과 과수 재배기술의 수용, 한국농업사학회
○ 허무열(2011), 사과 소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