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충렬전(劉忠烈傳)에 나타난 문제의 제기와 해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충렬전(劉忠烈傳)에 나타난 문제의 제기와 해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제의 제기
(1) 집권세력의 무능과 부패에 관한 문제의 제기
(2) 가족의 해체에 관한 문제의 제기

3. 문제 해결
(1) 집권층의 교체와 제거를 통한 문제의 해결
(2) 영웅의 활약을 통한 문제의 해결

4. 결론

본문내용

시에 정한담을 생포하여, 국가를 위기에서 구해내는 영웅다운 면모를 보인다. 결국 유충렬은 가문의 몰락과 가족의 해체를 가져온 인물이었던 정한담을 제거하면서 가족의 복수를 하게 되고 동시에 국난을 해결하게 된 것이다. 또한 호국으로 가서 전란 중에 잡혀갔던 황제의 가족인 황태후와 황후, 태자도 위기의 상황에서 구출해왔으며, 전란을 일으킨 외적 호왕을 죽임으로써 국가의 복수 또한 이루게 된다. 더불어 모든 위기를 해결하고 돌아오는 중에는 죽은 줄로만 알았던 부모와 아내, 처부모도 구출한다. 즉 <유충렬전>에서는 주인공 유충렬의 영웅적 활약을 통해 해체되었던 가족의 화합을 이루고 천자의 가족 또한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의 시련과 위기를 극복하여 나라에 위대한 과업을 성취하여 자신의 가문을 부흥시키면서 제기되었던 문제의 해결을 꾀하고 있다.
주인공 유충렬의 일대기 속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문제 상황은 조선후기 사회의 역사 현실과 매우 흡사하다. 정한담과 유심의 대결에서는 조선후기 당파 싸움을 볼 수 있으며 호국의 침입으로 나라의 위기를 맞게 되는 것과 황태후 일행이 잡혀 가는 수모를 당하는 것은 병자호란에 의한 당대의 역사적 현실을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병자호란 때의 가족 해체의 문제는 신분에 관계없는 범계층적인 피해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국가의 위기 속에 영웅의 등장은 필연적이었다. 즉 영웅의 활약을 통해 전란 후 우리민족이 겪은 치욕감과 패배의식, 복수의식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당시 조선은 전쟁의 패배로 세자와 대군을 포함하여 수많은 조선인들이 청나라에 포로로 잡혀가고 사람들은 이러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적개심과 분노, 복수심의 해결 열망을 작품 속에서 해결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영웅을 통한 해결방식은 열망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을 역설적으로 나타낸다.
4. 결론
이상에서 <유충렬전>에 나타난 문제의 제기와 그 해결방법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충렬전>은 전형적인 영웅소설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만 영웅의 일생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당대 집권계층의 무능과 부패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유충렬전>은 주인공 가족의 문제와 더불어 천자의 가족, 일반 백성들의 가족문제까지 확장하여 제시하고 있어 가족의 문제를 국가의 문제와 결부시켜 제시했다.
이렇게 제기된 문제들은 나름의 해결을 꾀하고 있다. 당대 집권계층의 무능과 부패의 문제는 무능한 천자를 태자로 교체하고 부패한 정한담 세력을 제거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했는데 이는 작자층으로 추정되는 실세한 몰락양반들이 자신들의 득세욕구를 작품에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족의 해체에 관한 문제의 해결은 주인공 유충렬의 영웅적 활약을 통해 꾀하고 있는데 가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그와 결부된 국가의 문제까지 해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식은 당대 사람들의 열망을 반영하여 실제로는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들을 작품 속에 해결된 것으로 나타내어 시대상황에 대해 역설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2001.
김현양, 유충렬전과 ‘가족애’, 고소설연구 제 21집, 월인출판사, 2006.
김민수, 유충렬전의 결연에 대하여, 연민학지 10권, 2002.
박일용,진경환, 유충렬전의 서사구조와 소설사적 의미 재론, 질의, 고전문학연구 8권, 1993.
이상구, 유충렬전의 갈등구조와 현실인식, 어문논집 34권, 1995.
임성래, 유충렬전의 대중소설적 연구, 연민학지 2권, 1994.
최혜진, 유충렬전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 고전문학연구 13호, 1998.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