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염세주의적 입장인 쇼펜하우어와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생을 비방하는 기독교적인 것을 감수한 바그너에게 결별을 선언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무효화하고 허무주의의 도래를 선언하고 있다. 그는 허무주의를 도래하게 한 요인들을 종래의 철학, 도덕, 종교로 보고, 그것들을 부숴버리고 새로운 가치로 대치시키려 하였다. 그는 결국 이러한 허무주의의 본질을 파헤치고 허무주의를 극복하면서 새로운 미래의 철학을 제시하려 하였다.
니체의 철학은 보편적인 법칙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며 과학적으로 파악하기를 거부하는 비합리주의 철학이다. 이러한 철학은 모든 객관적 진리내용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 니체의 반민주적이고 반진보적인 사상은 국수적인 정치적 제 경향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산파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니체는 제국주의의 보수적이고 파쇼적이며, 뚜렷한 비합리주의 노선의 독일 부르주아 철학의 시조이다. 더 나아가 니체는 실존 철학과 심리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정동호, 니이체 철학의 현대적 조명, 서울, 청람문화사, 1985.
프리드리히 니체, 반 그리스도, 서울, 청하, 1989.
김태관, 니체와 그리스도교,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4.
그는 지금까지의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무효화하고 허무주의의 도래를 선언하고 있다. 그는 허무주의를 도래하게 한 요인들을 종래의 철학, 도덕, 종교로 보고, 그것들을 부숴버리고 새로운 가치로 대치시키려 하였다. 그는 결국 이러한 허무주의의 본질을 파헤치고 허무주의를 극복하면서 새로운 미래의 철학을 제시하려 하였다.
니체의 철학은 보편적인 법칙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며 과학적으로 파악하기를 거부하는 비합리주의 철학이다. 이러한 철학은 모든 객관적 진리내용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 니체의 반민주적이고 반진보적인 사상은 국수적인 정치적 제 경향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산파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니체는 제국주의의 보수적이고 파쇼적이며, 뚜렷한 비합리주의 노선의 독일 부르주아 철학의 시조이다. 더 나아가 니체는 실존 철학과 심리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정동호, 니이체 철학의 현대적 조명, 서울, 청람문화사, 1985.
프리드리히 니체, 반 그리스도, 서울, 청하, 1989.
김태관, 니체와 그리스도교,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