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와 불심으로 민족사를 되살린 큰 작가 - 보각국존 일연(一然)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와 불심으로 민족사를 되살린 큰 작가 - 보각국존 일연(一然)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13세기 고려의 현실과 일연의 삶
3.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작가의식(설화를 중심으로)
4. 일연의 불교적 세계관과 민중적 인식
5. 맺음말

본문내용

해 그와 다를 바 없이 고통을 겪고 있는 당대 민중의 구원이라는 높은 뜻을 『삼국유사』에 담은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 구원의 본질과 방법론에 있다. 일연에게 있어 구원의 본질이란 고통의 현실에서 탈피하여 극락에 가는 것이고 그 성취 방법은 지극한 발원과 수행 그리고 그에 따라 발휘되는 부처님의 신이한 힘이었다. 이러한 관점과 관련하여 우리는 『삼국유사』에 유난히 신이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 『삼국유사』는 신이한 이적들과 신앙이 낳은 기적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처의 권능에 대한 의존과 기약 없는 내세에 대한 믿음이 현실을 극복하는 유효한 논리일 수 있는 가에 대한 문제는 종교 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삼국유사』의 가장 큰 딜레마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이를 일연과 『삼국유사』의 한계로 규정하기에 앞서 일연이 살았던 당시의 시대상황과 민중의 처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당대의 민중을 위해 종교인 일연의 입장에서 베풀 수 있는 자비란 무엇이었겠는가? 신앙을 통한 진정한 불국토의 수립, 그리고 그를 통한 민중의 구원. 이는 난세를 살았던 종교인 일연의 지성의 선택이었으며 절망 속의 중생에게 던진 구원의 빛이었을 것이다. 그가 노구를 마다하지 않고 심혈을 기울여 『삼국유사』를 집필한 참뜻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그 자신 진정한 불국토를 여는 길에 발 벗고 나선 고귀한 실천 행이었던 것이다.
5. 맺음말
고려사에서 가장 격변기로 대외적으로는 외적의 침입으로 인해 치욕과 분노의 시대를, 대내적으로는 무인 집권기의 독재와 폭압의 시대를 살았던 일연. 우리는 그를 일반적 의미의 ‘작가’라고 보기 어렵다. 하지만 그는 다른 어떤 문인보다도 더 크고 훌륭하게 작가적 역할을 수행해냈다.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져 버릴 운명에 있었던 정신적 창조적 유산들이 그의 손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얻었다. 격변기적 시대 흐름에 좌절하지 않고, 조잡하고 허황해 보이는 잡다한 이야기들을 모아서, 하나의 독창적이고 광대한 문학세계를 형성해 민족사를 통째로 되살리려고 한 그의 구상이 『삼국유사』를 통해 훌륭히 성취되었던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그의 개방적 태도와 너그러운 포용 정신, 그리고 진정한 불국토를 건설하여 중생을 구제하려고 했던 신앙심에 의해 가능했다. 물론 종교적 편향성이 드러나는 점도 있지만 설화를 바탕으로 민족 정신을 이처럼 힘차게 복원한 적은 전례에 없었다. 고대인의 모습을 꾸밈없이 보여주고, 고대의 사상적인 풍토와 시대 정신 등을 알려주는 데 중요한 단초가 되고 있는 『삼국유사』. 우리는 일연의 『삼국유사』를 통해, 신앙정신을 바탕으로 고통과 행복, 믿음과 희망이 함께 살아 숨쉬는 광대하고 경이로운 문학세계를 맛볼 수 있게 됐다.
※ 참고 문헌
신동흔,『한국고전문학작가론』,소명,1998
일연 편,『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신문화연구원
조동일,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198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삼국 유사 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신문화연구원
일연지음 / 리가원허경진 옮김,『삼국유사』, 한양출판, 1996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조선문학통사(상)』, 도서풀판 화다, 1989
< 토론해봅시다.>
1. 역사서 서술방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대기적 서술방법을 버리고, 유사(遺事)라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던 효과와 그것을 택한 일연의 의도는 무엇일까.
2. 삼국유사는 철저한 고증과 증거물 탐방 등으로 만들어졌기에, 삼국사기보다 실증적인 태도가 두드러진다고 한다. 하지만 일연이 내세운 본질은 불국토 사상이고, 이것은 종교적인 면이기에 실증적인 태도와는 모순되지 않을까.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3.04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