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논리
Ⅲ.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도덕생활
Ⅳ.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역사인식
Ⅴ.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합리주의
참고문헌
Ⅱ.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논리
Ⅲ.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도덕생활
Ⅳ.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역사인식
Ⅴ. 오우크쇼트(오크쇼트)의 합리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비롯하여 우리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은 그 전체 과정 가운데에 행동이 일어나는 부분, 즉 뒷부분의 행동이라고 말한 바로 그 행동이다. 결국 그 부분이 중요하다는 데에는 합리주의자들도 찬성할지 모른다. 어쨌건 이 행동에 주목하여 볼 때, 이 행동은 과연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이 행동이 가능하였던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물론 합리주의는 행동에 앞서 일어난 생각이 행동의 源泉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만약 행동의 원천이(언뜻 보기와는 달리) 미리 한 생각이 아니고,(눈에 잘 뜨이지는 않는) 다른 무엇이라면, 우리는 합리주의에 대하여 무엇이라고 말할 것인가? 그 때, 우리는 합리주의식으로 행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것이며, 그것은 행동의 방식이 되지 못한다고 말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오우크쇼트가 말하고자 하는 것도 이것이다. 합리주의는 행동의 원천, 즉 행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을 잘못 파악하고 있다. 그것은 \"냄새를 잘못 맡았다\"(1962a, p.89).
그러나 이상의 논의가, 한 행동의 意味는 이미 주어져 있고 그 행동의 原因만 문제시된다고 주장한 것으로 간주된다면 그것은 적절하지 않다. 행동의 \"원천\"이라는 말은 행동의 사실상의 원천만이 아니라 행동의 의미의 원천을 동시에 가리키는 말이다. 합리주의는 미리 한 생각에 견주어 뒤이어지는 행동의 의미를 파악한다. 즉 한 가지 행동은 과연 어떠한 행동인가 하면, 먼저 생각해 본 어떠한 규칙이나 이상을 구현하는 행동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생각을 반쯤 따르거나 심지어 거의 적용하지 못하는 행동 등등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러나 행동하는 당사자는 자기 행동을 그렇게 파악할지 모르지만, 그의 행동을 관찰하는 우리도 그의 행동을 그렇게 파악해 줄 이유가 있는가? 행동의 원천이 다른 데에 있다는 말은 그 행동의 의미도 다르게 파악된다는 뜻이다.
참고문헌
박주병, 인간의 자유와 행위의 우연성 : 루소와 오우크쇼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방진하,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심태숙, 오우크쇼트와 브루너 교육이론의 상보성, 충북대학교, 2012
조영태, 오우크쇼트의 정치 이론과 교육 이론,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차미란, 예술과 도덕 :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차미란,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 자유교육과 도덕교육의 관련,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2000
그러나 이상의 논의가, 한 행동의 意味는 이미 주어져 있고 그 행동의 原因만 문제시된다고 주장한 것으로 간주된다면 그것은 적절하지 않다. 행동의 \"원천\"이라는 말은 행동의 사실상의 원천만이 아니라 행동의 의미의 원천을 동시에 가리키는 말이다. 합리주의는 미리 한 생각에 견주어 뒤이어지는 행동의 의미를 파악한다. 즉 한 가지 행동은 과연 어떠한 행동인가 하면, 먼저 생각해 본 어떠한 규칙이나 이상을 구현하는 행동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생각을 반쯤 따르거나 심지어 거의 적용하지 못하는 행동 등등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러나 행동하는 당사자는 자기 행동을 그렇게 파악할지 모르지만, 그의 행동을 관찰하는 우리도 그의 행동을 그렇게 파악해 줄 이유가 있는가? 행동의 원천이 다른 데에 있다는 말은 그 행동의 의미도 다르게 파악된다는 뜻이다.
참고문헌
박주병, 인간의 자유와 행위의 우연성 : 루소와 오우크쇼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방진하,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심태숙, 오우크쇼트와 브루너 교육이론의 상보성, 충북대학교, 2012
조영태, 오우크쇼트의 정치 이론과 교육 이론,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차미란, 예술과 도덕 :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차미란,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 자유교육과 도덕교육의 관련,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2000
추천자료
[유럽의 역사]한국사회의 십자군 인식
비코의 생애와 인식론, 섭리론 및 역사철학
역사 학습의 인식론적 모색
7차 초등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과 및 도덕과 예절교육 내용분석 및 재구성
성인용품의 역사와 성에 대한 인식(A+ 레포트)
[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바른생활교육평가, 초등학교3학년...
아이의 사생활 2부 도덕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생활습관교육, 초...
[교수학습이론][교수학습원리][교수학습과정][도덕][즐거운생활]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원리,...
초등도덕수업 및 생활지도의 실제분석
3)도덕-생김새, 생활 방식 등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마음 기르기(중안)
6)도덕-3. 같은 마음으로 함께하기 - 봉사하는 생활의 중요성을 알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기 ...
테일러의 공동체주의- 방법론과 인식론 및 해석학적 입장, 도덕 존재론(지평과 강한 가치평가)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도덕적 발달 아동의 지적 · 도덕적 발달 - 인지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