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즉리설,치양지설,지행합일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즉리설,치양지설,지행합일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룸으로써 사물은 바르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는 주자가 '격물치지'의 격(格)을 지(至)로 해석해서 '사물에 나아가 이치를 궁구한다'는 즉물궁리(卽物窮理)로 이해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3)지행합일설(知行合一設)
왕수인은 앎과 실천, 인식과 행위의 문제를 이원적으로 보지 않고 일원적으로 설명한다. ‘심즉리’에서의 심(心)의 본래적 활동인 지(知)는 필연적으로 의지를 수반하여 행위로 표현된다. 지(知)의 속성이 곧 행(行)으로서, 행(行)이 배제된 지(知)는 진정한 의미의 지(知)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알고도 행하지 않는 사람은 없으므로, 알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진정으로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똑똑히 아는 것은 행동에 옮길 수 있고, 행동에 옮길 수 없는 지(知)는 아직 미숙한 지(知)가 된다. 지(知)와 행(行)은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진정한 지(知)는 행위에까지 나아가지 않을 수 가 없다. 지(知)는 행(行)의 시작이요 행(行)은 지(知)의 결과로서, 지행(知行)은 둘로 나눌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주자의 선지후행설(先知後行說)과 다른 것으로, 양명학의 실천적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실학과 만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 가격1,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