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 괴리를 극복하였고, 양명학의 양지설과 지행합일설 등은 두 차례에 걸친 호란의 위기 속에서도 올바른 현실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난국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섯째, 실학파와 개화파에의 큰 영향과 함께, 천주교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였다. 천조교의 신앙적 측면은 주자학의 객관적 합리주의보다는 양명학의 주관적 정감주의에 쉽게 동화될 수 있는 개연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양명학은 유교와 천주교와의 사상적인 교량 역할을 한 셈이다.
정제두는 조선 후기 서인 노론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주자학 일색의 분위기를 강화해 가던 때, 참학문을 갈망하면서 그를 흠모하여 찾아온 젊은 선비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그렇게 모였던 사람들은 몇 집안을 중심으로 강화 학파를 이뤄 민족 주체 의식에 기반한 근대 학문의 길을 열었으며, 일제 강점과 더불어 독립 운동과 국학 연구로 자신들의 뜻을 넓혀 갔다.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조현규, 새문사, 2008)
한국철학사상사(한국철학사연구회, 심산, 2005)
한국철학 에세이(김교빈, 동녘, 2008)
http://kr.blog.yahoo.com/joongchun68/
다섯째, 실학파와 개화파에의 큰 영향과 함께, 천주교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였다. 천조교의 신앙적 측면은 주자학의 객관적 합리주의보다는 양명학의 주관적 정감주의에 쉽게 동화될 수 있는 개연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양명학은 유교와 천주교와의 사상적인 교량 역할을 한 셈이다.
정제두는 조선 후기 서인 노론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주자학 일색의 분위기를 강화해 가던 때, 참학문을 갈망하면서 그를 흠모하여 찾아온 젊은 선비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그렇게 모였던 사람들은 몇 집안을 중심으로 강화 학파를 이뤄 민족 주체 의식에 기반한 근대 학문의 길을 열었으며, 일제 강점과 더불어 독립 운동과 국학 연구로 자신들의 뜻을 넓혀 갔다.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조현규, 새문사, 2008)
한국철학사상사(한국철학사연구회, 심산, 2005)
한국철학 에세이(김교빈, 동녘, 2008)
http://kr.blog.yahoo.com/joongchun6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