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목적
★실험이론
★실험기구 및 시약
★실험 과정 및 관찰사항
★실험 결과
★토의사항
★참고문헌
★실험목적
★실험이론
★실험기구 및 시약
★실험 과정 및 관찰사항
★실험 결과
★토의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므로 f 는 0.990이다.
Na2CO3 [%] =
= 48.59 %
NaOH [%] =
= 40.00 %
< Unknown sample 혼합물의 정량>
ph.ph에 의한 HCl 사용량(x)
m.o에 의한 HCl 사용량(y)
x-y
1차
9.76ml
6.34ml
2차
10.1ml
6.43ml
평균 데이터
9.93ml
6.39ml
3.54ml
위의 실험값을 아래의 식에 대입하면 각각의 함량을 구할 수 있다.
처음에 HCl표준용액의 몰농도가 0.099mol 이므로 f 는 0.990이다.
Na2CO3 [%] =
= 67.06 %
NaOH [%] =
= 14.02 %
★토의사항
☞ 이번 실험은 warder 법을 이용하여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 혼합물을 정량하여
각각의 함량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두가지의 지시약을 사용하여 연속해서 적정하는 방법을 통해 제 1 종말점과
제 2종말점을 확인하여 NaOH 와 반응한 HCl 량과 Na2CO3 과 반응한 HCl 량을
측정 할 수 있었다.
☞ 이론적으로는 Na2CO3가 NaHCO3가 될 때 사용하는 HCl의 양과 NaHCO3가 H2CO3 가 될 때 사용하는 HCl의 량은 같아야 한다. 하지만 NaHCO3가 H2CO3가 될 때는 공기중의 CO2가 녹아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적정해주어야 한다. 아니면 공기 중의 CO2가 들어가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오차를 줄 일 수 있는 방법은 적정중간에 약간씩 가열에 주어서 CO2를 공기중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면 적정의 오차 를 줄일 수 있다.
★참고문헌
-NAVER 지식 in
백과과선
-분석화학실험교재
Na2CO3 [%] =
= 48.59 %
NaOH [%] =
= 40.00 %
< Unknown sample 혼합물의 정량>
ph.ph에 의한 HCl 사용량(x)
m.o에 의한 HCl 사용량(y)
x-y
1차
9.76ml
6.34ml
2차
10.1ml
6.43ml
평균 데이터
9.93ml
6.39ml
3.54ml
위의 실험값을 아래의 식에 대입하면 각각의 함량을 구할 수 있다.
처음에 HCl표준용액의 몰농도가 0.099mol 이므로 f 는 0.990이다.
Na2CO3 [%] =
= 67.06 %
NaOH [%] =
= 14.02 %
★토의사항
☞ 이번 실험은 warder 법을 이용하여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 혼합물을 정량하여
각각의 함량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두가지의 지시약을 사용하여 연속해서 적정하는 방법을 통해 제 1 종말점과
제 2종말점을 확인하여 NaOH 와 반응한 HCl 량과 Na2CO3 과 반응한 HCl 량을
측정 할 수 있었다.
☞ 이론적으로는 Na2CO3가 NaHCO3가 될 때 사용하는 HCl의 양과 NaHCO3가 H2CO3 가 될 때 사용하는 HCl의 량은 같아야 한다. 하지만 NaHCO3가 H2CO3가 될 때는 공기중의 CO2가 녹아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적정해주어야 한다. 아니면 공기 중의 CO2가 들어가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오차를 줄 일 수 있는 방법은 적정중간에 약간씩 가열에 주어서 CO2를 공기중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면 적정의 오차 를 줄일 수 있다.
★참고문헌
-NAVER 지식 in
백과과선
-분석화학실험교재
키워드
추천자료
External/Internal Standard를 이용한 GC의 화학 성분의 정량 분석
황산철(Ⅲ)ammonium 중의 철의 정량 사전보고서
중화 적정법을 이용한 귤, 사과, 포도주스, 오렌지주스의 유기산 정량
직접 회화법을 이용한 고구마와 쌀의 조회분 정량
회분(Crude ash)의 정량
[식품분석실험] 카페인 및 벤조산 정량 ( Spectrometer 이용 )
적혈구응집억제검사를 통한 바이러스(virus) 정량법
알코올의 정량분석(예비)
용존 산소량 (DO: Dissolved Oxygen) 측정 시험
역적정과 비누화 원리를 이용한 젖산 및 암모니아 정량
식품의 생균수 측정 - 우유 속에 살아 있는 세균의 전체 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해 보며 생균수...
[A+] 탈지액 제조 실험보고서 원리 실험방법 실험결과 산 탈지제, 알칼리 탈지제, 최적 ...
일반생물학 - 대장균의 DNA 추출과 정량에 대한 실험 보고서
영양생화학실험A+) HPLC 크로마토그래피 카페인 정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