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표준어 규정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어는 1936년에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라는 이름 아래 9,547개의 단어가 수록된 것이 처음으로 공식화된 것이다.
1989년에 정부에서는 표준어 규정을 제정 공포하였다.
표준어 규정의 주요 개정사항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6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이 된 것.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 가던 것.
.
.
.
바래 -> 바라
바래다 : [동사]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바라다 : [동사] 1.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2.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3.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기본형이 ‘바라다’이므로 ‘바라-+-아→바래’, ‘바라-+-았-→바랬-’이 될 수 없다.
.
.
.
2. 예기 -> 얘기
예기(銳氣) : [명사]날카롭고 굳세며 적극적인 기세.
예문 ) 군사의 예기가 꺾이다.
얘기 : [명사] ‘이야기’의 준말.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어는 1936년에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라는 이름 아래 9,547개의 단어가 수록된 것이 처음으로 공식화된 것이다.
1989년에 정부에서는 표준어 규정을 제정 공포하였다.
표준어 규정의 주요 개정사항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6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이 된 것.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 가던 것.
.
.
.
바래 -> 바라
바래다 : [동사]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바라다 : [동사] 1.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2.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3.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기본형이 ‘바라다’이므로 ‘바라-+-아→바래’, ‘바라-+-았-→바랬-’이 될 수 없다.
.
.
.
2. 예기 -> 얘기
예기(銳氣) : [명사]날카롭고 굳세며 적극적인 기세.
예문 ) 군사의 예기가 꺾이다.
얘기 : [명사] ‘이야기’의 준말.
키워드
추천자료
- 대중매체에 나타난 언어사용의 문제점
- 방언론 관련 사이트 조사와 방언 관련 신문기사 정리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
- 남북언어의 이질화
- 한글 맞춤법의 원리
- 전라도 방언에 관해서
- 영어공용화와 민족어
- 언어정책
- [화법][표준화법]화법의 개념, 표준화법의 개념과 화법의 유형, 화법의 본질 및 표준화법의 ...
- 남자와 여자는 말부터 다르다.
- [북한][언어정책][초등학교교육][북한 여가생활][북한 영화][북한 식생활][북한 음식][북한 ...
- 한글 맞춤법에서의 두음 법칙의 표기 방법
- [번역][번역 수정][번역 사례][한국 일본번역 비교][번역과 창작시 번역방법]번역의 연혁, 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