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다른 편지와 달리 수신자에 대한 감사의 말이 등장하지 않는다. 자신의 사도적 권한이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다.’라는 사실을 주장하면서 곧바로 자신의 복음을 옹호한다.
1)1-2장 바울은 진정한 사도인가: 사도성이 문제
2) 3-4장 바울이 전한 복음은 진정한 복음인가: 복음과 율법의 문제
3)5-6장 바울이 구원얻음에 있어서 율법을 부정한 것으로 여기고 자유방임적인 삶을 살라는 교훈을 준 것이 아니냐: 윤리적인 문제
마지막 결론: 적대자들에 대한 마지막 경고와 축도
1)1-2장 바울은 진정한 사도인가: 사도성이 문제
2) 3-4장 바울이 전한 복음은 진정한 복음인가: 복음과 율법의 문제
3)5-6장 바울이 구원얻음에 있어서 율법을 부정한 것으로 여기고 자유방임적인 삶을 살라는 교훈을 준 것이 아니냐: 윤리적인 문제
마지막 결론: 적대자들에 대한 마지막 경고와 축도
본문내용
를 대조하면서 우리는 성령에 의해서 영생을 얻을 것이기 때문에 선과 착한 일을 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렇게 바울은 율법을 따르지 않고 성령을 따라 사는 삶의 거룩함과 열매를 강조한다. 그리고 율법이 없는 자는 방종에 빠진다는 유대인의 주장을 무력화시킨다. 사실 유대교는 율법이 사라지거나 약화되면 윤리와 도덕이 약해지고 이스라엘의 정체성이 무너져 거룩성과 구별 사상이 무너진다고 생각하였다. 그렇게 되면 이스라엘은 우상숭배와 도덕적 타락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받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바울은 이러한 주장을 하는 대적자들을 향해 십자가의 사랑의 윤리와 성령의 역사를 상기시키며 믿음의 법과 성령의 법을 따라 보다 높은 윤리가 가능하다고 답변한다.
마지막 결론: 적대자들에 대한 마지막 경고와 축도
이렇게 바울은 율법을 따르지 않고 성령을 따라 사는 삶의 거룩함과 열매를 강조한다. 그리고 율법이 없는 자는 방종에 빠진다는 유대인의 주장을 무력화시킨다. 사실 유대교는 율법이 사라지거나 약화되면 윤리와 도덕이 약해지고 이스라엘의 정체성이 무너져 거룩성과 구별 사상이 무너진다고 생각하였다. 그렇게 되면 이스라엘은 우상숭배와 도덕적 타락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받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바울은 이러한 주장을 하는 대적자들을 향해 십자가의 사랑의 윤리와 성령의 역사를 상기시키며 믿음의 법과 성령의 법을 따라 보다 높은 윤리가 가능하다고 답변한다.
마지막 결론: 적대자들에 대한 마지막 경고와 축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