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서 식사 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효과적으로 막아 준다. 이 약제의 단독 복용시엔 저혈당이 나타나지 않지만 이 약제는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억제하여 효과를 보는 것이므로 가스가 차거나 설사ㆍ복통 등의 위장 장애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위장 장애는 점진적으로 해소되며 그렇지 않을 때에는 복용을 중단하기도 한다. 소화제나 제산제와 함께 복용할 때는 이 약제의 약효가 감소한다.
4. 티아졸리딘계(인슐린 저항성 개선제)티아졸리딘계에는 아반디아ㆍ트로글리타존ㆍ레쥴린이 있으며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강시켜 인슐린 작용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약제이다. 이 약제를 복용 시에는 간 기능을 반드시 체크해 주어야 한다.[자료출처 : 김영혜/강남성모병원 약사]
식후 2시간의 혈당수치가 400정도를 넘으면 위험하므로 인슐린을 응급처방하여 빠른 시일내 200이하로 내려야 한다. 200이하로 혈당이 내려오면 인슐린은 끊고 경구 혈당강하제로 바꾸어서 관리하다가 혈당의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면 경구 혈당강하제도 끊고 그 후에는 자연요법으로만 관리하면 된다. 1922년 캐나다의 의학자인 "반칭"과 "베스트"가 개의 취장에 있는 "랑겔한스섬" 세포에서 인슐린을 추출하는데 성공 하므로서 당뇨 관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인슐린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당뇨성 혼수를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인슐린이 발견된 후에는 당뇨성 혼수를 일으켜 사망하는 예는 많이 줄어들었다. 인슐린이라는 췌장 호르몬은 소아형 당뇨환자ㆍ고혈당증환자ㆍ그리고 수술을 요구하는 환자ㆍ기타 감염증세가 심한 환자에 흔히 사용하여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죠슬린"박사는 그의 저서에서 "인슐린이 당뇨 환자를 위한 기여도는 크지만 반면에 인슐린 요법이 진행됨에 따라 혈관병변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예가 늘고 있다."고 한다. 외부로부터의 인슐린 보충이 인체에 있는 췌장의 기본 기능을 둔화시켜 투약을 중단하게 되면 이 병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인슐린은 심한 공복감이나 기운이 없이 허탈해 진다든가, 맥박이 몹시 빨라진다든가, 심장이 뛴다든가, 얼굴이 창백해지는 부작용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탕물이나 쥬스 등의 당질을 섭취하지 않으면 혼수상태에까지 가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투약을 중단하면 아주 위험한 상태를 당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할 약물인 것이다. 인슐린에는 속효형(엑트라피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노보린ㆍ비오휼린ㆍ베로슈린)ㆍ지속형(인슈라타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노보린ㆍ비오휼린)ㆍ혼합형(믹스타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초속효형(휴마로그 주ㆍ휴마로그 펜)ㆍ인슐린 펌프형(휴마로그 인슐린ㆍ속효성 인슐린) 등으로 구분하여 처방되기도 한다.
☆ 약물요법은 보조수단일 뿐, 장기투약은 또 다른 합병증을 부른다.
미국의 12개 의과대학의 당뇨 전문의들로 구성된 "당뇨연구회"가 화학약품으로 당뇨환자를 치료한 뒤 그 임상결과를 발표한 것에 따르면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는 동안 사망한 환자들의 대부분이 심장 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이 사망률은 이러한 화학약품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월등히 높다." 라고 결과 발표를 했듯이 식원병 자체를 화학약품으로 해결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허사일 수밖에 없다.
화학물질 그 자체는 인체에 있어서는 이물질인 것이며, 이물질의 장기적인 섭취로 인하여 오히려 만성 대사병이 생긴다는 주장을 하는 연구가들도 많다. 당뇨를 고치기 위하여 쓰여진 약물에 의하여 당뇨가 악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은 현대의학에서 스스로 말하듯 단지 혈당만을 조절할 뿐 당뇨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며 올바른 당뇨치료는 자연요법(밝은 마음가짐ㆍ올바른 음식습관ㆍ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운동) 뿐이다.
그러므로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의 투약은 1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으며, 1년이상 계속 장기 투약하는 것을 달리는 말에 비유한다면, 걸을 힘조차 없는 기진맥진한 말에게 빨리 달리라고 채찍질을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 관리자의 약물요법 체험기
약물요법은 사람마다 그 처방이 같을 수가 없으므로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기 바란다.
1991년 5월부터 1992년 4월경까지,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1월경까지 두 차례에 걸쳐 병원 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으나, 나의 용법과 용량이 다른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기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용한 약제로는 설폰요소계로 아마릴ㆍ다오닐ㆍ다이그린을 복용했고, 비구아니드계 약으로는 글루코파지를 먹었으며 수치에 따라 증감하며 내성이 생기면 바꾸어 가며 복용했다.
그리고 2년에 한 번씩 종합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고, 어린이 아스피린(100mg)을 하루에 한 알씩 만성병의 예방차원에서 복용하고 있다. 두 차례에 걸친 2년간의 기간 외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고 자연요법으로만 관리하고 있는데도 정상범위의 수치가 유지되는 것을 보면 자연요법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다.※ 관리자의 3단계 관리법
1단계
약물요법 + 허브식품 +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300 이상일 때는 병원약과 허브식품,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200 ~ 300전후일 때는 병원약을 반으로 줄이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180 ~ 200전후일 때는 병원약을 또 반으로 줄이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2단계
허브식품 +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160 ~ 180전후일 때는 병원약은 완전히 끊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140 ~ 160전후일 때는 허브식품의 섭취량도 점차 줄이며 자연요법을 병행.
3단계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140 이하일 때는 허브식품도 완전히 끊고 자연요법으로만 하고 있다.◈환경이 바뀌거나 관리를 소홀히 하여 수치가 다시 올라갈 때에는자연요법을 더욱 강화하거나 허브식품을 한시적으로 섭취하기도 한다.
주) 약물요법으로 복용했던 병원약 : 아마릴ㆍ다오닐ㆍ다이그린ㆍ글루코파지 허브식품 : 식이요법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미량영양소를 농축시켜 만든 식품자연요법이란 : 정신요법ㆍ식이요법-환원수요법ㆍ운동요법을 통틀어서 말한 것이다.
4. 티아졸리딘계(인슐린 저항성 개선제)티아졸리딘계에는 아반디아ㆍ트로글리타존ㆍ레쥴린이 있으며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강시켜 인슐린 작용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약제이다. 이 약제를 복용 시에는 간 기능을 반드시 체크해 주어야 한다.[자료출처 : 김영혜/강남성모병원 약사]
식후 2시간의 혈당수치가 400정도를 넘으면 위험하므로 인슐린을 응급처방하여 빠른 시일내 200이하로 내려야 한다. 200이하로 혈당이 내려오면 인슐린은 끊고 경구 혈당강하제로 바꾸어서 관리하다가 혈당의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면 경구 혈당강하제도 끊고 그 후에는 자연요법으로만 관리하면 된다. 1922년 캐나다의 의학자인 "반칭"과 "베스트"가 개의 취장에 있는 "랑겔한스섬" 세포에서 인슐린을 추출하는데 성공 하므로서 당뇨 관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인슐린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당뇨성 혼수를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인슐린이 발견된 후에는 당뇨성 혼수를 일으켜 사망하는 예는 많이 줄어들었다. 인슐린이라는 췌장 호르몬은 소아형 당뇨환자ㆍ고혈당증환자ㆍ그리고 수술을 요구하는 환자ㆍ기타 감염증세가 심한 환자에 흔히 사용하여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죠슬린"박사는 그의 저서에서 "인슐린이 당뇨 환자를 위한 기여도는 크지만 반면에 인슐린 요법이 진행됨에 따라 혈관병변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예가 늘고 있다."고 한다. 외부로부터의 인슐린 보충이 인체에 있는 췌장의 기본 기능을 둔화시켜 투약을 중단하게 되면 이 병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인슐린은 심한 공복감이나 기운이 없이 허탈해 진다든가, 맥박이 몹시 빨라진다든가, 심장이 뛴다든가, 얼굴이 창백해지는 부작용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탕물이나 쥬스 등의 당질을 섭취하지 않으면 혼수상태에까지 가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투약을 중단하면 아주 위험한 상태를 당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할 약물인 것이다. 인슐린에는 속효형(엑트라피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노보린ㆍ비오휼린ㆍ베로슈린)ㆍ지속형(인슈라타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노보린ㆍ비오휼린)ㆍ혼합형(믹스타드ㆍ휴물린ㆍ노보렛)ㆍ초속효형(휴마로그 주ㆍ휴마로그 펜)ㆍ인슐린 펌프형(휴마로그 인슐린ㆍ속효성 인슐린) 등으로 구분하여 처방되기도 한다.
☆ 약물요법은 보조수단일 뿐, 장기투약은 또 다른 합병증을 부른다.
미국의 12개 의과대학의 당뇨 전문의들로 구성된 "당뇨연구회"가 화학약품으로 당뇨환자를 치료한 뒤 그 임상결과를 발표한 것에 따르면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는 동안 사망한 환자들의 대부분이 심장 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이 사망률은 이러한 화학약품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월등히 높다." 라고 결과 발표를 했듯이 식원병 자체를 화학약품으로 해결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허사일 수밖에 없다.
화학물질 그 자체는 인체에 있어서는 이물질인 것이며, 이물질의 장기적인 섭취로 인하여 오히려 만성 대사병이 생긴다는 주장을 하는 연구가들도 많다. 당뇨를 고치기 위하여 쓰여진 약물에 의하여 당뇨가 악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은 현대의학에서 스스로 말하듯 단지 혈당만을 조절할 뿐 당뇨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며 올바른 당뇨치료는 자연요법(밝은 마음가짐ㆍ올바른 음식습관ㆍ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운동) 뿐이다.
그러므로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의 투약은 1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으며, 1년이상 계속 장기 투약하는 것을 달리는 말에 비유한다면, 걸을 힘조차 없는 기진맥진한 말에게 빨리 달리라고 채찍질을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 관리자의 약물요법 체험기
약물요법은 사람마다 그 처방이 같을 수가 없으므로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기 바란다.
1991년 5월부터 1992년 4월경까지,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1월경까지 두 차례에 걸쳐 병원 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으나, 나의 용법과 용량이 다른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기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용한 약제로는 설폰요소계로 아마릴ㆍ다오닐ㆍ다이그린을 복용했고, 비구아니드계 약으로는 글루코파지를 먹었으며 수치에 따라 증감하며 내성이 생기면 바꾸어 가며 복용했다.
그리고 2년에 한 번씩 종합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고, 어린이 아스피린(100mg)을 하루에 한 알씩 만성병의 예방차원에서 복용하고 있다. 두 차례에 걸친 2년간의 기간 외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고 자연요법으로만 관리하고 있는데도 정상범위의 수치가 유지되는 것을 보면 자연요법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다.※ 관리자의 3단계 관리법
1단계
약물요법 + 허브식품 +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300 이상일 때는 병원약과 허브식품,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200 ~ 300전후일 때는 병원약을 반으로 줄이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180 ~ 200전후일 때는 병원약을 또 반으로 줄이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2단계
허브식품 +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160 ~ 180전후일 때는 병원약은 완전히 끊고 허브식품과 자연요법을 병행. ◈식후 2시간 혈당이 140 ~ 160전후일 때는 허브식품의 섭취량도 점차 줄이며 자연요법을 병행.
3단계
자연요법◈식후 2시간 혈당이 140 이하일 때는 허브식품도 완전히 끊고 자연요법으로만 하고 있다.◈환경이 바뀌거나 관리를 소홀히 하여 수치가 다시 올라갈 때에는자연요법을 더욱 강화하거나 허브식품을 한시적으로 섭취하기도 한다.
주) 약물요법으로 복용했던 병원약 : 아마릴ㆍ다오닐ㆍ다이그린ㆍ글루코파지 허브식품 : 식이요법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미량영양소를 농축시켜 만든 식품자연요법이란 : 정신요법ㆍ식이요법-환원수요법ㆍ운동요법을 통틀어서 말한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골다공증(Osteoporosis)
당뇨병 케이스스터디(간호학과 내과병동실습 )
두개내출혈
당뇨병 케이스
폐쇄성 동맥경화증(ASO)
ASO(Arteriosclerosis obliterans, 폐쇄성 동맥 경화증)
ASO 문헌고찰
[간호학]내과-당뇨문헌고찰
[의학] 당뇨병 DM에 관해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케이스 스터디
< 대사성 질환에 대하여 > (대사성 질환이란?, 대사성 질환이 증가하는 이유?, 대사성 질환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 케이스, NIDDM 케이스
[성인간호학A+] NIDDM (type2) 2형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간호학) 당뇨 케이스 - 당뇨 당뇨 CASE 당뇨 간호과정 당뇨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