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인요인
2. 가족요인
3. 친구요인 : 비행친구
4. 학교요인 : 학교유대(school bonding)
2. 가족요인
3. 친구요인 : 비행친구
4. 학교요인 : 학교유대(school bonding)
본문내용
06; Bryant 외, 2003).
한편 학교유대와 비행과의 관계에서 인과적 원인에 대한 있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학교유대의 약화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문제행동이나 비행을 저지르는 학생이 학교에 부적응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인과적인 불명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종단연구를 통해 시간순서(time order)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실험연구방법을 통해 인과적원인(cause)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Catalano 외, 2004). SSDP(Seattle Social
Development Project)와 RHC(Raising Health Children)는 실험연구방법과 종단연구를 결합하여 학교와의 유대가 청소년의 행동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이 프로젝트의 분석결과를 보면 학교유대와 비행 간의 인과관계가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
(Catalano 외, 2004). SSDP는 1981년 Seattle의 고위험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8개의 공립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것3)으로 학교와 가정에 대한 유대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촉진시킴으로써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도모하려는 것이었다. SSDP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중학교 때의 학교와의 유대가 알코올남용, 비행, 폭력, 성행위의 시작 등과 유의미하게부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 성적이나 사회화 기술을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발달은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SSDP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하기 위해 난 선화에 의해 실험연구방법으로 진행된 RHC project의 경우도 학교와의 유대가 아동의 긍정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초등학교 3, 4학년 때 측정된 학교 애착이 5학년, 6학년 때 측정된 공격성, 학교에서의 부적응행동, 약물사용 및 비행과 부적인 관계에 있으며, 3학년 때 측정된 학교애착이 4학년 성적, 가족변인, 아동의 심리행동적 특성 및 다른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7학년의 성적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학교와의 유대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이와 같은 긍정적인 영향은 특히 학생들의 부모가 불법적인 약물 사용, 심각한 음주정도, 가정폭력과 같은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가정의 아동들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학교와의 유대는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고, 문제행동 및 비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학교유대와 비행과의 관계에서 인과적 원인에 대한 있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학교유대의 약화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문제행동이나 비행을 저지르는 학생이 학교에 부적응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인과적인 불명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종단연구를 통해 시간순서(time order)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실험연구방법을 통해 인과적원인(cause)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Catalano 외, 2004). SSDP(Seattle Social
Development Project)와 RHC(Raising Health Children)는 실험연구방법과 종단연구를 결합하여 학교와의 유대가 청소년의 행동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이 프로젝트의 분석결과를 보면 학교유대와 비행 간의 인과관계가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
(Catalano 외, 2004). SSDP는 1981년 Seattle의 고위험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8개의 공립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것3)으로 학교와 가정에 대한 유대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촉진시킴으로써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도모하려는 것이었다. SSDP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중학교 때의 학교와의 유대가 알코올남용, 비행, 폭력, 성행위의 시작 등과 유의미하게부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 성적이나 사회화 기술을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발달은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SSDP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하기 위해 난 선화에 의해 실험연구방법으로 진행된 RHC project의 경우도 학교와의 유대가 아동의 긍정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초등학교 3, 4학년 때 측정된 학교 애착이 5학년, 6학년 때 측정된 공격성, 학교에서의 부적응행동, 약물사용 및 비행과 부적인 관계에 있으며, 3학년 때 측정된 학교애착이 4학년 성적, 가족변인, 아동의 심리행동적 특성 및 다른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7학년의 성적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학교와의 유대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이와 같은 긍정적인 영향은 특히 학생들의 부모가 불법적인 약물 사용, 심각한 음주정도, 가정폭력과 같은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가정의 아동들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학교와의 유대는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고, 문제행동 및 비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비행청소년 가족
비행청소년 가족
비행청소년 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청소년비행] `청소년 비행`에 관한 고찰
[청소년비행]청소년 가출의 실태, 유형, 원인, 문제점, 가출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방안
청소년비행의 개념과 종류와 원인 및 대책방안
비행청소년 사례관리
[청소년지도A+] 비행청소년 상담과 지도사례
청소년비행의 개념과 이론
[청소년 비행문화] 소년범죄의 개념(정의)과 특징, 이론, 처우 강화 및 정책방안 개선, 청소...
청소년비행의 사회통제이론적 관점(중화이론, 봉쇄이론, 사회유대이론, 억제이론, 사회해체이론)
매스미디어와 비행 및 범죄 (비행청소년,청소년문제).PPT자료
비행청소년재발예방프로그램
[학교사회복지사업] 청소년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목적과 학교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