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서치료의 이론적 배경 (서론)
2. 독서치료의 발전 과정
3. 독서치료의 과정
1) 준비단계
2) 읽을 독서 자료의 선택
3) 이해를 돕는 단계
4) 후속 조치와 평가의 단계
4. 우리나라의 독서치료 현황
1) 학계에서의 연구
(1) 학위논문
(2) 학회활동
2) 독서치료에 관한 교육기관들
3) 상담정보실과 목회자 중심의 독서학교
5. 독서치료의 전망
1) 시 치료의 다양한 활용
2) 시 치료의 국제적 관심
6. 우리나라 독서치료의 나아가야 할 방향 (결론)
2. 독서치료의 발전 과정
3. 독서치료의 과정
1) 준비단계
2) 읽을 독서 자료의 선택
3) 이해를 돕는 단계
4) 후속 조치와 평가의 단계
4. 우리나라의 독서치료 현황
1) 학계에서의 연구
(1) 학위논문
(2) 학회활동
2) 독서치료에 관한 교육기관들
3) 상담정보실과 목회자 중심의 독서학교
5. 독서치료의 전망
1) 시 치료의 다양한 활용
2) 시 치료의 국제적 관심
6. 우리나라 독서치료의 나아가야 할 방향 (결론)
본문내용
그 자체로 즉, 이야기치료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치료라는 말이 주는 매력과 부담감의 아이러니이다. 독서에 치료라는 단어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복합명사에 대해 더 많은 매력도 느끼지만 또 한편으로는 반드시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단어처럼 인식한다는 것이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없이도 신경정신과에 가는 것이 외국처럼 일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교육적이고 예방적인 차원에서의 독서치료, 혹은 발달적 독서치료에 대하여 그 정체성을 의심하는 학자들이 많다.
이점 역시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과정 중에서 봉착하는 문제와 갈등들을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실제 경험을 많이 한다면 독서치료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학이나 심리학분야에서의 학자들이 더 폭넓게 독서치료를 이해해야만 그 한계를 극복하면서 독서치료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넷째로, 심각한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 혼자서 다 해결하려고 하는데서 오는 우려이다. 도서관 사서가 과잉행동을 하는 아이에게 약물복용과 아울러서 책을 읽도록 할 수는 없지 않은가?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임상심리학자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우려와 문제점을 보면서 우리나라에서 독서치료가 어떻게 나아가야할 것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김현희, 「표현예술치료로서의 독서치료」논문
김현희 外『독서치료』, 학지사, 2001.
http://www.gulnara.net/
Nicholas Mazza, 「시치료」
셋째로, 치료라는 말이 주는 매력과 부담감의 아이러니이다. 독서에 치료라는 단어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복합명사에 대해 더 많은 매력도 느끼지만 또 한편으로는 반드시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단어처럼 인식한다는 것이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없이도 신경정신과에 가는 것이 외국처럼 일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교육적이고 예방적인 차원에서의 독서치료, 혹은 발달적 독서치료에 대하여 그 정체성을 의심하는 학자들이 많다.
이점 역시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과정 중에서 봉착하는 문제와 갈등들을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실제 경험을 많이 한다면 독서치료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학이나 심리학분야에서의 학자들이 더 폭넓게 독서치료를 이해해야만 그 한계를 극복하면서 독서치료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넷째로, 심각한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 혼자서 다 해결하려고 하는데서 오는 우려이다. 도서관 사서가 과잉행동을 하는 아이에게 약물복용과 아울러서 책을 읽도록 할 수는 없지 않은가?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임상심리학자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우려와 문제점을 보면서 우리나라에서 독서치료가 어떻게 나아가야할 것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김현희, 「표현예술치료로서의 독서치료」논문
김현희 外『독서치료』, 학지사, 2001.
http://www.gulnara.net/
Nicholas Mazza, 「시치료」
키워드
추천자료
[아들러][아들러 개인심리학][개인심리학][아들러 개인심리학 평가]아들러의 생애, 아들러 개...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발달배경 및 개념, 치료과정과 방법 및 사례분석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개념 및 치료과정 및 방법, 사례분석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개념 및 치료과정과 방법, 적용 사례 분석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개념 및 치료과정(방법), 사례 분석 및 평가
정신장애인 가족의 교육과 치료) 가족교육과 치료의 등장배경 및 개념과 특성, 치료실천가의 ...
치료적면담과정기록지 - schizophrenia
임산부학대, 태아학대사례 (윗집의 소음공해로 인해 임산부와 태아에게 스트레스를 줌), W`er...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색채의 연상 및 치료과정의 반응 - 색채의 연상, 안료와 ...
[미술치료] 미술치료과정의 기초모델
[노년기 미술치료] 노인미술치료과정(단계)
[가족치료-가족상담과정] 가족상담의 단계, 가족상담기법, 가족상담자의 자세
경험적 가족치료의 기본개념과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기법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개념과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