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양 여운형과 한 지식인의 고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양 여운형과 한 지식인의 고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격려해 주었다고 한다.
또한 그는 해방을 전후하여 남몰래 독립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왔다. 그것이 바로 건국준비위원회였는데 1945년 8월 초, 일본의 패배가 거의 확실해지자 조선 총독 아베 노부유키는 한국에 있는 일본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줄 협상 대상자로 한국의 민족지도자를 찾았는데 당시 건국준비를 위한 민족의 대표기관과 정치세력의 형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여운형이 그에 동조함으로써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1944년 8월 비밀리에 건국동맹이 조직되었고 그 강령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인즉슨, 완전한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을 기하며 그러한 기본요구를 실현할 수 있는 민주주의적 정권의 수립을 기한다는 것이였다.
그러나 건준이 지나치게 좌익진보세력으로 조직되자 이에 반발 민족주의계 인사들이 탈퇴함으로써 건준은 해체되고 말았다고 한다.
이미 처음부터 건준을 반대하고 임시정부의 귀국을 기다리던 김성수, 송진우와 같은 우익진영은 이를 벽상조각이라고 비난했다고 한다.
또한 8 15광복 이후에는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좌우 정파 정치인들이 협의기구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좌우합작위원회였다. 그러나 그 설립취지는 좋았지만 좌,우파에서 각각 일방적으로 다른 조건을 내세워서 의견을 좁히기는커녕 상대방을 비난하는데 급급하여 회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여운형이 1947년 암살당하면서 와해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의 좌우합작운동 실패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나는 그의 사상적인 배경에서 원인을 찾는다. 몽양은 분명 좌파였다. 그러나 스탈린적인 혁명좌파는 아니었다. 적어도 폭력혁명이나 유물론 등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중도좌파 내지는 민주사회주의자였던 것이다. 물론 그는 근본적으로 민족주의자였다. 따라서 좀 더 정확히 얘기하면 그는 진보적 민족주의자 혹은 온건 좌파적 민족주의자가 아닐까 생각된다. 따라서 그는 좌파 내부의 권력 투쟁에서 졌던 것이다.
또한 몽양선생께서는 분명 권력투쟁과정에서 조선공산당의 박헌영 등에게 많이 휘둘렸다고 보여 진다. 인민공화국도 여운형의 주장에 의하여 만들어 진 것이 아니다. 단순히 간판인물로 이용당한 셈이다. 조선인민당도 조선공산당의 조직적 침투로 사실상 와해되고 포섭당한 셈이었다. 몽양은 1946년 4월부터는 공산당과 손을 끊으려 했고 46년 8월에는 박헌영의 체포를 미군정에게 부탁까지 했다. 북의 지령에 따라 박헌영이 당초의 입장을 바꾸어 좌우합작 운동을 반대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좌절감이 컸을 것이다. 몽양선생은 생전 뿐 아니라 사후에도 공산당에 의하여 많이 이용당한 것 같다.
여하튼 몽양은 좌파의 헤게모니를 잡지 못했다. 그 이유가 그의 사상이 너무 이상적이고 성품이 너무 자유분방하여 현실적 투쟁력을 조직화하기가 어려워서였는지, 아니면 소련이 마음대로 다루기에는 몽양이란 인물이 너무 커서 소련이 싫어해서인지, 아니면 상기 두 가지 이유 모두인지 나는 잘 모르겠지만 그는 상당히 세계적으로 열린 민족주의자였고 항상 정파적 이익이나 사익보다 민족의 이익을 앞세운 분이셨다. 따라서 좌우 이념은 민족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던 것이지 정파적인 이념에는 그는 관심이 없었던 것이다.
나라의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 건설이란 큰 목표 아래에서 좌우의 이념대립으로 결국 여운형의 목표는 실패했지만 그가 남기고 간 수많은 업적들, 사상은 나의 가슴속에 영원히 간직될 것이다.
<참고문헌>
여연구, “나의 아버지 여운형”, 김영사, 2001
이정식, “여운형을 말한다”, 아름다운책, 2007
장을병, “(인물로 본) 8 15 공간”,범우사, 2007
정병준, “몽양 여운형 평전”, 한울, 1995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3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