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언어 영역에서의 교수학습활동
2. 교수학습활동 지도의 실제 - 만3세 언어영역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교수학습활동
1) 앞, 뒤, 옆 친구들이 궁금해요.
2) 선생님 얼굴이 보이지 않아요.
3) 친구와 선생님의 얼굴을 보며 이야기해요.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언어 영역에서의 교수학습활동
2. 교수학습활동 지도의 실제 - 만3세 언어영역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교수학습활동
1) 앞, 뒤, 옆 친구들이 궁금해요.
2) 선생님 얼굴이 보이지 않아요.
3) 친구와 선생님의 얼굴을 보며 이야기해요.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새로운 모습을 표현해 내기도 하였다.
(봄이 되어 달라진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교사 :새싹이 돋고, 꽃이 피고, 나비가 날아다니고, 개구리도 만날 수 있다고 이야기 해주었는데, 이런 모습들을 몸으로 표현해 볼 수 있을까요?
유아 :네
교사 :새싹은 어떻게 돋아날까요?
유아 :(흉내를 낸다.)
교사 :(새싹의 모습을 잘 흉내 내는 유아를 가리키며)민수의 모습을 같이 볼 수 있을까요?민수는 새싹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했나요?
민희 :너무 멋져요!
교사 :민희는 민수의 모습을 보고 멋지다고 했는데,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이야기 해 줄 수 있을까요?
민희 :진짜 새싹 같아요.
교사 :민수의 모습을 보면서 같이 따라해 볼 수 있을까요?
직접 경험해 보지는 않았지만, 다른 친구의 경험이나 실물자료를 이용하여 서로가 가진 경험을 소개하고, 소개하는 유아의 얼굴표정과, 손짓들 보면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3. 시사점
유아들의 경험에 근거한 이야기 나누기는 소통적이고, 교사가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상황의 이야기 나누기를 단절적인 이야기라고 결론을 내린다면, 유아교육기관에서 항상 소통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떤 이야기 나누기이든지 소통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고, 단절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다만 주제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 교사가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배경지식이 얼마큼이며, 소통에 대한 부분을 어느 정도 인식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노력의 여하가 결정되며, 이야기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를 교사가 바르게 직시하고 있다면, 교사의 수업준비에서부터 교사의 태도는 달라질 것이며, 작은 교수매체 하나라도 유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제작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역동성, 유아 참여도와 완성도는 달라질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개의 교수학습 영역과 연령을 정하고 교수학습활동 지도의 실제를 구성해 보았다. 교사가 유아에 대한 이해와 배려 부족으로, 교사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서 문제는 시작되고 있었다.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사-유아간의 풍족한 상호작용으로 이야기 나누기의 기쁨을 얻고자 하였다. 이야기 나누기 활동의 실태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모두 3단계로 나누어서 실행하고 분석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유아와 유아 간에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리배치를 통한 이야기 나누기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교사-유아 간의 대화보다 유아-유아들 간 대화의 비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자리 배치를 시도하였고, 그 중에서 교사의 시선을 벗어나지 않고, 유아 간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며 대화할 수 있는 반원대형이 가장 적절하다는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교육부(2009). 유치원 지도서1. 총론.
박은혜(2004). 유아교사론, 창지사.
김진영(2001).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 양서원.
권희정(2003). 탐구중심 교수방법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봄이 되어 달라진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교사 :새싹이 돋고, 꽃이 피고, 나비가 날아다니고, 개구리도 만날 수 있다고 이야기 해주었는데, 이런 모습들을 몸으로 표현해 볼 수 있을까요?
유아 :네
교사 :새싹은 어떻게 돋아날까요?
유아 :(흉내를 낸다.)
교사 :(새싹의 모습을 잘 흉내 내는 유아를 가리키며)민수의 모습을 같이 볼 수 있을까요?민수는 새싹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했나요?
민희 :너무 멋져요!
교사 :민희는 민수의 모습을 보고 멋지다고 했는데,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이야기 해 줄 수 있을까요?
민희 :진짜 새싹 같아요.
교사 :민수의 모습을 보면서 같이 따라해 볼 수 있을까요?
직접 경험해 보지는 않았지만, 다른 친구의 경험이나 실물자료를 이용하여 서로가 가진 경험을 소개하고, 소개하는 유아의 얼굴표정과, 손짓들 보면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3. 시사점
유아들의 경험에 근거한 이야기 나누기는 소통적이고, 교사가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상황의 이야기 나누기를 단절적인 이야기라고 결론을 내린다면, 유아교육기관에서 항상 소통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떤 이야기 나누기이든지 소통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고, 단절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다만 주제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 교사가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배경지식이 얼마큼이며, 소통에 대한 부분을 어느 정도 인식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노력의 여하가 결정되며, 이야기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를 교사가 바르게 직시하고 있다면, 교사의 수업준비에서부터 교사의 태도는 달라질 것이며, 작은 교수매체 하나라도 유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제작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역동성, 유아 참여도와 완성도는 달라질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개의 교수학습 영역과 연령을 정하고 교수학습활동 지도의 실제를 구성해 보았다. 교사가 유아에 대한 이해와 배려 부족으로, 교사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서 문제는 시작되고 있었다.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사-유아간의 풍족한 상호작용으로 이야기 나누기의 기쁨을 얻고자 하였다. 이야기 나누기 활동의 실태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모두 3단계로 나누어서 실행하고 분석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유아와 유아 간에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리배치를 통한 이야기 나누기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교사-유아 간의 대화보다 유아-유아들 간 대화의 비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자리 배치를 시도하였고, 그 중에서 교사의 시선을 벗어나지 않고, 유아 간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며 대화할 수 있는 반원대형이 가장 적절하다는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교육부(2009). 유치원 지도서1. 총론.
박은혜(2004). 유아교사론, 창지사.
김진영(2001).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 양서원.
권희정(2003). 탐구중심 교수방법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교수학습 지도안
[수학과 학습부진아,학습부진아지도,수학과]수학과 학습부진아의 개념,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
발명교육(발명지도)의 필요성, 발명교육(발명지도)의 목표, 발명교육(발명지도)의 방해요소, ...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도) 개념, 필요성, 고려사항,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
[학습전략][교육전략][수업전략][교수학습전략]개별화학습전략, ARCS(동기유발)학습전략, ICT...
수학과(수학학습, 수학교육)의 성격, 수학과(수학학습, 수학교육)의 특성과 내용구성원리, 수...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본질과 목표,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학습유형과 탐구...
[지도원리][교육원리][교수학습원리][수업원리]독서교육 지도원리, 글짓기교육 지도원리, 생...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활동중심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어휘학습지...
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동) 특성과 현황, 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동) 진단, 정신지체학생(...
[영유아 교수방법] 다양한 교수학습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유형에 맞는 만5세 유아용 활...
<장학활동> 교수학습과 장학, 장학의 과업, 장학의 유형, 장학행정의 문제와 과제
교수학습 활동계획의 이해
3~5세 누리과정의 탐구영역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개영역 중 한 가지 영역을 선택하여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