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건번호
3. 사실관계 요약
4. 쟁점정리
5. 쟁점에 대한 판례의 태도
2. 사건번호
3. 사실관계 요약
4. 쟁점정리
5. 쟁점에 대한 판례의 태도
본문내용
등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의 실질적인 피고는 당사자능력이 없어 소송당사자가 될 수 없는 사망자인 소외인이 아니라 처음부터 사망자의 상속인인 피고이고 다만 소장의 표시에 잘못이 있었던 것에 불과하므로, 원고는 소외인의 상속인으로 피고의 표시를 정정할 수 있고, 따라서 당초 소장을 제출한 때에 소멸시효중단의 효력이 생긴다고 할 것이다.
추천자료
의료사고판례의 의료효과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
집단소송판례
상법 영업양도 판례 평석 및 분석
[민사소송법]선정당사자 정리
민법 103조〔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의 분석 및 판례의 경향
실기한 공격방어방법 각하요건에서 당사자의 고의 중과실, 소송지연우려
국제사법 판례에 대한 분석
민사소송 변론시 한쪽 당사자의 결석
[매체비평프로그램]매체비평프로그램의 필요성, 매체비평프로그램의 분석, 매체비평프로그램...
무명항고소송(의무이행소송 및 예방적부작위소송) 관련 판례 검토
행정소송에서 소의 변경 관련 판례 검토
부작위위법확인소송 관련 판례 검토
[재산분할청구권][위자료청구권]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 재산분할청구권의 특성, 재산분할청...
사회 복지소송의 사례 - 판례 ‘94헌마33’의 사실관계 및 논점, 피고의 답변사항과 재반론,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