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전쟁과 르네상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십자군 전쟁과 르네상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십자군 전쟁과 르네상스


1. 머리말

2. 십자군 전쟁의 동기
유럽과 성지순례
교황의 십자군 전쟁 제창
교황이 십자군 전쟁을 제창했던 이유

3. 십자군 전쟁의 실패와 그 영향
십자군 전쟁의 실패 원인
봉건제의 해체와 카톨릭의 약화
지중해 주변 무역의 발달과 문화교류
본래의 의도를 잊은 전쟁 : 4차 십자군 전쟁
르네상스
십자군 전쟁의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황과 성직자들에 대한 반감이 심해졌고 라틴어 성경의 번역에 자신들의 생각을 넣어 번역했다고 의심을 하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종교개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십자군 전쟁의 의의
십자군 전쟁은 그 전체를 통하여 유럽 중세 세계가 그리스도교적인 통일체였다는 것을 입증하는 동시에, 그러한 유럽세계의 생명력과 팽창력을 증명했다고 할 수 있다. 유럽 중세 세계가 그리스도교적인 통일체가 아니었다면 십자군과 같은 거대하고 장기적인 전쟁이 전개될 수 없었을 것이다.
중세 전반기에 급속도로 팽창하던 이슬람 세력에 일방적으로 밀리고 압박받던 유럽이 십자군 전쟁을 통하여 비로소 이슬람에게 반격하게 되었으며, 거기에서 표출된 유럽의 새로운 활력과 팽창력은 유럽 중세사회와 문화를 발전시키고 변화시킨 힘과 관련된다.
맺음말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그레고리우스는 그리스도교인의 전쟁을 정당화하는 이론을 확립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인은 하나님의 뜻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는 것’이라는 논리를 폄으로써 이교도와의 전쟁을 정당화했다. 11세기에 그레고리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 이론을 발전시켜 이교도와의 전쟁을 ‘세상의 올바른 질서’를 확립하는데 불가피한 정당한 조치로 간주했다. 이러한 바탕 위에 우르바누스 2세는 십자군 전쟁을 열렬하게 제창했고, 이에 서유럽 세계가 십자군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십자군 전쟁의 원래 목적 역시 변질되었다. 십자군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하나님의 뜻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 라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말로 성지를 탈환하기 위한 자들, 면죄부 때문에 참전한 자들, 그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참전한 자들까지 모두 나중에는 원래의 뜻은 잊은지 오래였다. 그리하여 전쟁은 잔혹해졌고, 심지어는 이들이 동방 정교회인들을 죽이거나 소년 십자군을 노예로 파는 일까지 벌어지고 말았다.
이에 2001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리스를 방문하여 4차 십자군 전쟁4차 십자군 전쟁은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켜 1204년에 라틴 제국을 세운 사건이다.
에 대해 사죄했으며, 2004년에 십자군 전쟁이 마녀사냥과 종교재판,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원주민 학살, 나치의 유대인 학살 묵인과 함께 십자군 전쟁을 로마 카톨릭 교회가 인류에 저지른 과오라고 하였다. 교황의 이러한 양심선언은 카톨릭 교회가 오랜 침묵을 깨고 그들의 잘못을 시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황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방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갈등의 골은 점차 깊어져가고 있다. 최근들어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중세 십자군 전쟁 당시의 잔혹상을 일깨우면서 자신들의 반서방주의 목표를 정당화하고 있는데, 이것은 가장 최근에 나타난 십자군 전쟁의 후유증이라고 할 수 있다.클라우디아 메르틀, 배진아 옮김, 위의 책, 113쪽.
얼마 전에 미군이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한 것도 이와 같은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2003년에 미국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전쟁을 공공연하게 십자군 전쟁에 비유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이처럼 십자군 전쟁은 지금까지도 서방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치유할 수 없는 상처로 남아있다. 따라서 우리는 양 세계의 갈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십자군 전쟁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응종.『서양사 개념어 사전』. 파주 : 살림, 2008.
다음『브리태니커』, 출판연도 불명.
심재윤.『서양중세사의 이해』. 선인, 2005.
클라우디아 메르틀. 배진아 옮김.『누구나 알아야 할 서양 중세사 101가지 이야기』. 플래닛 미디어, 2006.
박해경. 『기독교 교리 신학사』. 이레서원, 2000.
주도흥. 『새로 쓴 세계교회사』. 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21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