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XP. 2 용존 산소 측정 (DO: Dissolved Oxygen)
1. 서론
1.1. DO
1.2. 원리
2. 재료 및 방법
2.1. 재료
2.2. 시약 및 기구
2.3. 방법
3. Result
1)Titration
2)격막전극법
3)용존산소 포화율
4. Description
5. Discussion
(1) DO (Dissolved Oxygen)
(2)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3) SOD (Sediment Oxygen Demand)
(4) COD (Chemical Oxygen Demand)
(5)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6) 일반세균
(7) 클로로필a (Chlorophyll-a)
(8) 생물학적 수질지표
6. Reference
1. 서론
1.1. DO
1.2. 원리
2. 재료 및 방법
2.1. 재료
2.2. 시약 및 기구
2.3. 방법
3. Result
1)Titration
2)격막전극법
3)용존산소 포화율
4. Description
5. Discussion
(1) DO (Dissolved Oxygen)
(2)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3) SOD (Sediment Oxygen Demand)
(4) COD (Chemical Oxygen Demand)
(5)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6) 일반세균
(7) 클로로필a (Chlorophyll-a)
(8) 생물학적 수질지표
6. Reference
본문내용
은 유기물질의 종류나 양 보다는 이들이 분해되면서 물속의 산소(DO)를 결핍시키기 때문에 환경 및 생태계 를 파괴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BOD는 어떤 유기물질이 수계에 유입할 때 얼마 만 큼의 DO를 소비할수 있는가의 잠재능력의 평가 인 것이다.
③실험실에서는 관습적으로 20℃에서 5일간 시료(sample)를 배양했을 때 소모된 산 소량을 측정하는데 그 값을 5일 BOD 또는 BOD 라고 하며 통상 그냥 BOD라고 한다.
(3) SOD (Sediment Oxygen Demand)
하상오니(퇴적층)에 의한 산소요구량으로서 하천에 침강된 저니(低泥)층(저질층)의 유기물의 분해와 저서수중생물의 호흡 및 환원성 물질(혐기성 분해물질 등)의 산화 작용에 따라 발생하게 되며 단위는 보통 gO₂/m²day로 나타낸다.
(4) COD (Chemical Oxygen Demand)
①BOD와 더불어 주로 유기물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Indicator)로서 산화제
(KMnO₄, K₂Cr₂O) 를 이용, 배수 중의 피산화물을 산화하는데 요하는 산소량 을 ppm단위로 표시한다.
②일반적으로 공장폐수 중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BOD 축정이 불가능할 경우 COD 를 측정한다. 또한, COD는 단시간에 측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5)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①정의 : 그램음성, 무아포(無芽胞)성의 간균으로 젖당(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 균이다.
②의의 : 대장균은 인축(人畜)의 장 내에서 서식하는 균으로서 어떤 수계(水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면 인축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이 이루어졌음을 뜻하고 또한 수인성 전염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대장균은 분변성(糞便性)오염의 지표로서 병원균의 존재 유무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③특성
-병원균에 비해 물속에서 오래 생존하고 저항력이 강하다.
-검출이 용이하고 검사법이 간단하다.
-소독에 대한 저항력은 병원균보다 강하나 virus보다는 약하다.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설령 병원균에 의한 오염이 있었다 해도 이미 사멸되 었음을 뜻한다.
(6) 일반세균
①수중에 존재하는 호기성 종속영양 세균(일반적으로 인체에 무해함)을 의미하며, 일 반세균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하수, 분뇨 등) 농도의 좋은 지표(유기 물 오염도)가 된다.
②일반세균수는 보통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희석평판법에 의해 35~37℃에서 48±3시 간배양하여 발생하는 집락(colony)수를 시료수 1ml당으로 표시한다.
(7) 클로로필a (Chlorophyll-a)
①클로로필a는 녹색식물에 함유하는 녹색의 색소로서 모든 종의 조류에 존재하며 조 류건조 중량의 약 1~2%를 차지한다.
②하천이나 호수에 영양염류(질소 및 인화합물)가 유입되면 이를 이용하여 조류 (algae)가 증식하게 되고 증식된 조류가 바닥에 침전되면서 수계는 점차 오염되어 간다. 이러한 현상을 부영양화라 하는데 조류(algae) 생산량(1차생산)을 측정함으로 써 수계영양상태 및 부영양수계 여부를 판정하는 좋은 평가지표가 된다.
(8) 생물학적 수질지표
①BIP(Biological Index of Pollution) : 주로 현미경적인 생물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의 도사와에 의하여 제창된 것이며, 원리는 맑은물 중에는 조류(algae)가 많으나 오염 되면 조류가 감소하는 대신 원생동물이 많아진다고 하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로 나타낸다.
BIP = 무색생물(동물)수÷전생물수 X 100 또는 A÷(A+B) X 100
A : 색소생물수 (주로 조류)
B : 무색생물수 (주로 원생동물)
※ 무색생물에는 Spaerotilus 나 Beggiatoa 등의 사상(絲狀)박테리아는 포함 하나 후생동물(다세포 동물)은 제외한다.
②BI (Biotix Index, Beck쓰다법) : 주로 육안적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산정하는데 그 특색이 있고, 원리는 맑은물 중에는 그에 적합한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고
오염된 물중에는 오염된 환경에 즐겨사는 생물의 그 종류가 얼마 안된다는 사실에
글거를 두어 산출한 것이다.
BI= (2A+B)÷(A+B+C) X 100
A : 청수성 생물수
B : 오수성 생물수
C : 광범출현종 생물수
6. Reference
환경생태학실험 / 여천생태연구회 / 교문사 / 2005. 8. 29 /
<수질오염> 동화기술 -박태규 외 1명
<수질오염분석> 동화기술 -박승선 외 1명
<수질분석 및 수처리실험> 동화기술 -김형석외 2명
③실험실에서는 관습적으로 20℃에서 5일간 시료(sample)를 배양했을 때 소모된 산 소량을 측정하는데 그 값을 5일 BOD 또는 BOD 라고 하며 통상 그냥 BOD라고 한다.
(3) SOD (Sediment Oxygen Demand)
하상오니(퇴적층)에 의한 산소요구량으로서 하천에 침강된 저니(低泥)층(저질층)의 유기물의 분해와 저서수중생물의 호흡 및 환원성 물질(혐기성 분해물질 등)의 산화 작용에 따라 발생하게 되며 단위는 보통 gO₂/m²day로 나타낸다.
(4) COD (Chemical Oxygen Demand)
①BOD와 더불어 주로 유기물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Indicator)로서 산화제
(KMnO₄, K₂Cr₂O) 를 이용, 배수 중의 피산화물을 산화하는데 요하는 산소량 을 ppm단위로 표시한다.
②일반적으로 공장폐수 중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BOD 축정이 불가능할 경우 COD 를 측정한다. 또한, COD는 단시간에 측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5)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①정의 : 그램음성, 무아포(無芽胞)성의 간균으로 젖당(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 균이다.
②의의 : 대장균은 인축(人畜)의 장 내에서 서식하는 균으로서 어떤 수계(水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면 인축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이 이루어졌음을 뜻하고 또한 수인성 전염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대장균은 분변성(糞便性)오염의 지표로서 병원균의 존재 유무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③특성
-병원균에 비해 물속에서 오래 생존하고 저항력이 강하다.
-검출이 용이하고 검사법이 간단하다.
-소독에 대한 저항력은 병원균보다 강하나 virus보다는 약하다.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설령 병원균에 의한 오염이 있었다 해도 이미 사멸되 었음을 뜻한다.
(6) 일반세균
①수중에 존재하는 호기성 종속영양 세균(일반적으로 인체에 무해함)을 의미하며, 일 반세균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하수, 분뇨 등) 농도의 좋은 지표(유기 물 오염도)가 된다.
②일반세균수는 보통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희석평판법에 의해 35~37℃에서 48±3시 간배양하여 발생하는 집락(colony)수를 시료수 1ml당으로 표시한다.
(7) 클로로필a (Chlorophyll-a)
①클로로필a는 녹색식물에 함유하는 녹색의 색소로서 모든 종의 조류에 존재하며 조 류건조 중량의 약 1~2%를 차지한다.
②하천이나 호수에 영양염류(질소 및 인화합물)가 유입되면 이를 이용하여 조류 (algae)가 증식하게 되고 증식된 조류가 바닥에 침전되면서 수계는 점차 오염되어 간다. 이러한 현상을 부영양화라 하는데 조류(algae) 생산량(1차생산)을 측정함으로 써 수계영양상태 및 부영양수계 여부를 판정하는 좋은 평가지표가 된다.
(8) 생물학적 수질지표
①BIP(Biological Index of Pollution) : 주로 현미경적인 생물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의 도사와에 의하여 제창된 것이며, 원리는 맑은물 중에는 조류(algae)가 많으나 오염 되면 조류가 감소하는 대신 원생동물이 많아진다고 하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로 나타낸다.
BIP = 무색생물(동물)수÷전생물수 X 100 또는 A÷(A+B) X 100
A : 색소생물수 (주로 조류)
B : 무색생물수 (주로 원생동물)
※ 무색생물에는 Spaerotilus 나 Beggiatoa 등의 사상(絲狀)박테리아는 포함 하나 후생동물(다세포 동물)은 제외한다.
②BI (Biotix Index, Beck쓰다법) : 주로 육안적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산정하는데 그 특색이 있고, 원리는 맑은물 중에는 그에 적합한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고
오염된 물중에는 오염된 환경에 즐겨사는 생물의 그 종류가 얼마 안된다는 사실에
글거를 두어 산출한 것이다.
BI= (2A+B)÷(A+B+C) X 100
A : 청수성 생물수
B : 오수성 생물수
C : 광범출현종 생물수
6. Reference
환경생태학실험 / 여천생태연구회 / 교문사 / 2005. 8. 29 /
<수질오염> 동화기술 -박태규 외 1명
<수질오염분석> 동화기술 -박승선 외 1명
<수질분석 및 수처리실험> 동화기술 -김형석외 2명
키워드
추천자료
MBR -결과에 의한 관리
직무설계에 대하여
Active skills for reading book3
건강행위변화이론 및 모형
경영 혁신 용어 해설
지도자론 정리
인장실험(결과)
결과 실험7 EXPERIMENT ac 7 The Oscilloscope and Phase Measurements
결과 실험6 EXPERIMENT dc 6 Parallel Resistance
경영의 순환 과정
간호관리 - chaper 02. 기획 기능의 실제
품질경영시스템(QA/QC 품질시스템, 품질관리 문서작성, KS A ISO/IEC 17025, 경영요건, 기술...
[사회복지조사론] 한국이 결혼이민자 가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결혼이민자 가정에 대...
[퍼지][퍼지적 사고][퍼지이론][퍼지로직][퍼지집합][퍼지모형]퍼지와 퍼지적 사고, 퍼지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