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수영 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것이 아니라, 누워있는 척 할 뿐이라고 참고 설명 되어있다. 필자는 마지막 18행에서 단지 비관적 상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당시의 암울한 사회적 배경을 나타내는 것으로만 생각했으나 위의 연구자료 에서는 한층 더 생각하여 평가하였다.
풀에 대한 모든 정리를 하자면 1연에서는 바람에 의해 눕게 되는 풀 즉, 외부의 힘에 억압받는 내부의 힘을 드러내고 있으며 바람, 즉 외부의 억압에 수동적이고 나약한 풀, 민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이는 하강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풀’과, 상승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동풍’, ‘비’를 보여주며 2연에서는 1연과 대립되는 모습으로 바람보다 더 빨리 눕고, 더 빨리 울고, 더 빨리 일어난다고 표현하여 바람, 즉 외부의 억압에 수동적이고 나약했던 풀이 끈질긴 모습을 보여주면서 나약한 모습을 이겨내고 능동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상승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풀’과 하강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동풍’, ‘비’를 보여주고 있으며 3연에서는 ‘풀’과 ‘동풍’, ‘비’가 가장 대립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라는 표현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대립을 통해서 대립된 모습 속에서도 끈질긴 민중의 생명력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 스키마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풀’ (내부의 힘, 의지)
‘동풍’, ‘비’ (외부의 힘, 억압)
↖↗
↙↘
3. 결론
이상으로 서론에서 언급한것과 같이 인지시학적 분석을 이용해 위의 시를 분석해 보았다. 다른 연구자들의 분석은 시에 인용된 사물이나 소재의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 자료들이 대부분이었다. 위의 시의 분석 결과 이미지 도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대립적인 이미지를 반복 사용하여 외부의 억압으로부터 굴복하지 않고 버티어 나가는 민초와 같은 민중의 질긴 생명력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부각시키고 있다. 유명시인의 작품으로 여러 연구자들을 통해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인지시학적분석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분석이 이루어 질것으로 생각된다.
4. 참고문헌
황정산, 김수영, 새미, 2003.
신용협, 현대 대표시 연구, 새미, 2001.
박명용, 문덕수, 정순진, 김용직, 한국현대 시인연구 下, 푸른사상, 2001.
이승규, 김수영과 신동엽 소명출판, 2008.
양승준, 양승국, 한국 현대시 500선 下,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8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