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센씨병의 현황과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한센씨병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센병이란?
(1) 한센병의 정의 및 원인
(2)주요 증상
(3)특징
2) 한센병의 문제점
(1) 한센병에 대한 오해
➀의료상식의 오해
․한센병은 쉽게 전염된다?
․한센병은 유전된다?
․한센병은 완치가불가능하다?
➁ 용어오해
․정착촌
․한센병력자
(2) 한센병의 인권 침해
3) 한센병의 현황
(1)환자의등록관리
(2)한센사업협의회
(3)한센씨병 박멸 가능성
4) 한센씨병의 대응책

3. 결론

4. 후기

본문내용

있는 국가가 되었다. Post-Elimination period에도 역시 신환자는 소수 발생할 것 이지만, 진단할 수 있는 의사들의 수는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요망되는 시점이다.
한센씨병 전문가 그룹, 피부과 의사를 비롯하여 재활수술 전문가, 한센씨병 연구자들을 포함한정부, 민간단체 사이의 공감대가 필요
뒤따른 정부의 예산지원
한센씨병 신경손상의 치료에 대한 교육이나 궤양치료 등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외래사업도 순수한 한센씨병 신환자 발견과 현증환자 704명을 관리하기에는 나 관리 협회의 외래 수가 너무 많다.
3. 결론
결론적으로 한센씨병은 전염병이지만 전염성이 아주 약한 병이고, 피부반점과 신경손상이 주 소견이며, 1-2년의 규칙적인 MDT로 완치가 된다. 치료의 원칙은 전염력이 약하기 때문에 재가치료와 통원치료가 기본이다. 가족이나 이웃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MDT가 완료되면 더 이상 현증환자가 아니라 과거 한센병을 앓은 적이 있는 병력자일 뿐이다. 가시적인 손, 발, 눈의 변형이 없는 사람은 사회 복귀에 아무런 장애가 없는 병이다. 이제 우리나라는 한센씨병에 대한 편견과 격리를 넘어서야 한다. 환자들의 단체, 사회 여론을 이끌어 가는 언론과 지도층 및 모든 사람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정부 관리들의 호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제는 병력자들이 한센씨병에 걸리기 전 단계 처럼 사회 복귀를 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사회의 모든 시설 각종 학교, 양로원, 직장 등에서 일반인들과 같은 대접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4. 후기
한센씨병에 대한 조사를 하면서 일본의 등풍협회에 대해 우연히 알게 되었다. 일본의 등풍협회가 최근 수년간 벌였던 사업들은 우리 모두가 눈 여겨서 볼만 하다고 느꼈다. 한센병에 관련된 국가 정책 역시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서 새롭게 개발 되어야 한다. 일본이나 미국의 환자에 대한 태도와 정책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배울 점은 받아 들여야 한다. 또한 일반 국민들도 한센 병력자는 배척과 소외의 대상이 아니라 다 함께 보호하고 같이 살아야 하는 우리의 이웃이고 다만 몸이 불편한 장애인 일뿐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생활해야 한다고 느꼈다.
< 참 고 문 헌 >
『소록도 80년사』 국립소록도병원간행
『한센병 사업에 관한 보건사회지표 2000』대한나관리협회간행
『김교신과 문둥아』신정식 편저
『한센병관리사업지침』국립보건원 간행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0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