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타종교에 대한 교회의 전통적 입장
3.타종교에 대한 교회의 입장의 변화
3.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3.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3.3. 교황 바오로 6세
3.4.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4.타종교에 대한 아시아 교회의 입장
5.나가는 말
2.타종교에 대한 교회의 전통적 입장
3.타종교에 대한 교회의 입장의 변화
3.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3.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3.3. 교황 바오로 6세
3.4.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4.타종교에 대한 아시아 교회의 입장
5.나가는 말
본문내용
하다고 한다. 그는 대화의 세 가지 자세, 사랑의 대화신앙의 대화희망의 대화를 언급하고, 네 가지 단계의 대화, 일상의 대화공동의 행동공동의 신학적 성찰종교적 경험의 나눔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타종교와의 대화에 있어서 인정과 관용의 대상일 뿐만이 아니라 공동의 길을 가는 동반자이며 협도다로 간주되는 것이다.
4.타종교에 대한 아시아 교회의 입장 심상태, 교회와 타종교와의 관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사목 제148호, 1991, 94~95쪽
아시아 교회의 일부 신학자들이 타종교들을 그리스도교와 동등한 동교로 실질적으로 간주함으로써 전통적이거나 현대 주류적 서구 그리스도 교회와 신학의 기본 입장을 의문에 처하고 있다. 이러한 아시아 신학에서는 신학의 모든 주제들이 판이한 성격을 지니게 된다. 아시아 그리스도교 신학자들의 일부가 그리스도교의 상대성을 스스로 인정하고 절대성 요청을 실질적으로 포기한 것은 교회 역사 안에서 획기적 사건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타종교에 개한 이러한 현실 적응적인 대화 신학의 입장이 그리스도교계와 신학계에서 일반적 입장으로 수락될 경우에, 교회와 타종교와의 관계는 현대의 서구 그리스도교회 중심의 입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기존 성격을 지니게 될 것이다.
5.나가는 말
타종교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개방적으로 변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타종교에 대한 개방은 가톨릭 교회가 타종교를 끌어안을 수 있는 좋은 점을 가지고 있지만, 교도권이 가르치는 것 같이 가톨릭 교회의 전통 교리에 어긋나지 않게 타종교를 이해하고, 그들과 대화를 하며, 수용해야 될 것이다.
4.타종교에 대한 아시아 교회의 입장 심상태, 교회와 타종교와의 관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사목 제148호, 1991, 94~95쪽
아시아 교회의 일부 신학자들이 타종교들을 그리스도교와 동등한 동교로 실질적으로 간주함으로써 전통적이거나 현대 주류적 서구 그리스도 교회와 신학의 기본 입장을 의문에 처하고 있다. 이러한 아시아 신학에서는 신학의 모든 주제들이 판이한 성격을 지니게 된다. 아시아 그리스도교 신학자들의 일부가 그리스도교의 상대성을 스스로 인정하고 절대성 요청을 실질적으로 포기한 것은 교회 역사 안에서 획기적 사건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타종교에 개한 이러한 현실 적응적인 대화 신학의 입장이 그리스도교계와 신학계에서 일반적 입장으로 수락될 경우에, 교회와 타종교와의 관계는 현대의 서구 그리스도교회 중심의 입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기존 성격을 지니게 될 것이다.
5.나가는 말
타종교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개방적으로 변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타종교에 대한 개방은 가톨릭 교회가 타종교를 끌어안을 수 있는 좋은 점을 가지고 있지만, 교도권이 가르치는 것 같이 가톨릭 교회의 전통 교리에 어긋나지 않게 타종교를 이해하고, 그들과 대화를 하며, 수용해야 될 것이다.
추천자료
마태복음 고찰과 마가복음과의 비교분석
기독교교육과 성경
가르치는 장로, 목사에 대해서
어거스틴(Aurelius Augustinus)의 신학사상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마태복음
요리문답 교육의 역사
이혼후의 심리와 상담
동성애에 관한 조사
요리문답교육의 역사
[영성의 개념][영성의 특성][영성의 이해][영성의 구성][영성의 훈련][영성과 영성학][영성과...
신약신학 요약 (열장으로 요약)
윌리엄 카 필(William C. Peel) & 월트 래리모어(Walt Larimore)의 『세상으로』 [요약]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그 역할과 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