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직접 수준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량 직접 수준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후시는 후시끼리 ,전시는 전시끼리 합산을 하게 되면 그 차이가 시점과 종점의 고저차가 된다.
측량결과 (야장기입장)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54호관)
측점
BS
FS
표고
경남 도청
2.9185
55m
No.1
1.1326
0.4738
No.2
1.7521
1.2712
No.3
2.8216
1.3383
No.4
3.6061
0.2715
No.5
2.4583
0.1619
No.6
0.4526
4.9923
No.7
0.9622
4.9222
No.8
2.2095
0.1636
창원대학교(54호관)
0.3294
59.3893m
합계
18.3135
13.9242
△4.3893
창원대학교(54호관) → 경남도청
측점
BS
FS
표고
창원대학교(54호관)
0.1491
59.3893m
No.1
1.9412
4.0743
No.2
4.1284
0.0443
No.3
3.3472
0.0585
No.4
0.0173
2.3011
No.5
0.0437
3.8937
No.6
0.8989
1.6336
No.7
1.1984
1.4072
경남도청
2.7104
54.9904
합계
11.7242
16.1231
△4.3989
창원대학교-경남도청 표고차: 4.3941m
폐합차: 0.0096m (0.96cm)
∴ 측량 결과 창원대학교(54호관) 표고: 55m + 4.3941m = 59.3941m
결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 과 경남도청의 두 지점을 측량한 결과 값을 보면, 표고차는 4.3941m, 폐합차는 0.0096m 라는 값이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의 표고를 구하고자할 때 정확한 측량이 되었는지는 판가름할 수 없으나 앞의 결과값에서 보이듯이 폐합차가 존재하므로 이번 측량에 여러 오차가 발생했음을 유추 할수 있다.
오차의 종류로는 관측자에 의한 오차, 기계오차, 시준오차, 기준점오차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른요인 보다도 관측자의 기능과 컨디션에 좌우되는 시준오차와 착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직접수준측량을 할 시에 관측자의 숙달이 필요한 레벨의 시준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표척이 흔들릴 때 그것을 고정할만한 장비의 부재로인해 사람이 들게 됨으로써 시준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되었다.
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관측자의 기능 숙달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번 측량은 비교적 보통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이므로 40m~60m의 시준거리로 측량하여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 가격9,6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