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후시는 후시끼리 ,전시는 전시끼리 합산을 하게 되면 그 차이가 시점과 종점의 고저차가 된다.
측량결과 (야장기입장)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54호관)
측점
BS
FS
표고
경남 도청
2.9185
55m
No.1
1.1326
0.4738
No.2
1.7521
1.2712
No.3
2.8216
1.3383
No.4
3.6061
0.2715
No.5
2.4583
0.1619
No.6
0.4526
4.9923
No.7
0.9622
4.9222
No.8
2.2095
0.1636
창원대학교(54호관)
0.3294
59.3893m
합계
18.3135
13.9242
△4.3893
창원대학교(54호관) → 경남도청
측점
BS
FS
표고
창원대학교(54호관)
0.1491
59.3893m
No.1
1.9412
4.0743
No.2
4.1284
0.0443
No.3
3.3472
0.0585
No.4
0.0173
2.3011
No.5
0.0437
3.8937
No.6
0.8989
1.6336
No.7
1.1984
1.4072
경남도청
2.7104
54.9904
합계
11.7242
16.1231
△4.3989
창원대학교-경남도청 표고차: 4.3941m
폐합차: 0.0096m (0.96cm)
∴ 측량 결과 창원대학교(54호관) 표고: 55m + 4.3941m = 59.3941m
결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 과 경남도청의 두 지점을 측량한 결과 값을 보면, 표고차는 4.3941m, 폐합차는 0.0096m 라는 값이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의 표고를 구하고자할 때 정확한 측량이 되었는지는 판가름할 수 없으나 앞의 결과값에서 보이듯이 폐합차가 존재하므로 이번 측량에 여러 오차가 발생했음을 유추 할수 있다.
오차의 종류로는 관측자에 의한 오차, 기계오차, 시준오차, 기준점오차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른요인 보다도 관측자의 기능과 컨디션에 좌우되는 시준오차와 착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직접수준측량을 할 시에 관측자의 숙달이 필요한 레벨의 시준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표척이 흔들릴 때 그것을 고정할만한 장비의 부재로인해 사람이 들게 됨으로써 시준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되었다.
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관측자의 기능 숙달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번 측량은 비교적 보통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이므로 40m~60m의 시준거리로 측량하여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측량결과 (야장기입장)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54호관)
측점
BS
FS
표고
경남 도청
2.9185
55m
No.1
1.1326
0.4738
No.2
1.7521
1.2712
No.3
2.8216
1.3383
No.4
3.6061
0.2715
No.5
2.4583
0.1619
No.6
0.4526
4.9923
No.7
0.9622
4.9222
No.8
2.2095
0.1636
창원대학교(54호관)
0.3294
59.3893m
합계
18.3135
13.9242
△4.3893
창원대학교(54호관) → 경남도청
측점
BS
FS
표고
창원대학교(54호관)
0.1491
59.3893m
No.1
1.9412
4.0743
No.2
4.1284
0.0443
No.3
3.3472
0.0585
No.4
0.0173
2.3011
No.5
0.0437
3.8937
No.6
0.8989
1.6336
No.7
1.1984
1.4072
경남도청
2.7104
54.9904
합계
11.7242
16.1231
△4.3989
창원대학교-경남도청 표고차: 4.3941m
폐합차: 0.0096m (0.96cm)
∴ 측량 결과 창원대학교(54호관) 표고: 55m + 4.3941m = 59.3941m
결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 과 경남도청의 두 지점을 측량한 결과 값을 보면, 표고차는 4.3941m, 폐합차는 0.0096m 라는 값이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창원대학교 54호관(중력보조점)의 표고를 구하고자할 때 정확한 측량이 되었는지는 판가름할 수 없으나 앞의 결과값에서 보이듯이 폐합차가 존재하므로 이번 측량에 여러 오차가 발생했음을 유추 할수 있다.
오차의 종류로는 관측자에 의한 오차, 기계오차, 시준오차, 기준점오차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른요인 보다도 관측자의 기능과 컨디션에 좌우되는 시준오차와 착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직접수준측량을 할 시에 관측자의 숙달이 필요한 레벨의 시준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표척이 흔들릴 때 그것을 고정할만한 장비의 부재로인해 사람이 들게 됨으로써 시준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되었다.
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관측자의 기능 숙달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번 측량은 비교적 보통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이므로 40m~60m의 시준거리로 측량하여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추천자료
★[A+레포트]포스코의 경영혁신(ERP추진기)★
[레포트]7T산업[p7]1000
[A+평가 레포트]농촌관광개발의 개념, 중요성, 특성, 성공요인
[A+레포트]우리나라 해양관광 현황과 개발사례 및 발전방향, 한국 해양 관광 현황, 발전 방향
[★우수레포트★][실직가족] 실직의 의미, 실직의 영향, 실직의 현황, 쌍용자동차 사례, 실직가...
[★우수레포트★]사례관리에 대한 이해와 예시
[★우수레포트★][고령화사회] 고령화사회의 의미와 영향, 고령화사회 관련 정책 및 실행 현황,...
[A+레포트]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A+레포트]현금급여와 현물급여의 개념, 장점, 단점, 비교분석 및 사회복지급여 형태의 바람...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이해1-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2- 마케팅 개념의 확대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역사
[A+레포트] 바이오기술 (바이오기술, 바이오의약품, 바이오프린팅)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아교육기관 환경- 실내적 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