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니아 딤채 경영전략분석과 딤채 마케팅전략 분석 - 위니아만도 기업소개, 마케팅 전략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니아 딤채 경영전략분석과 딤채 마케팅전략 분석 - 위니아만도 기업소개, 마케팅 전략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위니아만도 기업소개
2) 딤채 선정배경

Ⅱ. 본론
1) 하나 혹은 더 많은 도전의 접근
- 브리콜로지 선택
2) 무에서 유로 창출
① 투입 (기술, 노동, 규정/제도)
② 소비자 Need 충족시키는 제품

Ⅲ. 결론
- 딤채의 성장
- 딤채 마케팅전략의 시사점

본문내용

했고, 자기진단을 통하여 보관음식의 변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딤채는 김치뿐만 아니라 과일, 야채, 육류, 생선 등 각종 생식품을 얼리지 않고 10일 이상 장시간 보관할 수도 있어 싱싱하고 맛있는 상태로 먹을 수 있게 되었고, 식혜나 요구르트 등은 발효까지 해주어 가장 좋은 것을 먹이고 싶은 엄마의 마음과 냉장고의 공간부족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모두 해결해 주었다.
그러나 제품자체가 고객의 needs를 만족시켜주는데 반해 시장에서의 모호함과 방해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높은 가격
제품 출시를 앞두고 행한 소비자 설문조사에서 소비자들은 김치냉장고의 필요성은 막연히 인식하면서도 기존 냉장고에 대한 신뢰도가 워낙 컸다. 게다가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대는 겨우 15만원선이었다. 그러나 '딤채' 초기 모델의 가격은 43만원으로 가격 저항이 매우 컸다.
둘째, 가전제품으로서 브랜드 인지도 전무
딤채가 처음 출시 되었을 때, 위니아 대리점에서는 에어컨 회사에서 무슨 김치 냉장고냐며 판매를 꺼려했었다고 한다. 위니아의 내부 사람들마저 가전회사로서의 인식이 자리잡히지 않아 있었던 것이다.
위니아의 딤채와 에어컨이 성공을 거둔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다른 경쟁회사들에 비해 가전제품 브랜드로서 인지도가 떨어지는 것 역시 사실이다. 그리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자들의 의식이 대기업을 선호하는 쪽으로 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는 위니아의 축적된 기술이 1위의 자리를 유지하게 해주나 곧 다른 경쟁업체(특히 대기업의 경우) 역시 기술투자로 품질이 우수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딤채의 시장점유율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셋째, 종합 가전 회사로서의 경험 전무
위니아는 만도공조가 가전 제품을 생산하면서 전략적으로 만들어낸 브랜드이기는 하나, 생산되는 제품이 에어컨과 딤채에 국한 되고 그 기간도 짧아서 AS 같은 부차적인 서비스들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AS 접수를 받는 도우미의 서비스 수준과 신속성이 경쟁사에 미치지 못하고, 유상 수리인 경우가 많다.
또한 고객관리에 있어서도 경험 부족으로 매끄러운 처리를 하지 못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쟁사의 경우 몇 개 이상의 제품을 구입하면 할인율은 대폭 늘려주거나 무이자 기간을 늘려주는 등 혜택이 많아, 혼수품 등을 구매하는 경우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나, 만도공조의 위니아의 경우 제품이 에어컨과 김치 냉장고 두 제품뿐이다 보니 아무래도 불리한 입장이라고 할 수 있었다.
지난 94년. 아산에 위치한 만도기계 사업장에서는 논쟁이 벌어졌다. 새로운 사업아이템으로 제시한 김치냉장고의 사업성과 관련한 격론이었다. 달랑 김치만 보관하기 위해 누가 거금 50만원을 들여 냉장고를 사겠느냐는 회의적인 의견이 주를 이뤘다. 또한 차량부품사업만 해온 제조 기업이 소비자에게 직접 가치를 줘야 하는 서비스 상품을 만들고 팔기엔 무리라는 지적도 많았다.
출시 당시 획기적인 상품 김치냉장고의 편익인 장기보관에 대해 고객들은 신뢰를 가지지 못했지만 강남일대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버즈 마케팅으로 고가의 제품임에도 가전제품으로서의 브랜드 인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출시 2년 후인 1997년 IMF당시 모든 경기가 침체가 되었음에도 김치냉장고 만큼은 폭발적으로 시장이 창출되었다.
Ⅲ. 결론
- 딤채의 성장
구전효과를 노린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여 이후 딤채는 제품의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고 김치냉장고란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쾌속질주를 이어갔다.
1996년 2만대 판매로 9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1997년에는 본격적인 구전 마케팅의 전개와 다양한 모델 공급으로 8만대 판매로 400억원의 매출을 달성, 제품 출시 2년만에 400%의 급속한 매출 신장을 올리는 놀라운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98년 IMF로 소비가 위축되고 회사마저 부도가 났다. 삼성전자마저 김치독 시장에 뛰어 들어 경쟁자가 늘어났다. 그러나 언론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으로 만도는 1999년에는 그 직전 해까지 팔린 물량을 모두 합한 것보다 두 배나 많은 30만대를 팔았다. 2000년에는 46만대 판매로 3,200억원라는 기록적인 매출을 달성하여, 만도는 시장 선도자로서의 1위를 고수 했으며 전자 김치독의 원조(元祖)는 딤채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뒤늦게 뛰어든 삼성전자 등 경쟁업체들을 따돌렸다. 이는 대형 가전사들의 과점체제를 깨뜨린 차별화된 기술과 마케팅의 결과였다.
-딤채 마케팅전략의 시사점
딤채는 초기 틈새 시장을 공략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 부동의 1위 기업이었다.
그러나 시장진입장벽이 낮아 대기업(경쟁사) 진입이 쉽고, 현재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펼치고 있는 삼성전자의 지펠 아삭 김치냉장고와 점유율을 앞치락 뒤치락 하고 있어 그 입지가 불안해지고 있다.
또한 김치 냉장고가 어느 정도 보급이 되었기에 더 이상 팔리지 않을 것 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겠으나, 최근엔 김치 냉장고를 김장용으로만 쓴다는 틀을 벗어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기에 김치 냉장고의 판매 열기는 당분간 식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스탠드형 김치 냉장고의 인기 속에서 딤채의 뚜껑형 김치 냉장고가 선전하고 있는 이유는 본론에서도 설명했다시피 딤채의 독보적 기술력 때문이다. 그렇기에 경쟁사를 압도적으로 따돌리기 위해 딤채의 향후방향은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으로 마케팅 측면과 새로운 기술력으로 다시금 1위로 우뚝서야 한다
출처
http://www.dimchae.com/
http://bms.unionsteel.co.kr/union/webzine/biz/biz_0236.asp
http://www.etnews.com/news/special/2643159_1525.htm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0104607
http://news.donga.com/3//20090919/8811335/1
http://elecblog.danawa.com/120151604892
스캣 권업 한국경제신문사(2012)
맛있는 온도를 잡아라 '딤채' (동영상 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2.18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