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학교의 실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과 후 학교의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의미
2. 목표
Ⅱ. 본론
1. 운영주체
2. 강사
3. 교육대상
4. 교육경비
5. 교육장소
6.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
7. 방과후 교육활동의 문제점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 2~3회에 그치기 때문에 별도로 사설학원을 다니는 학생이 적지 않음. 또한 외부 사설학원의 경우 필요에 따라 언제나 지도를 받을 수 있으나, 방과후 교육활동은 일정기간을 기다려 신청을 해야하고 인원 제한이 있으면 지도를 받을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하기 때문
4) 외부강사의 자질과 책무성 부족
- 프로그램에 적합한 강사를 채용하기가 쉽지 않음
- 외부강사는 기본적으로 영리를 목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인기에만 영합하려 들고 이에 따라 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기대하기 힘들다
- 외부강사의 채용기준이 미흡하며, 자질을 제대로 검증할 수도 없고, 평가체계도 제대로 마련된 것이 없음
5) 재정지원 문제
- 재정지원 문제에 대한 엇갈린 의견 : 일부에서는 방과후 교육활동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재정지원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나, 다른 편에서는 재정지원 원칙이 모호하고 낭비적 요인도 많으므로 여기에 소요되는 재원을 정규적인 교과활동을 지원하는 경비로 써야한다고 주장한다.
-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재정지원의 문제 : 사실상 이들 대부분이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적고 대부분 결석을 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해 볼 때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Ⅲ. 결론
방과후 학교는 학교 밖에 엄연히 존재하는 입시 교육을 학교 내로 끌어들여 사교육 폐해를 줄이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이다. 사교육 자체를 뿌리뽑기 힘든 현실 속에서 학부모들의 사교육 욕구를 학교 내로 흡수해 사교육 비용이나마 덜어주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방과 후 학교 교육비 지원과 맞벌이 가정과 소외계층을 위해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방과후 보육 교실을 운영키로 한 점은 평가할 만한 일이다. 또한 지역적 특성으로 사교육 혜택을 받기 어려웠던 농어촌 지역 학생과 학부모에게도 희소식이다.
그러나 이 제도의 도입으로 학교가 입시학원화하고 공교육기반 자체를 흔들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따른다. 방과 후 학교가 추진하려는 국어, 영어, 수학, 논술 등 과외 교육은 바로 입시대비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입시준비 교육을 공교육 틀 안으로 끌어들이면 오히려 공교육의 중요성을 스스로 반감시키는 셈이 된다. 방과후 학교는 또 지역에 따라 격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부유층이 모여 사는 지역의 경우 학부모들이 고액 교습비를 주고라도 인기 학원강사를 영입하려 할 것이다. 학부모들의 경제력에 따라 아니면 학교 소재 지역 혹은 지자체의 경제규모에 따라 부담액 및 지원액이 달라질 수도 있다. 교육부는 본격 실시에 앞서 이런 도농간 격차나 지역간 격차를 극복할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중앙일보, 문화일보, 경향신문, YTN뉴스 보도자료
방과후 아동지도 / 이소희 / 양지출판사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목차
Ⅰ. 서론
1. 의미
2. 목표
Ⅱ. 본론
1. 운영주체
2. 강사
3. 교육대상
4. 교육경비
5. 교육장소
6.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
7. 방과후 교육활동의 문제점
Ⅲ. 결론
*참고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1.0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0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